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연구결과

1) 낙상손상의 위험요인

(International Ostepoprpsis Foundation)에서 제시한 정의에 따라 –1 이상 은 정상, -2.5 초과 –1 미만은 골감소증, -2.5 이하는 골다공증으로 분류 하였다.

3) 인구사회학적 특성

한국판 설문지는 선행연구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유의하게 확인되었으 며(오지연 등, 2007), 건강상의 이점을 위해 권장되는 중등도 강도 또는 그 보다 높은 강도의 규칙적인 신체활동을 하고 있는지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유용한 것으로 연구되었다(신성현 등, 2005).

IPAQ 단축형 자기기입식 설문지는 설문작성 전 7일 동안 평소에 하는 신체활동을 포함하여 건강관련 신체활동을 얼마나 시행하였는지, 그 정 도를 측정하도록 되어있다. 평소의 신체활동으로는 스트레칭, 맨손체조 등의 유연성 운동,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아령 등 근력운동, 그리고 출퇴근, 이동 및 운동을 위해 걸은 날 수를 측정하고 있으며, 건강관련 신체활동으로는 격렬한 신체활동(달리기(조깅), 등산, 자전거 타기 등 평 소보다 몸이 매우 힘들거나 숨이 많이 가쁜 신체활동) 및 중등도 신체활 동(평소보다 몸이 조금 힘들거나 숨이 약간 가쁜 신체활동)을 10분 이상 시행한 날의 일수와 이러한 활동을 보통 하루에 몇 분 동안 시행하였는 지를 구체적으로 응답할 수 있게 되어있다.

응답결과를 이용하여 신체활동 수준을 비활동(inactive), 최소한의 신체 활동(minimally active), 건강증진형 활동(health enhancing physical activity) 등 3단계로 분류하였으며(오지연 등, 2007), 분류기준은 IPAQ 점 수환산법을 근거로 하였고(IPAQ Research Committee, 2005), (Table 2)에 정리하였다.

Table 2. Classification based on levels of physical activity(IPAQ Research Committee, 2005)

Category Content

Inactive This is the lowest level of physical activity. Those individuals who not meet criteria for Categories 2 or 3 are considered ‘Inactive’.

Minimally active

Individuals meeting at least one of the below criteria would be defined as accumulating a Minimally active level of activity.

- 3 or more days of vigorous-intensity activity of at least 20 minutes per day

- 5 or more days of moderate-intensity activity and/or walking of at least 30 minutes per day

- 5 or more days of any combination of walking, moderate-intensity or vigorousintensity activities achieving a minimum Total physical activity of at least 600MET-minutes/week.

Health enhancing physical activity

A separate category labelled ‘Health enhancing physical activity’ can be computed to describe higher levels of participation. The two criteria for classification as ‘Health enhancing physical activity’ are:

- vigorous-intensity activity on at least 3 days achieving a minimum Total physical activity of at least 1500 MET-minutes/week

- 7 or more days of any combination of walking, moderate-intensity or vigorous-intensity activities achieving a

한국인 영양섭취기준(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에 서는 칼슘섭취 기준을 평균필요량, 권장섭취량, 상한섭취량을 제시하고 있다(한국영양학회, 2010).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준에 의하여 1일 칼 슘섭취 수준을 부족(평균 필요량 미만), 보통(평균필요량 이상 ~ 권장섭

취량 미만), 충분(권장섭취량 이상) 등 3개 범주로 분류하였으며, 성별,

19~29years under 620 more than 620, under 750 750 and over 30~49years under 600 more than 600, under 750 750 and over 50~64years under 570 more than 570, under 700 700 and over 65~74years under 560 more than 560, under 700 700 and over over 75years under 560 more than 560, under 700 700 and over Female

19~29years under 530 more than 530, under 650 650 and over 30~49years under 510 more than 510, under 650 650 and over 50~64years under 590 more than 590, under 700 700 and over 65~74years under 570 more than 570, under 700 700 and over over 75years under 570 more than 570, under 700 700 and over

(3) 체내 비타민D 보유상태

비타민D 대사물질 중 혈중 농도가 가장 큰 것은 25(OH)D로, 이 농도 는 생체 내 비타민 D 보유 상태를 잘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ichael F,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내 비타민D 보유상태를 나타

내는 변수로써 건강검진조사에서 이루어진 일반혈액검사결과 중에서 혈 청 비타민D(25(OH)D) 농도를 측정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혈청 비타민D의 적정농도에 따라 10ng/mL미만을 심한 결핍(severe deficiency), 10-20ng/mL를 결핍(deficiency), 21-29ng/mL을 상대적인 부족(relative insufficiency), 30ng/mL 이상을 충분한 상태(sufficiency)로 분류하였다(최 희정, 2011).

