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감성지능, 대인관계능력, 직무만족 정도

본 연구 대상자들의 감성지능 정도는 평균 3.42점으로 중간 수준 이상이었으며 하위영역별 평균은 자기감성이해 3.71점, 타인감성이해 3.53점, 감성활용 3.28점, 감성조절 3.19점으로 감성조절과 활용이 다른 영역보다 낮았다. 이 같은 결과는,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지방소재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문은경(2012)과, 이경희와 송정수(2010)의 연구에서 각각 평균 3.50점, 3.41점으로, 감성조절과 활 용 정도가 다른 영역들보다 낮았던 결과들과 유사하였던 반면에, 다른 도구를 사 용한 경기지역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이수진(2013)의 연구나 최지현 (2010)의 연구, 서울지역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최은주(2011)의 연구에 서 감성지능 점수가 자기감성이해, 타인감성이해, 감성조절과 활용 순으로 높았 고, 전체 감성지능의 평균을 각각 4.62점(5점 척도 환산 시 3.30점), 4.66점(5점 척도 환산 시 3.32점), 4.58점(5점 척도 환산 시 3.27점)으로 보고한 결과 보다는 높은 수준이었다. 또한 21개 기업 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황필주(2007)의 연구에 서는 평균 3.63점, 김부희(2011)의 연구에서는 평균 3.57점으로 나타나 본 연구대 상 간호사의 감성지능이 타 직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보다는 낮은 수준이었다. 이 결과는 사고와 행동의 유연성 및 창조성이 강조되는 일반 기업체에 비해 간호사 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업무 특성상 절차와 규칙을 따르는 업무수행이 강조되 고 지시와 감독을 받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지만(이하진, 2013), 이를 근거할 수 있는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Goleman (1995)에 따르면, ‘감성지능이란 좌절상황에서도 개인을 동기화 시키 고 자신을 지켜낼 수 있게 하고, 충동의 통제와 지연만족을 가능하게 하며, 기분 상태나 스트레스로 인해 합리적인 사고를 억누르지 않게 하고, 타인에 대해 공감

할 수 있으며 희망을 버리지 않는 능력’으로, 감성지능은 현실적인 자신감, 개인 적인 정직성, 개인의 강점과 약점에 대한 지식, 변화나 어려운 시기에 있어서의 탄성력, 자신의 사기진작, 인내심 및 다른 사람들과 잘 지내는 요령 등과 같은 개인적인 능력의 기본이 된다(Cherniss & Adler, 2000). 또한 한금선 등(2009)에 따르면, 특히 간호사는 업무의 특성상 환자의 관점을 이해하여 환자들의 의료서 비스 만족도를 높여주고, 보호자 혹은 타 의료직종의 사람들과 효율적인 의사소 통을 하기 위해 지적 능력 외에 자신과 타인의 감정에 대한 정확한 이해력과 진 실한 공감능력을 갖고 있어야 하며 자신의 감정을 통제할 수 있는 감성지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 대상자들의 감성지능은 중간 이상의 수준으로 선행연 구들과 유사하거나 서울경기 소재 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 보다는 높았으나 타 직종 대상자보다는 낮게 나타나, 간호사들의 감성지능, 특히 감성지능의 하위영 역 중 감성조절, 감성활용이 낮았던 점을 고려하여 이들 영역의 감성지능에 관심 을 두고 증가시킬 필요가 있겠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대인관계능력은 평균 3.44점으로 중간 수준 이상이었으며, 친근감, 이해성, 의사소통, 신뢰감, 민감성, 개방성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장 인을 대상으로 한 정경진(2010)의 연구 결과(평균=3.15점) 보다 높은 수준이었으 며,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평균 3.48∼3.49점, 의사소통과 개방성 영역 에서 낮은 점수를 보인다고 보고한 선행연구와 유사한 결과이었다(문은경, 2012;

정수정, 2007). 또한 간호사 대상의 ‘의사소통능력’ 관련 선행 연구들에서 간호사 들의 의사소통능력이 평균 3.33∼3.48점으로 유사하였다(배주영, 2008; 이현숙, 2007; 최지현, 2010).

