•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

1. 농업・농촌 공간정보시스템 현황

1.6.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

□ 업무 현황

○ 농어촌지역 지하수의 기존 자료를 수집하고 이용현황, 수질 및 수리 현황 조사와 기타 세부 조사를 실시하여 지하수를 최적 관리할 수 있 는 시스템.

○ 지하수를 관리하는 지역본부 간 지하수 정보화 자료 공유로 업무 효율 성을 높이고, 지하수 기술 지원, 자료신청 등을 온라인으로 통합 관리 하여 업무처리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 만족도 높임.

○ 현장에서 조사된 자료를 표준화 및 통합할 수 있는 입출력 관리시스템 을 갖추고, 관정 DB 통합 방안을 모색하여 자료 관리의 효율성과 이 용성에 편의를 높이고 이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여 주제도를 생성.

10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의 업무 현황 및 정보화 현황은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제공한

「농촌지하수관리시스템 개편 용역 개발보고서」의 내용을 재정리.

○ 지도서비스의 기본도제공 기능 강화로 관정 위치정보 확보와 주변 지 형 정보 검색에 편의성을 높이고, 지도서비스의 공간위치 편집기능 구 축으로 자료 관리의 효율성을 높임. 웹기반 지도정보서비스 기능을 제 공하며 관측정에서 수신된 수질/수위 정보를 제공.

□ 정보화 현황

○ 기초자료

<표 1-30>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

구분 내용

등고선 국토교통부 연계

지질도 국토교통부 연계

선구조밀도 국토교통부 연계

선구조도 국토교통부 연계

지하수정보

지하수등수심현황, 지하수등수위현황, 지하수관리제안지역, NO3-N등농도현황, PH등치현황, 쌍극자탐사정보, 단계양수시험정보, 시추주상, 전자기탐사, 현장수질검사, 수위회복시험정보, 양음이온검사, 장기양수시험, 물리검층, 전체오염원, 방사능탐사, 수직탐사, 토양오염, 순간수위변화, 수맥분산지구, 수맥지구, 시추착정공, 슐럼버져탐사, 전기비저항탐사, WHPA, 이용량실태조사, 수질검사, 관정정보

지역정보, 토지이용정보 하천, 용수구역도, 토지이용도, 권역분류, 농업지역(논,밭), 시설물정보(축산폐수시설, 유류저장시설, 축사시설, 오수배출시설, 쓰레기매립지, 오수배출시설, 폐수배출시설), 토양정보, 인구현황, 기상데이터 자료: 한국농어촌공사(2012).

<그림 1-37>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 목표시스템 개념도

자료: 한국농어촌공사(2012).

○ 기초자료 연계 및 주제도 제작

<표 1-31>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주제도

연계정보 주제도명

지하수정보

지하수등위선도, 지하수개발가능량도, NO3-N등치선도, PH등치선도, 지하수오염취약성도, 단위면적당이용량, 관정밀도도, 관정위치도, 관측정도, EC등치선도, 용수구역도,

농어촌지하수(암잔관정, 충적관정), 지하수심도/수위 현황, 지하수관측망(농촌지하수, 해수침투), 지하수개발/이용분석, 수맥조사현황, 가뭄우심지구, 시추개발관정, 지하수오염현황, 지하수수질현황 자료: 한국농어촌공사(2012).

<그림 1-38>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주제도(수맥지구)

자료: 농어촌지하수넷(https://www.groundwater.or.kr/comm2/main/main.jsp: 2016. 11. 14.).

<그림 1-39>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주제도(시추개발)

자료: 농어촌지하수넷(https://www.groundwater.or.kr/comm2/main/main.jsp: 2016. 11. 14.).

<그림 1-40>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주제도(가뭄우심지구)

자료: 농어촌지하수넷(https://www.groundwater.or.kr/comm2/main/main.jsp: 2016. 11. 14.).

<그림 1-41>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주제도(지하수관리)

자료: 농어촌지하수넷(https://www.groundwater.or.kr/comm2/main/main.jsp: 2016. 11. 14.).

명칭 양음이온검사

항목 명

관정번호, 순번, 검사일, 검사자, Na, K, Ca, Cl, Mg, HCO3, CO3, SO4, 비고, NO3N, 대상지역본부, 업데이트 일자

명칭 장기양수시험

항목 명

관정번호, 장기양수시험번호, 조사일자, 조사자, 안정수위, 대수층두께, 수리전도도, 투수량계수, 저류계수, 데이터파일명, 결과그림파일명, 양수량, 비고, 대상지역본부, 업데이트 일자

명칭 수맥지구

항목 명

OBJECTID, 채수가능지역, 채수가능지역, 읍면동, 도, 시・군・구, 성공실패, 리, 지구코드, 지구명, 조사년도, 지목, 대수층, 조사면적, 지구답사, 선구조추출, 전기탐사(점), 저주파탐사(점), 수질검사, 시추조사, 영향조사, 수위관측, 비고

<표 1-32>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의 주요 공간정보의 속성정보

<그림 1-42>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주제도(지하수관측)

자료: 농어촌지하수넷(https://www.groundwater.or.kr/comm2/main/main.jsp: 2016. 11. 14.).

○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 주요 공간정보의 속성정보11

11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제공하는 「농촌지하수관리시스템 개편 용역 개발보고서」의 내용을 참고.

명칭 지하수수량및수질현황

농업・농촌 공간정보시스템 표준화 방안

1. 농업・농촌 공간정보 표준체계 구상

○ 국가공간정보포털(http://www.nsdi.go.kr/)에서는 공간정보 표준에 대한 정의를 협의적 관점과 광의적 관점으로 제시하고 있음.

협의의 공간정보 표준 광의의 공간정보 표준

공간정보의 상호교환 및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이해당사자들이 합의에 의해 만든 규칙 및 지침 또는 제품 특성・관련 공정・생산 방법을 규정한 문서

표준 제・개정 활동 및 이를 지원하는 조직 및 제도 등 공간정보 표준체계 전반을 의미

<표 2-1> 공간정보 표준 정의

자료: 국가공간정보포털(http://www.nsdi.go.kr: 2016. 11. 7.).

○ 즉, 협의의 공간정보 표준은 재개정된 표준 자체를 의미하며, 광의의 공간정보 표준은 재개정된 표준과 이에 대한 활동 및 조직을 의미함.

○ 농업・농촌 공간정보 표준체계 구상은 독자적인 공간정보 표준체계를 정립하기보다는 국가 공간정보 표준체계를 참조하고, 포함되는 관계로 구상하는 것이 적합함.

<그림 2-1> 공간정보 표준체계 관계

○ 이에 본 단락에서는 협의의 공간정보 표준의 개념에 입각하여 농업・농 촌 공간정보 표준체계를 제시하도록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