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Ferrans 등(2005)의 건강 관련 삶의 질 모형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췌장암 환자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설명모형에서 췌장암 환자의 삶의 질에 지각된 건강상 태는 직접효과가 있었고, 개인적 특성, 증상, 기능상태 및 사회적 지지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는 췌장암 환자의 삶의 질을 63%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이는 위암 환자의 자가간호행위, 우울 및 지각된 건강상태에 의한 삶의 질 설명력이 67.9%(김영숙, 태영숙, 2012), 유방암 환자의 우울, 자아존중감, 피로, 가족지지, 불확실성, 자기효능감, 주관적 건강상태에 의한 삶의 질 설명력이 67%(박영미, 2005)인 것과 유방암 환자의 피로, 통증, 불안, 사회적지지, 항암치료방법 요인에 의한 삶의 질 설명력이 66%(So 등, 2009), 자궁경부암 환자의 자궁암 환자의 지각된 건강상태이었고, 극복력과 사 회적지지, 부부친밀도에 의한 삶의 질 설명력이 67.1%였던 것과 비교하여 유사한 설명력 을 가진 모델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각 연구에서의 설명력 차이는 암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질병의 치료 및 회복과정의 차이, 측정변수 및 측정도구 등의 차이로 발생한 것으 로 보인다.

본 설명모형에서 삶의 질 점수는 18.8점으로, 동일한 측정도구로 췌장암 환자의 삶의 질 을 평가한 Gupta, Lis, & Grutsch(2007)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립선암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한 Lis, Gupta & Grutsch (2008)의 연구에서는 전체적인 삶의 질이 22.8점이었고, 대장암 환자의 삶의 질을 살펴본 Gupta 등(2007)의 연구에서는 19.8점으로 췌장암 환자의 삶의 질이 다른 암종보다 낮은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러한 결과는 췌장암 환자의 삶의 질이 다른 암을 가진 대상자보다 현저하게 낮다는 선행

삶의 질 수준을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건강-기능영역이 가장 낮았고, 가족영역에서

러한 결과는 암 환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의미 수준이나 삶의 질 또

및 치료과정 중에 호소하는 신체적·심리적 증상을 사정하고 중재하는 활동 역시 요구된

향후 연구에서는 각각의 의미 있는 변수들 간의 경로를 설정하여 설명 모형을 구체화 하 는 동시에 모형의 설명력을 높이는데 주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환자의 태도와 신념에 대해 측정하지 않았지만, Ferrans 등(2005)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 중 하나로 심리적 요인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는 환 자의 태도와 신념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장애 요인임을 강조한 선행연구 (Sun, 2012)의 논의와도 일치한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암 환자의 극복력과 같은 환자 의 긍정적인 신념과 삶의 질과의 경로를 탐색하고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Ferrans 등(2005)은 건강관리에 대하여 새로운 관점을 두어야 함을 주장하면서, 삶의 질 에 대하여 대상자와 관련된 요인의 전체에 관심을 가져야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측면에 서 본 연구는 췌장암 환자가 치료과정에서 겪게 되는 문제를 전인적인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었으며, 삶의 질과 관련된 변수들의 인과관계와 각각의 효과를 비교적 명확하게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를 제공하는 실무자에게 간호중재에 필요 한 설명 모형을 제시하였고, 본 모형을 바탕으로 췌장암 환자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일부 지역 병원의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여 조사한 자료를 토대로 하여 구조 모형을 구축하였으므로 연구결과를 해석 하거나 일반화할 때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기 위해 서는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반복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이론, 간호연구, 간호실무 측면에서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1) 간호이론 측면

본 연구는 췌장암 환자의 삶의 질 관련 변인에 대한 인과적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 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요인들을 바탕으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국내에서 처음으로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삶의 질 구조모형을

2) 간호실무 측면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모델을 기반으로 췌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간호를 제공하는 실무 자에게 간호중재방안을 개발하고, 평가지침을 작성하는데 이론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각된 건강상태는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이자, 기능상태에 직접적 인 영향을 받는 요인이다. 따라서 기능상태를 평가하고, 대상자의 요구 수준에 따른 프로 그램 개발 및 적용을 통해 기능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간호가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대상자의 요구에 기초한 간호제공으로 삶의 질 향상에 더욱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3) 간호연구

본 연구는 Ferrans 등(2005)의 건강관련 삶의 질 모형을 바탕으로 췌장암 환자의 삶의 질과 관련된 요인들을 총체적으로 포함한 구조모형을 구축하였다. 본 모형을 바탕으로 췌 장암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어떠한 요인에 대한 중재가 최상의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를 알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지각된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 여 적용하는데 이론적 배경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췌장암 뿐만 아니라 다른 종류의 질환에서 건강관련 삶의 질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