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 향을 파악하여 인적자원관리의 방안으로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 관 련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J 지역 소재 5개 종합병원 근무 간호사 315명을 대상으로 자 료수집은 2013년 11월 6일∼12일까지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도구는 감성지능 측정은 Wong과 Law (2002)가 개발한 감성지능 측정도 구(WLEIS)를 황필주(2007)가 번안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대인관계능력 은 Guerney (1977)의 대인관계변화척도(RCS)를 문은경(2012)이 간호사를 대상으 로 사용한 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직무만족도 측정은 미네소타 산업관계 연구소의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MSQ)를 번역하여 사용한 이상 금(1996)의 도구를 김정희(2000)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여 Chronbach's alpha, 서술적 통계 분석과 t-test, ANOVA, Scheffe-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감성지능, 대인관계능력, 직무만족도의 평균은 다음과 같다.

(1) 감성지능의 평균은 3.42±0.38점이었으며 하위영역의 평균은 자기감성이해 3.71±0.47점, 타인감성이해 3.53±0.47점, 감성 활용 3.28±0.55점, 감성 조절 3.19±0.58점이었다.

(2) 대인관계능력의 평균은 3.44±0.41점이었으며, 하위영역의 평균은 친근감 3.53±0.54점, 이해성 3.52±0.51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의사소통 3.33±0.60점, 신뢰감 3.33±0.60점, 민감성 3.33±0.60점, 개방성 3.27±0.55점 순이었다.

(3) 직무만족의 평균은 3.04±0.49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감성지능, 대인관계능력, 직무 만족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1) 감성지능은 결혼상태(t=-3.49, p<.001), 근무부서(F=10.16, p=.001), 근무형 태(t=2.76, p=.006), 직위(t=-2.77, p=.00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즉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비교대 근무자가 3교대 근무자보다, 책임․수간호사가 일반간호사보다 감성지능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2) 대인관계능력은 결혼상태(t=-2.63, p=.009), 근무부서(F=7.37, p<.001), 근무 형태(t=3.15, p=.002), 고용형태(t=2.02, p=.044)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 이가 있었다. 즉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비교대 근무자가 3교대 근무자보다, 정규직이 비정규직보다 대인관계능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분석 결과, 근무부서는 외래 등 기타부서가 내과계 간호단위와 특수부서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3) 직무만족은 결혼상태(t=-2.15, p=.032), 현 병원경력(F=2.80, p=.026), 근무부 서(F=10.16, p=.016), 직위(t=-3.62, p<.001), 월 급여(t=-3.27,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책임․수간 호사가 일반간호사 보다, 월 급여 201만원 이상 간호사가 그렇지 않은 간호 사 보다 직무만족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3) 대상자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 직무만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감 성지능은 대인관계능력(r=.69, p<.001), 직무만족(r=.46, p<.001)과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으며, 대인관계능력은 직무만족(r=.37, p<.001)과 유의한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간호사의 직무만족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은 감성지능의 감성 활용이었으며(β=0.27, t=4.84, p<.001), 이는 감성지능의 감성조절, 대인관계 능력의 친근감과 책임 수간호사 직위와 함께 대상 간호사의 전체 직무만족도 를 27.3% 설명하였다(F=30.38, p<.001).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이 직무만족도를 높이는 관 련성이 높은 요인임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고 더불어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감성지능을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2. 제언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연구 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다양한 병원을 대상으로, 더 많은 수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에 대한 반복 연구가 필요하다.

2)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감성지능 향상과 함께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3) 또한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 특히 감성지능의 감성활용과 조절, 대인관계능력의 친근감과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개발과 감성

지능과 대인관계능력이 모두 낮았던 20대 간호사, 병원경력 5년차 미만 간호 사,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적용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김경수, 김공수, 김인숙, 양동민, 김태준 (2010). 감성지능 개발을 통한 삶의 질 향상. 서울: 집문당. 110.

김명화 (2008). 수간호사의 감성리더십이 간호사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 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진주.

김부희 (2011). 조직구성원의 감성지능,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충성간의 관계 규명.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김은영 (2011). 의료조직 내 의사소통과 직무만족과의 영향관계에 관한 연구. 석 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서울.

김정희 (1997).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부산.

김정희 (2000). 제조업 근로자의 직업성 스트레스 모형 구축. 박사학위논문, 서울 대학교, 서울.

김정희, 박성애 (2002). 일반간호사의 대처전략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간 호행정학회지, 8(1), 97-105.

김정희, 현미열 (2005). 임상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산업간호학회지, 14(2), 108-117.

문선모 (1980). 인간관계훈련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일연구. 경상대학교 논문 집, 19(2), 195-204.

문은경 (2012).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 조직시민행동, 소진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진주.

박수미 (2013).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감성지능 의 조절효과. 석사학위논문, 순천대학교, 순천.

박선하 (2012). 병원 간호사의 갈등관리 유형에 따른 의사소통 능력, 직무만족도 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박성애, 이은주, 김정희 (2000). 일 종합병원 간호사의 지각된 간호조직특성과 직

무만족. 간호행정학회지, 6(3). 347-356.

이수진 (2013). 임상 간호사의 감성지능, 대인관계 능력과 업무성과와의 관계. 석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부산.

Cherniss, C. (2002). Emotional Intelligence and Good Community,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0(1), 1-11.

Codier, E, Kooker, B., Shoultz, J. (2008) Measur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linical staff nurses: An approach for improving the clinical care

environment. Nursing Administration Quarterly, 32(1), 8-14.

