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3장 농산물 유통환경의 변화와 전자상거래

제1절 농산물 유통환경의 변화

1. 소비구조 변화

소비자의 소비형태는 소득수준의 향상, 취업인구 증가,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 등의 소비 변화요인에 의해 고급화, 안전화, 다양화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소비자의 소득수준이 높아질수록 소비의 욕구는 가격, 시간, 내재적 가치를 중의 하는 소비의식은 단순한 양에서 맛, 영양, 안전성과 같은 품질을 중시하는 쪽으로 변화한다. 소비자의 구매형태가 질과 서비스를 중시하는 그룹과 가격, 시간 내재 적 가치를 중시하는 그룹 등 소비의 형태가 개성화, 양극화 현상이 동시에 나타 내고 있다. 특히, 현대의 소비자 행위는 시간의식(Time Conscious), 가격의식 (Cost Conscious), 가치의식(Value Conscious)을 중요시하는 세 가지 유형으로 나 타나고 있다.

즉, 소비자의 시간에 대한 의식이 증대됨에 따라 일괄구매(One-stop shopping) 와 가정식 대체품 및 조리식품, 가공품에 대한 선호도가 증대되고 있다. 가격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할인업체를 통한 소비가 확산되고 있다. 또 한, 상품자체의 유․무형 내재적 가치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어떻게 구입 하는 것이 경제적으로 구입가치를 높일 수 있는가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한다.

그러한 구매행위는 다양한 품질, 가치중심의 소포장 또는 대포장 농산물에 소 비행동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새로 운 소매기구는 백화점, 대형 할인점, 대형 슈퍼마켓 등을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으 며 대형 유통업체와 중소 유통업체, 홈쇼핑 등이 전자상거래 형태로 발전하고 있 다.

최근 농산물 거래는 인터넷 사용자의 급속한 증가와 무선인터넷 등 모바일 기

술의 발달로 전통적인 대면 거래에서 가상공간에서 표본거래나 통명거래(通名去 來)로 전환되고 있으며, 점차 전자상거래는 활성화되고 있다. 한편 소비자들의 소 득증가와 소비성향 변화에 따른 농산물 소비형태는 ‘간편화,’ ‘건강지향성,’ ‘다양 화,’ ‘고급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어 점차 전자상거래는 활성화되고 있다.17) (1) 구매의 간편화

가계소득의 증가와 여성의 사회활동 등으로 가사노동에 대한 기회비용이 증가 함에 따라 구매패턴이 편의성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식품조 리의 간편화 추세는 종전에는 미가공 원재료를 구입하여 직접 조리하던 형태에서 조리시간 단축을 위해 반 혹은 완전 전처리 농산물, 가공식품, 간편 조리식품 등 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가. 외식과 전(前)처리 식품 수요증가

소득수준과 여성 취업인구 증가로 농산물 소비형태는 요리하기가 편리하고 구 매가 편리한 소포장과 전처리(前處理) 농산물을 중심으로 브랜드 농산물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농산물 전처리 등은 전처리 시설을 확대하고 있 으며, 앞으로는 짧은 조리시간에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가정식 대체상품(Home Meal Replacement) 소비가 늘어날 것이다.

이러한 조리식품의 구매빈도를 보면, 한 달에 1회 이상 구매하는 가구가 48%이 다. 이 중 일주일에 1회 이상 빈번하게 구매하는 가구가 9%에 달하고 있는데, 젊 은 세대와 맞벌이 가구의 구매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미리 세척되어 있거나 커팅 된 농산물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가구가 65%에 달해 전처리 농산물에 대한 수요 가 높음을 보여 주고 있다. 특히, 핵가족일수록 이들 농산물에 대한 선호도가 높 게 나타났다.18)

나. 구매의 편의성 추구

제품의 구매패턴도 구매장소, 구매단위, 구매형태 등에서 편의성을 추구하는 경 향이 나타나고 있다. 식품 구입장소의 경우에 과거 재래시장들이 대부분을 차지 하였으나, 지금은 쾌적한 쇼핑환경과 다양한 상품을 일괄구매할 수 있는 편리성

17) 전창곤, 김동주, 「농촌경제연구원, 유통 서비스시장 개방에 따른 농산물 유통체 계의 변화와 대응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5. p.31

1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전망 2002」, 2002

등으로 대형 할인점의 비중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에 의한 품질 차별화가 큰 품목인 쌀과 청과물은 맛

<표 3-3> 친환경 농산물 유통 비율

2. 생산구조 변화

유통시장의 개방화와 소비지 단계의 유통환경 변화가 생산단계의 생산의 규모 화와 유통방식을 변화시키고 있다. 생산지의 생산형태는 소비지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산지의 조직화․규모화와 전문화로 비용을 절감하고, 연중 생산 이 가능한 생산체제로 변화하고 있다. 한편,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충족을 위해 다 품목소량 생산구조로 변화하고 있다.20)

채소 및 과수와 같은 신선 농산물의 출하방삭은 조직화, 공동화되면서 기존의 도매시장 출하 의존형에서 직거래나 물류센터 등 다양한 유통경로에 적응 가능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특히, 고품질 및 기능성 농산물은 소비자가 한정되어 있어 판매확대를 위해 기존의 거래방법인 도매시장으로의 출하와 같은 방법으로는 다 수의 유효구매자를 발굴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지역적으로 산재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잠재고객을 발굴하기 위해 전자상거래와 같은 새로운 유통 채널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21)

생산지에서 유통주체의 조직화와 규모화는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표준화, 규격화, 브랜드화가 동시에 진전되면서 생산자의 시장교섭력이 증대하고 있다. 그 러나 도매시장 이외의 다양한 직거래 경로를 통해 소비지와 직접 연결하는 직거 래 경향이 커지고 있으나 규모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1) 생산의 조직화 및 규모화

농업생산의 구조가 소비지의 유통환경 변화에 따라 작목반, 협동조합 등을 중 심으로 규모화 되어가고 있다. 생산지에서 생산자들이 작목반과 영농조합법인과 같이 조직화되어 생산의 규모화를 도모함과 어울러 출하조절과 공동출하 등으로 소비지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시․군 등의 광역 생산단체와 생산자 조직간 연계를 통한 협의체를 구성하여 농자재 구매와 농산물 판매에 있어서 시 장교섭력을 증가하고 있다.

이들 생산자 조직체의 주요 활동은 공동생산, 공동출하, 공동계산, 공동가공, 수 출 등의 부분까지 그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농협의 품목별 전국협의회는

20) 김완배, 전게서.p. 7

21) 전창곤, 김동주, 전게서 p. 45

생산, 출하 자율조정을 통한 가격 및 물량조절 기능도 담당하고 있다.

<표 3-6> 농산물 산지유통센터의 주요 시설 및 장비 설치 현황

(단위:평)

센터수

집하선별포장장 저온저장고 예냉시설 기타시설 계

센터당 평균

센터당 평균

센터당 평균

센터당 평균

센터당 평균

196개소 54,837 280 42,833 208 3,069 16 10,890 56 109,629 559

자료: 농림부, 「농산물유통 주요 통계」, 2002. 8.

또한, 정부의 산지유통 전문조직 유통활성화 사업은 자금지원과 더불어 산지생 산자 및 유통인 교육, 컨설팅 등을 통해 유통사업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키고 있 다. 생산자단체와 산지조합간 연합을 통한 공동선별․공동계산을 통한 공동규격 출하는 상품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며, 소비지의 백화점, 할인점, 슈퍼마켓 등 대형 유통업체에 공동으로 대응함으로써 교섭력을 증가시키고 있다.

(2) 고품질 안전농산물 생산 증가

소비자의 안전농산물 수요 증가는 농업생산에 있어서 친환경 농산물 생산을 유 도하여 2000년 12월 전체 농가의 4.4%인 약 60,000호가 화학비료와 농약을 적게 사용하는 친환경농업을 실천하고 있다.

전국의 친환경농업 실천농가(60,275호)중 영농형태별 농가수의 분포를 보면 논 벼가 68.8%로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채소 31.2%, 과수 13.1% 등의 순위로 나타 났다.

<표 3-7> 작물별 친환경농업 실천농가

(단위: 호, %)

구 분 작 물 별 실 천 농 가

논벼 과수 채소 특용작물 기타

합 계 41,494(100) 7,886(100) 18,776(100) 1,993(100) 2,718(100) 재배

방법

유기 1,057(2.5) 526(6.7) 1,275(6.8) 254(12.7) 215(7.9) 무농약 3,115(7.5) 408(5.2) 2,744(14.6) 671(33.7) 750(27.6) 저농약 37,322(9.0) 6,952(88.1) 14,757(78.6) 1,068(53.6) 1,753(64.5) 자료: 통계청(http://www.nso.go.kr)자료 재작성, 2001. 12.

주요 작물별 생산량(2001년 6월말 현재)은 전체 생산량 466천 톤 중 곡류 85천 톤, 과실류 69천 톤, 채소류 265천 톤, 서류 21천 톤이고, 채소류의 생산량이 56.8%로 가장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친환경 농산물의 생산량이 매년 30% 이상 증가하고 있다.

<표 3-8> 재배 형태별 친환경 농산물 생산량

(단위: 톤, %)

구 분 계 유기재배 전환기유기재배 무농약재배 저농약재배

총생산량 466,166(100) 23,388(5) 1,979(0.4) 116,067(25) 324,732(70) 곡류 84,919(18.3) 1,630 169 7,296 75,824 과실류 68,879(14.8) 1,411 76 3,655 63,737 채소류 264,949(56.8) 19,460 1,721 84,405 159,363

서류 20,825(4.4) 19 13 2,768 17,425

특작류 15,725(3.4) 63 - 9,709 5,953

기타 10,869(2.3) 205 - 8,234 2,430

주) 친환경농산물표시 신고기준은 2001.6 자료: 농림부,「친환경 농업육성정책」, 2001.

재배형태별로는 유기재배 23천 톤, 전환기 유기재배 2천 톤, 무농약 재배 116천 톤, 저농약 재배 325천 톤으로 저농약 재배가 약 70%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친환경 농산물은 도매시장이나 일반 소매시장에서 그 차별성을 인증 받지 못하기 때문에 정부가 보증하는 신뢰성을 바탕으로 품질과 가격을 차별화 하여 전자상거 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3) 표준․규격화 농산물의 생산 증가

주요 농산물의 표준․규격화 출하비율은 <표 3-9>와 같이 1999년 26.9%에서 2001년 46.2%로 확대되고 있다. 농산물 포장출하는 수송․하역 시 농산물을 파손 되지 않게 운반할 수 있어 상품성이 향상되고 높은 값을 받을 수 있으며, 물류비 를 절감할 수 있다.

산지 생산자 조직체의 표준규격 출하는 대형 유통업체 등의 소매업체와 직거래

산지 생산자 조직체의 표준규격 출하는 대형 유통업체 등의 소매업체와 직거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