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014년도 정부업무평가 청 단위 “1위”

37

12 13 14 38 39

5

1. 산림복지서비스로 “국민행복” 을 증진 ! Ⅱ. 주요 추진상황 및 발전방향

주요 추진상황 미흡한 점 발전방향

『산림복지 진흥에 관한 법률』 제정(’15.3)

→ 통합 · 체계적 산림복지서비스 기반 구축

휴양림·치유의 숲 등 산림복지 인프라 확충 및 수요자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운영

→ 산림복지 수혜인구 ‘3천만명’ 시대 개막

→ 산림복지서비스 국민인식 · 만족도 향상

산림복지 수요증가를 산업화로 연계 · 강화할 필요

* 정부주도형 서비스로 민간분야 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은 미약

“국민수요에 맞는 다양한 산림복지 서비스 강화 및 민간산업 활성화”

『산림복지법』 시행 준비

’15

산림레포츠 시설기준 마련

산림복지 민간산업화 방안 연구 등

『산림복지법』 시대 돌입

’16~

산림복지단지 → 장기형 치유공간

민간업 등록제 등 → 산업화 유도

산림복지-산촌경제 연계 추진

64

75

36

25

’10 ’15

단위 : %

G OO D B

AD 단위 : %

<산림휴양시설 조성·운영에 정책에 대한 국민인식>

낙후된 산촌지역을 복지공간으로 연계 · 활용할 필요

* 산림복지일자리 : (’14) 12백 → (’17) 17백명

6

2. 6차산업화 등으로 “임업의 부가가치” 를 제고 !

주요 추진상황 미흡한 점 발전방향

『목재의 지속가능한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13.5)

→ 목재산업 육성, 국산목재 이용촉진 제도화

‘산림산업의 6차산업화’ 추진

지속적인 6차산업화 예산 확충 · 프로그램 개발 등 필요

ICT 등 첨단기술을 접목한 스마트임업 활성화 필요

산주의 사유림 경영의지 미약

→ 수익모델 창출·확산 등 필요

“6차 산업화 확산과 신규·유망 산업 육성 등으로 임업의 가치를 극대화”

신규 인프라 확충

’15

6차산업화 체계 정비(예산, 정책 등)

국가정원 지정 및 정원지원센터 조성

사유림 경영혁신 대책 마련 임업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16~

산림자원 6차산업화 단지 운영

정원·자생식물 분야 민간산업화

생산·효율성 높은 스마트임업 구현

* 국내 목재업계 시설개선·기술교육 최초 실시

정원 · 자생식물 등 유망산업 육성기반 구축

* 『수목원·정원법』 개정 → 정원산업 육성 근거

* 정원문화 확산(코리아가든쇼 등) → 6차산업화

* 유용식물 수집·증식·분양 → 산업화 기반마련

* 6차산업화 단지 최초 조성(군위 · 청도 등)

* 주산지별 6차산업화 현장토론회 및 컨설팅

Ⅱ. 주요 추진상황 및 발전방향

7

3. 산림재해 최소화로 “국민안전” 을 강화 !

주요 추진상황 미흡한 점 발전방향

‘산불골든타임제’ 등 산불대응력 강화

→ 산불 피해면적 경감

(82%↓)

산사태취약지역 중심의 선제적 예방·대응

→ 산사태 피해경감

(85%↓)

및 인명피해 ‘0’

소나무재선충병 국가관리를 강화 했으나, 지자체 방제품질이 저하

초동진화 강화로 산불피해면적은 감소했으나, 발생건수는 증가

•(’12) 197 → (’13) 296 → (’14) 492

“과학적이고 섬세한 방재활동으로 안전관리의 빈틈을 최소화 ”

안전관리 사각지대 집중관리

’15

소나무재선충병 모니터링센터 설립

일반·돌발병해충 방제활동 강화

소각산불 없는 녹색마을 운영 확대 과학적 산림재해관리 추진

’16~

소나무재선충병 완전방제(’17까지)

산림재해 통합관리시스템(ICT활용)

10년 평균 ‘13 ‘14 776

552 137

<연간 산불피해면적>

참나무시들음병·돌발해충 등의

방제작업이 상대적으로 소홀

* 산불 : (’14) 492 → (’17) 430건

* 재선충병 : ’17까지 10만본 이하 유지

10년 평균 456

312 70

‘13 ‘14

7명 3명

0명 사망자

<연간 산사태 발생·피해규모>

단위 : ha

Ⅱ. 주요 추진상황 및 발전방향

8

4. 산림규제 개혁으로 ”국민경제” 를 활성화 !

