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내용 주제별 분류

문서에서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비교·분석 (페이지 42-60)

국 곡의 경우, 원어와 번역어 둘 다 되어 있는 곡(41.2%)과 번역이 안되고 원어 로만 되어 있는 곡(41.2%)이 같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 원어가 없고 번역어로만 되어 있는 곡(17.6%)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과서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던 것은 외국 곡의 경우 번역된 가사와 원어와의 표현에 있어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즉 외국 곡에서 번역상의 여러 가 지 문제로 인하여 실제 작곡자의 의도와는 다른 노래를 하게 되는 경우18)가 있 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학교에서의 가창을 위하여 사용될 제재곡으 로는 우선 가사의 내용과 표현이 잘 조화된 곡이 선정되어야 한다고 생각되었다.

악곡별로 살펴보면 원어와 번역어 둘 다 수록되어 있는 곡은〔대한〕에서는

<사랑하는 아버지>, <그대를 사랑해>, <오! 내사랑>, <세레나데>, <날 울게 하여 주>, <돌아오라 소렌토로> 등이며 참고곡에서도 원어와 번역어로 다 수록되어 있었으며, 〔박영〕에서는 <나를 울게 버려두오>, <그대를 사랑해>, <오! 내사랑>,

<세레나데>는 두 가지 다 수록되어 있는가 하면, <내슬픔 사라져라>에서는 원어 가 없고 번역어로만 제시되어 있었다. 〔세광〕에서는 거의 모든 곡에서 제시해 주고 있었는데, <음악에>에서만 원어를 제시하지 않고 있었다. 〔현대〕에서는

<돌아오라 소렌토로>, <아름다운 달이여>, <세레나타>, <그대를 사랑해>, <오 다정한 아버지>, <날 울게 버려 두오>, <아베마리아>, 등은 원어와 번역어 모두 다 제시해주고 있으나, <노래의 날개위에>에서 원어를 제시하지 않고 있었다.

〔태성〕에서는 <음악에>, <돌아오라 소렌토로>, <그대를 사랑해>, <오! 내사랑>

등 모든 곡에서 원어와 번역어를 제시해주고 있다.

17) 한국현,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과제곡 중 외국 가창곡 번역가사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

악곡별로 내용의 주제를 이해하는데 돕는 범위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몇 곡을 발췌하여 세부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최영섭의 <그리운 금강산>은 시대 상황을 반영한 곡인데, 남북 분단의 상황에 서 가고 싶어도 갈 수 없었던 북녘의 산하를 그리워하는 노래이다.19)

강원도 민요인 <정선아리랑>은 일제를 거치는 동안 사상이 담긴 노래로 애정 을 소재로 한 독특한 가락을 지닌 민요이다.

5종 교과서에 모두 다 수록된 베토벤의 〈그대를 사랑해〉는 남녀간의 영원한 사랑을 읊은 노래로 베토벤의 많지 않은 성악곡 중의 하나이다.

에스파냐 민요 중 <금지된 장난>은 영화 ‘금지된 장난’의 주제 음악으로 사용 되어 전 세계에 알려진 노래이다. 전쟁 중 가족을 잃은 한 어린이의 아픔을 기타 독주곡으로 표현한 음악이다. 덴버의 <Take me home country road>는 미국의 대중가요로 고향(유럽)을 그리워하며 산간 생활의 고독을 노래한 대표적인 컨트 리(country)음악이다. 컨트리 음악이란 백인 이주민들의 전통 민요 형태로 선율 이 서정적이고 가사가 슬픔·눈물·이별을 노래한 것이 많아 한이 우리 민족의 기본적 정서에 부합하였기에 빠르게 수용되어 우리 대중음악에 영향력을 끼쳤 다.20) 이병욱의 <가시버시 사랑>은 우리나라의 국악가요로 부부애를 읊은 노래 이다.

19) 윤경미·문진, 음악, 현대음악출판사(2002), p.75

20) 이용일·김우진·강민선·양은주, 음악과 생활 교사용 지도서, 교학사(2002), p. 108

제 4 장. 결 론

현대의 음악교육은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통한 창의적인 표현에 강조점을 두 고 있다. 교육에서 음악은 다른 과목과는 달리 지적인 영역 외에도 심미적 체험 이 가능한 분야이므로 음악교육은 다양한 음악의 체험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 움을 느끼며 음악을 사랑하는 마음을 기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음악성 과 창조성을 개발시키고 풍부한 정서를 함양하여야 한다.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위해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가창은 가장 중요한, 비중있 는 교육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래서 가창을 통해 학생들이 자기의 목소리로 음 악을 표현함으로써 가장 쉽고 직접적인 방식으로 음악의 아름다움과 예술적 의 미를 체험하고, 음악적 개념을 형성하고, 노래부르기의 기능을 향상시키며, 더 나 아가서는 음악을 통해 자신을 구현하는 기회를 갖는다는 점에서 학교 음악 학습 의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여겨지리라 생각한다. 그러므로 음악교육에서 가창지도 를 통해 복합적인 구성에 따른 다양한 악곡을 다루게 됨으로 예술적인 감각과 음악적인 의미를 이해하여 창조적으로 표현 할 수 있게 되어 풍부한 정서를 함 양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새로이 개편된 교과서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가 창곡은 이전 교과서와는 많은 차이가 있다고 보며, 그 실체를 검토하는 것은 앞 으로 교과서에 수록될 가창곡의 향후 방향성 제시라는 점에서 의미있는 일이라 본다.