Cooper, R. K., & Sawaf, A. (1997). Executive EQ: Emotional Intelligence in Leadership and Organizations. New York, NY: Putnam Adult.

Cote, S., & Miners, C. T. H. (2006). Emotional intelligence, cognitive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Administration Science Quarterly.

51(1), 1-28.

Gardner, H., Kornhaber, M., & Wake, W. (1996). Intelligence: Multiple perspectives. Ft. Worth, TX: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NY: Bantam.

Guerney, B. G., (1977). Relationship Enhancement: Skill-Training Program for herapy, Problem Prevention, and Enrichment.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Guleryuz G, Guney S, Aydin EM, & Asan O. (2008).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A Questionnaire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5(11), 1625-1635.

McQueen, C. H. (2004). Emotional intelligence in nursing work. J ournal of Advanced Nursing, 47(1), 101-109.

Morrison, W. (2002). Newcomers' relationships: The role of social network ties during social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5, 149-1160.

Rosa, M. J. (2011). Emotional skill-key components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J 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Governance, 1(1), 237-251.

Wong, C. S., & Law, K. S. (2002). The effects of leader and follower emotional intelligence on performance and attitude: An exploratory study. The Leadership Quarterly, 13(3), 243-274.

Abstract

The Clinical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Ko, Hyun-Rok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Je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Kim, Jeong-He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e clinical nurses'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job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15 nurses who had worked for more than 6 months at five general hospitals in J province.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participants’ emotional intelligence (by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interpersonal relationship (by Relationship Change Scale), and job satisfaction (by the Minnesota Satisfaction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sed by Chronbach's alpha,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3.42 (SD=0.38). In sub-factors, there were 3.71 (SD=0.47) on self emotional appraisal, 3.53 (SD=0.47) on other's emotional appraisal, 3.28 (SD=0.55) on use of emotion, 3.19 (SD=0.58)

on regulation of emotion.

2. The mea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3.44 (SD=0.41). In sub-factors, there were 3.53 (SD=0.54) on intimacy, 3.52 (SD=0.51) on understanding, 3.33 (SD=0.60) on communication, 3.33 (SD=0.60) on trust, 3.33 (SD=0.60) on sensitivity, 3.27 (SD=0.55) on openness.

3. The mean of job satisfaction was 3.04 (SD=0.49).

4. Emotional intellig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marital status (t=-3.49, p<.001), working unit (F=10.16, p=.001), shift work (t=2.76, p=.006), and position (t=-2.77, p=.006).

5.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marital status (t=-2.63, p=.009), working unit (F=7.37, p<.001), shift work (t=3.15, p=.002), and employed status (t=2.02, p=.044).

6.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marital status (t=-2.15, p=.032), clinical experience in present hospital (F=2.80, p=.026), working unit (F=10.16, p=.016), position (t=-3.62, p<.001), and monthly salary (t=-3.27, p=.001).

7. Emotional intellige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r=.69, p<.001).

8. Emotional intelligenc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r=.46, p<.001) and in sub-factors, use of emotion (r=.44, p<.001), regulation of emotion (r=.35, p<.001), self emotional appraisal (r=.31, p<.001), and other's emotional appraisal (r=.20, p<.001)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9.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r=.37, p<.001) and in sub-factors, intimacy (r=.42, p<.001), trust (r=.31, p<.001), openness (r=.29, p<.001), understanding (r=.23, p<.001), communication (r=.22, p<.001), and sensitivity (r=.22, p<.001)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Consequently,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ntributed to the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program for increas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for improving job satisfaction.

Key words : emoti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relationship, job satisfaction

연구 참여 동의서

연구 제목 :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 직무만족도 연 구 자 : 고 현록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석사과정)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 직무만족의 정도 를 확인하고 그 관계들을 파악하여 간호조직의 인적자원관리와 조직 유효성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고 있습니다.

다음 내용을 읽으시고 연구 참여에 동의하시는 분은 아래의 빈칸에 서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 연구 참여로 인한 어떤 불이익도 없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본 연구에 참여하는 것은 자발적인 의사에 의한 것이며,

만일 연구 참여를 원하지 않을 경우 언제든지 중단할 권리가 있습니다.

설문에 응답하신 내용은 무기명으로 전산 처리되어 익명성이 보장되며,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내용은 연구 목적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을 것을 약속드 립니다. 설문에 소요되는 시간은 약 10분 정도이며,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작성 하신 설문지는 작성이 끝남과 동시에 밀봉 가능한 개별봉투에 넣어 타인이 열 어 볼 수 없게 밀봉하여 회수됩니다.

2013년 11 월

참여자 : (인)

안녕하십니까?

저는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간호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본 설문지는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 직무만족의 정도를 확인하고 그 관계들을 파악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이 설문조사는 임상간호사의 감성지능과 대인관계능력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병원의 주요 인적자원으로서 조직유효성을 높이 고, 간호서비스의 질과 환자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입니다.

설문조사에 참여를 부탁드리며 귀하의 동의를 얻고자 합니다.

본 설문은 연구 목적으로 만 사용되고 특정 병원이나 개인적인 내용이 별도로 평가되지 않으며, 비밀이 철저히 유지될 것임을 약속드립니다.

본 자료는 연구 자료로 소중하게 이용될 것입니다.

귀하의 응답은 본 연구를 위해 매우 소중한 자료가 될 것이며,

귀하의 응답은 본 연구를 위해 매우 소중한 자료가 될 것이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