정태영(2011)에 따르면, 오늘날과 같이 빠르게 변화하고 경쟁이 치열한 사회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원만한 대인관계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바, 대인관계기술은 직장 내 인재가 갖추어야 할 핵심역량 중 하나로 평가된다 (조대연, 2005). 즉, 개인적 차원에서는 환경적응과 만족을 위해, 조직 차원에서는 집단의 응집력과 개개인의 직무만족에 기인한 조직유효성 및 조직의 원활한 운 영을 위해 인적자원관리에서 필수적인 사항이다(정경진, 2010). 간호업무는 환자, 보호자와 치료적 관계를 수립하고, 다양한 의료인과 협조적인 인간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대인관계능력의 향상은 간호업무성과 향상과 직결되며, 특히 간호 사의 대인관계능력은 환자가 평가하는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우경 화, 2008). 따라서, 본 연구결과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영역 중 친근감, 이해성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던 반면에 의사소통, 신뢰감, 민감성, 개방성에서 낮은 점수를 보인 점을 고려하여,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특히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 대상자들의 직무만족은 평균 3.04점으로 조선업체 직원을 대상으로 한 김부희(2011)의 연구 결과인 3.56점 보다는 낮은 수준이었으나, 간호사를 대상으 로 한 선행 연구들에서 2.91점∼3.18점(박선하, 2012; 윤영란, 2012; 윤혜신, 2013;

이하진, 2013)이었던 결과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직무만족이란 자기직무에 대한 호의적 태도를 말하는 것으로 자신의 직무생활 에 대해 긍정적인 감정을 가진 개인의 심리상태를 의미한다(신유근, 2005). 박성 애, 이은주와 김정희(2000)에 따르면, 직무만족도가 높은 간호사는 그 조직에 더 오래 근무하고 업무성과도 높고 환자의 만족도도 높아지며 그에 따라 대상자의 치료이행 수준도 증가한다. 반면에 병원조직의 주요 구성원인 간호사가 자신의 직무에 만족하지 못하면 업무효율성이 저하되고, 간호조직의 생산성에 기인하는 업무성과 저하와 이직률 증가라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면서 병원은 질적 관리 및 경영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장인순와 박승미, 2011). 따라서 본 연구 대상 간호사 의 직무만족도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들의 결과들과 유사하였으나 다른 직종의 대상자보다는 낮게 나타나 간호사들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감성지능, 대인관계능력, 직무만족도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감성지능 정도의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 기혼자, 비교대 근무자, 책임 수간호사, 산․소아과 간호단위와 외래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능력 정도의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 기혼자, 비교대 근무자, 정규직 간호사와 산 소아과 간호단위 및 외래 등 기타부서 근무자가 그렇지 않은 간호사들 보다 대인관계능력이 더 높았 다. 이 같은 결과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문은경(2012)과 정수정(2007)의 연구에 서 연령이 많고, 임상경력 10년 이상인 경우, 기혼자, 급여가 높을수록 대인관계 능력 정도가 높았던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는 지식적으로 준비됨이 의사소통에 있어서 자신감을 갖게 하며, 축적된 근무경험이 의사소통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보고한 배주영(2008)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업무는 환자나 보호자와 치료적 관계를 수립하고 다양한 의료인과의 협조 적인 인간관계를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대인관계능력의 향상은 간호업무성과와 직결된다. 또한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간호조직 내 효율적인 의사소통능력은 간 호업무성과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즉 의사소통능력은 간호업무성과와 순 상관 관계를 나타내며(배주영, 2008),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김 은영, 2011). 정경진(2010)은 직장인 2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으로 대인관계능력이 향상된다고 하였으며, 최설희(2012)는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복원력 등의 긍정심리자본을 보유하고 개발하는 것이 대인관계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따라서 대인관계능력 정도가 낮았던 미혼자나 경력이 낮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 마련 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본 연구 결과,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영역들 중 의사소통에서 낮은 점수를 보고하였던 점을 고려하여 의사소통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 모색도 함께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분 석 결과, 기혼자, 책임 수간호사, 월 급여 201만원 이상인 간호사가 그렇지 않은 간호사들 보다 직무만족도가 더 높았다. 기혼자인 경우, 미혼자보다 심리적으로 더 안정되어 있고 직무나 조직에 대한 책임감이 커지고 직위가 높으면 자신의 직업에 대한 애착과 자긍심을 가지게 된다(우경화, 2008). 또한 연령과 임상경력

이 높아짐에 따라 숙련된 직무수행이 가능하게 되고, 승진을 통해 얻은 직위는 개인적 보상이 이루어진 것으로 자신의 직무에 대해 긍정적 가치를 가지게 되어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여진다(이하진, 2013). 특히 책임․수간호사의 경 우, 간호단위 내 행정적 의사결정과정에도 참여하면서 동시에 환자를 대상으로 실제 간호를 수행하는 직무특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박성애 등, 2000).

3.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 및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

대상 간호사들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 과, 간호사들의 감성지능 정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과 직무만족 정도가 높았

대상 간호사들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 과, 간호사들의 감성지능 정도가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과 직무만족 정도가 높았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