(4) 음주습관

음주습관은 총 10개 문항으로 구성된 한국어판 알코올사용 장애 진단 검사(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AUDIT는 6개국 공동 연구를 통해 WHO에서 개발되어 한국 어로도 번역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심각한 알코올의존을 가려내는 것 보 다는 초기의 “위험성 있는 음주”를 선별해 내는 것이 목적이다 (Sauders JB, 1993a, 1993b; 김종성 등, 1999). 음주의 양에 대한 3문항, 음주 행태에 대한 3문항, 정신-사회적 문제 유무에 대한 4문항을 포함하 고 있다. 10개 문항 점수의 합을 구하여, 7점 이하는 정상음주, 8점 이상 15점 이하는 문제음주, 16점 이상 19점 이하는 알코올 남용, 그리고 20 점 이상은 알코올 의존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음주습관에 음주 안함을 포함하여 총 5개 분류를 사용하였다.

(5) 흡연상태

평생 흡연을 안 해본 사람, 과거에는 흡연을 하였으나 현재는 안하는 사람, 현재도 흡연 중인 사람 등 3개 범주로 구분하였다.

(6) 비만여부

체중(kg)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누어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를 계산하였고, 체질량지수가 18.5 미만이면 저체중, 18.5이상 25미 만은 정상, 25 이상은 비만으로 3개 범주로 분류하였다.

4. 분석방법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특성과 골밀도 및 낙상손상과의 연관성 을 살펴보기 위하여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고, 빈도 와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건강행태 특성에 따른 골밀도 감소 위험은 다 항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고, 골밀 도에 따른 낙상손상위험은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binomial 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낙상손상에 대한 건강행태와 골밀도의 상호작 용 효과는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한 오즈비를 이용하여, 건강행태 와 골밀도 수준의 교차표에서 joint effect의 실제 관측값(joint observed OR)과 기댓값(joint expected OR)을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상호작용의 크 기는 Additive model과 Multiplicative model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Fig 3), 각 모형을 통한 기댓값보다 10%이상 관측값이 큰 경우, 상호작용이 존재하며, 낙상위험에 대한 상승작용이 있다고 보았다. 골밀도와 건강행 태 변수는 낙상위험이 큰 수준과 작은 수준으로 각각 2분화하였고(Table 4), 골밀도와 건강행태 변수 모두 낙상위험이 작은 수준을 기준으로 하 여 상호작용을 살펴보았다.

모든 통계분석은 SAS 9.3 통계패키지(SAS Institute Inc., Carry, NC, USA)를 통해 분석하였고, 원자료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전체인구집단의 결과로 산출하기 위해 surveyfreq, surveylogistic 프로시져를 이용하였으 며, 유의수준은 p<0.05를 기준으로 하였다.

BMD level

Fig 3. Detection of interaction through the comparison of expected and observed joint effects

Table 4. Health behaviour characteristics binomial variable categories Health behaviour binomial variable For the category

BMD level Normal Normal

Calcium intake Higher than average Higher than average, Than recommended

Less than average Less than average Serum 25(OH)D level Not insufficiency Deficiency, Sufficiency

Insufficiency Insufficiency, Severe insufficiency

Drinking Non-drinking Non-drinking

Drinking Normal drinking, Problem drinking, Alcohol Abuse, Alcohol dependence

Smoke Non-smoking Non-smoking, Past smoking

Smoking Smoking

Obesity Not obesity Normal-weight, Underweight

Obesity Obesity

Ⅲ. 연구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 대상자의 성별분포는 남자가 51%였고, 폐경 후 여성은 전체 여성 의 약 35.8%를 차지하였다. 연령분포는 44세 이하 청년기가 53%로 가장 많았고, 장년기(33.8%), 노년기(13.1%)순으로 나타났다. 거주 지역은 동이 80%로 읍면지역의 4배 정도 많았고, 교육수준은 고졸이 40%로 가장 많 았다. 건강행태 특성으로는 건강증진형 활동을 하는 사람은 약 20%였고, 하루 칼슘섭취권장량을 충분하게 섭취하고 있는 사람은 18% 정도로 나 타났다. 체내 비타민D 보유상태는 90% 이상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정상 음주습관을 가진 사람은 53%였다. 현재까지 흡연경험이 없는 사람 은 52%로 가장 많았고, 비만한 사람은 31%로, 전체의 약 1/3이 과체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2.3%는 지난 1년 동안 낙상 으로 인한 손상으로 의료기관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골감소증은 29.2%, 골다공증은 5.6%로 전체의 약 35%는 골밀도가 정상 보다 낮은 수준이었다(Table 5).

Table 5.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opulation Weighted

Freq Freq (Std Dev) Percent (Std Err) Sex

Male 4,452 26,614,146 (546,756) 51.00 (0.49)

Female 5,614 25,571,749 (499,751) 49.00 (0.49)

Menopause (Female)

Postmenopause 3,145 16,424,494 (422,839) 31.47 (0.55) Premonopause 2,469 9,147,255 (282,569) 17.53 (0.50) Age

44 years or less 4,400 27,692,539 (726,493) 53.07 (0.94) 45-64 years 3,495 17,636,763 (498,097) 33.80 (0.74) 65 years or over 2,171 6,856,593 (266,529) 13.14 (0.51) Residence

Urban 7,442 41,963,741 (1,298,496) 80.41 (1.97)

Rural 2,624 10,222,155 (1,032,742) 19.59 (1.97)

Individual income*

High 2,438 12,638,102 (480,477) 24.60 (0.88)

Midium-high 2,542 13,015,736 (420,190) 25.33 (0.72) Midium-low 2,495 13,071,565 (429,067) 25.44 (0.66)

Low 2,452 12,656,845 (583,760) 24.63 (1.01)

Education level*

Elementary 2,789 10,318,739 (364,299) 19.78 (0.69)

Middle 1,131 5,386,099 (209,186) 10.33 (0.37)

High 3,495 21,025,837 (624,674) 40.31 (0.83)

University and over 2,646 15,431,362 (550,737) 29.58 (0.91)

* Missing data : Individual income=139, Education level=5

Table 5.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opulation(continue) Weighted

Freq Freq (Std Dev) Percent (Std Err)

Physical activity*

Inactivity 3,824 18,978,419 (450,279) 37.06 (0.66) Minimally activity 4,272 22,096,817 (518,480) 43.15 (0.57) Health enhancing

activity 1,813 10,128,668 (343,092) 19.78 (0.58)

Calcium intake*

Deficiency 6,308 30,923,923 (622,973) 70.08 (0.65)

Moderate 977 5,173,708 (201,698) 11.72 (0.41)

Sufficiency 1,530 8,028,695 (270,917) 18.19 (0.52) Serum 25(OH)D level*

Severe insufficiency 593 3,385,832 (258,993) 6.68 (0.50) Insufficiency 5,148 27,716,473 (766,994) 54.69 (1.13) Deficiency 3,148 15,403,487 (571,684) 30.39 (1.01)

Sufficiency 872 4,176,431 (290,121) 8.24 (0.56)

Drinking*

Non-drinking 1,489 6,020,127 (223,708) 11.60 (0.40) Normal drinking 5,573 27,791,507 (605,752) 53.54 (0.65) Problem drinking 1,838 11,155,645 (351,215) 21.49 (0.53)

Alcohol abuse 534 3,297,522 (169,522) 6.35 (0.31)

Alcohol dependence 586 3,645,250 (186,234) 7.02 (0.34) Smoke*

Non-smoking 5,774 27,342,922 (552,119) 52.50 (0.55) Past smoking 1,941 10,218,900 (297,636) 19.62 (0.46)

Smoking 2,332 14,522,989 (397,037) 27.88 (0.57)

* Missing data : Physical activity=157, Calcium intake=1,251, Serum 25(OH)D level=305, Drinking=46, Smoke=19

Table 5.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population(continue) Weighted

Freq Freq (Std Dev) Percent (Std Err)

Obesity*

Underweight 501 2,716,301 (157,206) 5.22 (0.29) Normal-weight 6,413 33,083,923 (686,033) 63.52 (0.60) Obesity 3,134 16,282,634 (396,950) 31.26 (0.59) