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 간척의 역사

In document 외국의 간척지 이용 사례 (Page 72-76)

Ⅱ. 네덜란드의 간척지 개발과 이용사례

2. 네덜란드 간척의 역사

◦ 네덜란드는 라인강을 비롯한 3대 강의 하류에 위치하여 배수가 불량한 델타 지형의 홍수 범람 지역으로서, 물 관리가 인명·재산과 국토를 보전·보호하 는 데 필수적이며, 토지 확충을 위해서는 간척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었다.

◦ 네덜란드의 초기 간척은 이탄질 토양(peat)으로 형성된 지역에서 9세기 무 렵부터 집중적으로 시행되어 13세기까지 계속되었다.

◦ 1250∼1600년에 네덜란드는 해안지역에서 해수의 침입으로 인한 피해가 극 심하였으므로 대부분의 지역에서 과거에 축조하였던 해안 제방을 높이지 않으면 안 되었다.

- 이 시기의 간척은 북부 프리슬란트에서 주로 이루어졌는데, 13세기 경에 는 미덜해(Middelzee) 주위에 제방을 쌓아 내부를 간척하였으며, 남서부 지역은 하구를 통해 조수의 침입이 빈번하였으므로 소규모의 하구 댐을 막아 간척을 시행하였다.

◦ 1250년 이후에는 남서부 지방의 염습지나 해안의 이탄질 토양 지대를 간척 하여 농업에 이용하였는데, 네덜란드 중부 지역에서는 과거에 간척하였던 이탄질 토양의 지반이 가라앉아 배수에 어려움을 겪게 되자 15세기 초에 배 수를 위해 풍차를 도입하게 되었다.

- 1421년 11월 대규모 홍수로 10개의 도시가 물에 잠긴 이후 제방은 해안 도시의 필수 시설이 되었으며, 방조제를 쌓은 다음 풍차를 이용하여 저 지대의 물을 퍼냈다.

◦ 제방을 축조하는 기술의 발달과 함께 조석이 유출입하던 간석지를 개발하 는 사업이 시작되었으며, 북부지역의 제이퍼(Zijpe) 지역에서는 1552년과 1573년 두 차례의 실패 끝에 1597년 6,500ha를 개발하였으며, 1661년에는 뷔어링어봐르트(Wieringerwaard) 지역에서 1,800ha의 간석지를 개발함으로 써 대규모 해면간척이 시작되었다.

◦ 베임스터 간척지(Droogmakerij de Beemster)의 조성: 1607년 네덜란드 정부 는 농경지 부족을 해결하기 위하여 베임스터 지역을 간척하기로 하고 암스 테르담 상인들과 고위관료들은 재정과 기술자를 준비하여 간척사업을 추 진, 1612년에 7,200ha의 간척사업을 완공하였다.

- 해수면보다 3.5m 낮은 곳에 간척된 토지는 길이 930m×넓이 185m의 직 사각형으로 구획정리하여 농경지로 임대하였다.

- 네덜란드에서 가장 오래된 간척지로서 고대와 르네상스식 계획 원리에 따라 펼쳐진 촌락·제방·운하·도로·들판의 경관을 잘 보존하고 있어 1998 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 17세기 이후 계속 발전해온 간척 기술은 19·20세기에도 계속되었는데, 1840∼

1852년에 완공된 18,000ha의 하르렘머 호수(Haarlemmermeer) 간척은 최대 의 호소 간척이었으며, 해면 간척도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 1833년부터 1911년까지 이루어진 간척 면적은 총 35만ha, 그 중 해면 간척 은 10만ha에 달하였다.

◦ 자위더 해(Zuiderzee) 간척사업의 추진: 1667년 핸드릭 스터핀(Hendric Stevin)

이 최초로 제안하였고, 1893년 코르넬리스 렐리(Cornelis Lely)가 32km에 달하는 방조제 건설 계획을 수립하였다. 1916년 대홍수와 제1차 세계대전 기간에 경험하였던 식량안보의 필요성에 직면하여 의회는 1918년 자위더 해 법(Zuiderzee Act)을 제정하였으며, 이에 의거하여 1919년 자위더 해 사 업청(Zuiderzee Project Directorate)을 설립하고, 1925년 사업 시행 관련 법 을 제정한 데 이어 1927년 방조제 공사에 착공하여 1932년 완공한 이후 현 재까지 5개 지구 중 1개 지구의 개발을 유보하고 4개 지구를 개발하였다.

◦ 델타(Delta) 지구 댐 축조 사업: 델타사업(Delta Project)은 라인강·마스강·스 헬더 강 등 3대강의 하구에 배수갑문을 설치하는 것으로서, 13개 부분으로 나누어 사업을 시행하였다.

- 사업 추진 배경: 델타지구는 네덜란드의 남서부에 위치한 저지대로 1953 년 2월 이 지역에 역사상 가장 큰 홍수가 발생하여 사망자 1,835명, 이 재민 7,200명, 가옥파괴 47,000호, 농경지 침수 16만ha, 방조제 파손 600 개소 500km 등 막대한 피해를 당함으로써 델타사업이 추진되게 되었다.

- 사업 추진 경과: 1958년 의회에서 델타법이 통과된 후 1960∼1997년에 9개의 댐, 2개의 폭풍해일 방벽, 1개의 제방, 1개의 배수 운하 등 13개 시설을 설치하였다.

그림 2-2. 네덜란드의 간척지구와 댐 축조 지구 위치

자위더해(Zuiderzee)간척지구

델타(Delta)사업지구

3. 자위더 해(Zuiderzee) 간척사업

In document 외국의 간척지 이용 사례 (Page 72-76)

Related docu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