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농산물 수확후관리기술 개발과 정책과제 * 8

문서에서 농업·농촌 특별대책 실천방안 연구 (페이지 150-153)

1. 현 황

1.1. 유통 여건의 변화

가. 농산물 유통 환경의 변화

○ WTO, DDA 협상, FTA 체결 등 대외적인 환경변화에 대응해야 함.

○ 수입자유화에 따른 시장 개방 확대와 가격경쟁력의 절대적 열세 ○ 유통시장 개방(1996)과 대형 유통업체의 등장 → 구매패턴의 변화

나. 소비자 요구의 다양화

○ 다양화(입맛의 세계화) 및 퓨전화 ○ 고급화와 안전성 강조

○ 간편화 - 신선편의농산물(fresh-cut produce), 소비자 포장 증가

* 한국식품개발연구원 김병삼 박사의 발제자료를 발췌 정리한 것임.

다. 수확후 관리(유통)기술의 필요성이 현장에서 인식되기 시작

○ 농산물을 작물, 원료의 개념에서 (농/산)식품(agrifood), (농)상품으로 인식하기 시작함 → 식품 개념의 접근 필요하며 단순히 작물을 수확 후 관리한다는 개념으로는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움.

○ 경쟁력에 대한 요건으로 품질향상과 비용절감을 주 전략으로 고려 - 품질향상 : 생산되는 농산물의 품질 고급화와 수확후관리 기술의

적용에 의한 신선도 및 부가가치 제고 * 콜드체인시스템 기반 구축이 선결되어야 함.

- 비용절감 : 물류기술 개발, 보급->유통단계축소, APC, 물류센터, ULS 등

* 대만의 경우 농산물 시장 개방의 충격을 품질개량, 가공상품개발에 의한 수출 증가로 극복하고 있음

라. 유통시스템의 변화

○ 도매시장 체제에서 신유통시스템으로 전환

○ APC와 물류센터가 산지와 소비지의 축을 형성하면서 유통단계 축소 와 유통되는 농산물의 품질도 향상

1.2. 수확후관리기술의 소프트웨어

가. 수확후관리기술의 개념과 범위

1) 수확후관리기술의 개념

○ 수확후관리란 농산물(농식품)을 수확 이후 소비자의 식탁에 이르기까 지(Farm to Table) 전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생리적,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품질저하를 억제하고 상품성과 부가가치를 제고시키며 신 선하고 안전하게 관리하는 기술적, 경제적 제반 활동을 칭함.

* 용어에 대해서는 수확후관리란 용어가 영어를 그대로 직역한 것으 로 국내에서 적합한지에 대하여 검토해 볼 필요는 있음 → ‘유통’

이란 용어는?

예) 농림부의 경우 유통정책과 업무가 수확후관리의 대부분임 농수산물유통공사의 경우도 수확후관리의 상당부분을 차지함 한식연 : 유통연구실(팀) → 유통연구본부 → 유통연구단 농협중앙회 → 유통활성화사업단

농식품신유통연구원, 식품저장유통학회, 원예저장유통연구회 등

2) 수확후관리기술의 범위

○ 농산물에 있어서 수확후관리기술은 크게 수확후 생명활동을 유지하 는 곡류, 과실, 채소류, 임산물, 특용작물과 같은 농산물(식물)들에 대 한 수확후 관리기술과 축산물과 같이 도축후 생명활동을 상실하는 농산물(동물)에 대한 기술로 대별할 수 있으며 흔히 말하는 수확후관 리기술은 전자에 해당되는 경우가 많다. 기술의 범위로서는 수확후부 터 가공, 유통, 소비 단계에 직, 간접적으로 관련되는 전반적인 기술 을 포함함.

생 산 자/농 가 (제 1생 산 단 계 )

산 지 포 장/유 통 센 터 (제 2생 산 단 계 )

물 류 센 터 도 소 매 업 체 (판 매 단 계 )

소 비 자 (소 비 단 계 )

생 산(농 장 ,포 장 ) 수 확

검 사-세 척 -선 별 포 장-예 냉 저 장

수 송

저 장

전 시-판 매 재 포 장-손 질

소 비

운 반

자료: 농식품신유통연구원, 2002

○ 수확후관리의 공정 체계

문서에서 농업·농촌 특별대책 실천방안 연구 (페이지 150-153)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