점을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차원에서 음악과 교육과정을 서두로 제시하였고, 교 과서에 실린 가창곡의 타당성 여부를 음악과 교육과정에 비추어 점검하는 것으 로 본론의 장을 열었으며, 현재 교과서 내에서 가창곡의 위치가 어느 정도인가를 가늠하는 것으로 교과서 분석 작업을 시작하였다.

이러한 방향에서 조명된 본 논문의 연구 범주는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과 그 이전의 음악과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와 내용을 분석,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 학교의 5종 교과서 분석을 하였다.

교과서 분석은 가창곡의 비율을 살펴 가창교육이 어느 정도 의미 있는지 살폈 으며, 가창곡의 내용 분석에 있어 한국 곡과 외국 곡의 분류, 한국민요와 외국민 요의 분류, 한국 민요의 지방별 분류, 외국 민요의 나라별 분류, 연주 형태의 분 류, 빠르기의 분류, 장단의 분류, 박자의 분류, 조성의 분류, 내용 주제에 대해 분 류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제6차와 제7차 음악과 5종 교과서를 분석하여 종합한 결과 얻어진 결론은 다 음과 같다.

첫째, 한국 곡과 외국 곡의 분류 있어서 제6차에서는 한국 곡이 57.2%, 외국 곡이 42.8%를 차지한 것이 제7차 음악 교과서에서는 한국곡이 59.7%, 외국 곡이 38.2%로 한국 곡은 2.5%가 늘고, 외국 곡은 4.6%가 줄어 든 것을 볼 수 있다. 이 것은 전통음악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이에 부응하여 우리 음악에 대한 특 징과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이해함으로써 우리의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도 록 하려고 한 흔적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외국 곡의 수록보다 한국 곡을 많이 수록한 것은 학생들로 하여금 민 요 장단에 맞추어 한국 민요를 부르게 함으로써 또한 한국 가곡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우리 음악을 통한 정서 함양이 이루어질 것이라 생각된다.

둘째, 한국 민요의 지방별 분류의 경우 제7차와 제6차 모두 경기도, 전라도, 경 상도 민요에 치우쳐 있는 편이지만, 여러 지역을 고르게 분포시켜 학생들에게 다 양하게 제시해 주려고 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충청도, 함경도, 황해 도, 제주도의 민요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좀 더 늘려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교과서에 실려 오던 잘 알려진 민요보다는 잘 알려지지 않은 지방의 민요를 수 록함으로써 여러 지방의 특색을 체험할 수 있는기회 또한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 다. 특히 민요는 학생들이 이해하기에 어렵고 생소하게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교 사 또는 전문가의 노래를 듣고 부름으로서 전통 음악 본래의 맛을 알게 되어 불 러 우리 전통음악을 몸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21세기의 정보화·세계화·다양화 시대 속에서 우리의 음악 문화를 창조하고 이끌어가기 위해 국악 교육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우리의 음악뿐만 아니라, 다양한 시대, 양식, 문화권의 음악을 접하여 우리의 음악 문화 유산과 다른 나라의 음악 문화 유산을 비교하여 각 음악 문화의 음악적 특질과 그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이해함으로써 우리의 음악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새로운 음악 문화 창달에 기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외국 민요의 나라별 분류를 살펴보면 제7차에서는 제6차에 실린 외국 민 요의 곡 수보다 늘었고, 미국,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러시아 등의 몇몇 나라에 치우치던 것이 아시아, 동유럽 등 세계 각국에 걸쳐 골고루 수록하였다. 따라서 제7차에서는 세계 여러 나라의 민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늘렸으며 가창을 통 하여 다른 나라의 음악적 특징을 경험하게 하였다. 그리고 제6차에 9곡이던 미국 민요가 제7차에서는 2곡으로 과다 편중되었던 것이 골고루 편성이 되었다. 여러 나라의 시대별, 지역별, 문화, 인종, 장르 등을 망라한 매우 다양한 음악을 접하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연주 형태의 분류의 경우 제창은 제7차도 제6차와 거의 비슷하게 60.3%

를 차지하고 있는데, 제창곡을 벗어나 2, 3부 합창곡으로 편곡 수록하여 화음을 느끼며 노래 할 수 있게 하여 가창을 통한 화음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하 여야 한다. 악곡을 연주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하고, 곡의 수준과 성격이 다른 곡

를 차지하고 있는데, 제창곡을 벗어나 2, 3부 합창곡으로 편곡 수록하여 화음을 느끼며 노래 할 수 있게 하여 가창을 통한 화음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게 하 여야 한다. 악곡을 연주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하고, 곡의 수준과 성격이 다른 곡

문서에서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비교·분석 (페이지 42-6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