추진상황

(’14년 국조실 규제평가 1위)

미흡한 점 발전방향

핵심규제 30건 등 개선을 통해 투자 활성화

→ 2조3천억원의 경제적 효과 기대

- 풍력발전 산지편입 완화(풍력발전 2.5배↑효과)

- 가축방목 허용 확대(저항력↑· 부산물 사료화)

- 산업단지 등 보전산지 편입제한 폐지 - 벌기령 완화(’67년 이후 최초)

타 산업의 산지이용 촉진에 집중, 상대적으로 임업인의 체감도 부족

→ 임업인 관련 규제 개선으로 경영활동을 지원할 필요

“산지의 합리적 이용을 위한 현장중심의 규제개혁 강화”

<벌기령 완화에 따른 편익 추정>

임업활성화 및 합리적 산지이용

’15

청정 임산물 재배면적 제한 등 폐지

연접개발제한 등 비합리적 규제 개선

산악관광 활성화 제도정비 추진 끝까지 책임지는 현장중심 개혁

’16~

기 개선된 과제의 현장 모니터링을 위한 규제개혁 A/S팀 운영

산·관 협의체 및 현장 지원센터 상설 운영으로 현장 개혁과제 지속 발굴

산악관광 등 산지를 활용한 고부가 비즈니스 창출이 필요

Ⅱ. 주요 추진상황 및 발전방향

9

5. 세계산림 선도로 ”국가 품격” 을 제고 !

주요 추진상황 미흡한 점 발전방향

『해외농업·산림자원 개발협력법』 개정(’15.1)

→ 해외산림자원 개발 지원체계 정립

세계 산림생태계 및 산림경관복원 이행

→ 산림복원 분야의 리더 역할 수행

해외산림협력 양적 확대

→ 국가별 특성화된 협력사업으로 질적강화 및 성과제고가 필요

국가 기후변화 대응과 연계된 산림탄소상쇄제도 활성화 필요

“대표적인 치산녹화 성공국으로서 국제사회의 그린리더십을 강화”

체계화된 해외산림정책 마련

’15

해외산림자원 개발 종합계획 수립

국가별 특성화된 협력과제 발굴

상쇄제도 현장설명회·심포지엄 등 그린리더십 강화

’16~

해외조림 확대로 산림자원 확보

산림협력 및 ODA 성과 창출

산림탄소관리사 자격제도 운영 등

『탄소흡수원법』 제정 ·시행(’13.2)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산림의 역할 강화

<임업분야 온실가스 배출목표 대비 감출실적>

VIP 해외순방 시 산림분야 MOU체결(3개국)

→ 투자 안정성 확보 및 협력체계 강화

* 해외조림 : (’14) 35만 → (’17) 46만ha

Ⅱ. 주요 추진상황 및 발전방향

10

6. 정부3.0시대의 다양한 ”산림협업” 을 전개 !

추진상황

(’14 국조실 협업평가 4위)

미흡한 점 발전방향

재해 대응력 제고(국토부·소방·경찰청 등)

주택지 사면의 예방사방 공동추진 필요(국토부, 지자체 건축부서 등)

“새로운 아이디어와 유기적 협력을 통해 창조적 협업시대를 선도”

협업과제 전수조사

’15

기 협업과제 홍보 및 모니터링 추진

• 全부처 · 기관 대상 협업소요 발굴

창조적 협업성과 창출

’16~

신규 협업과제의 범부처 협력 유도

수출 등 농축산분야 협업성과 극대화

산지축산·산악승마 활성화(농식품부·마사회 등)

산지개발에 따른 임목자원 재활용 조속 추진 필요(국토·환경부 등)

* MOU체결

(’14.2)

이후 시스템구축 시간소요 등으로 성과창출 지연

산림복지 프로그램 다각화(교육·여가부 등)

* 자유학기제, 방과후 아카데미 연계 산림교육

* 스트레스 직군 치유서비스(AI방역·소방·경찰 등)

* 도로변 위험지 조사·사방사업 → 산사태 제로화

* 국가헬기 통합운영 → 세월호 등 재난 공동대응

* 산지 내 가축방목 시범사업 및 모니터링 추진 등

* 산악승마시설 기준 마련 및 시범행사 개최 등

* 농산물 수출망 공동활용을 통한 임산물 수출 증대 : (’14) 4억 → (’17) 7억$

Ⅱ. 주요 추진상황 및 발전방향

숲을 새로운 가치창조의 플랫폼으로 활용 ! Ⅲ. 향후 우리 산림·임업의 모습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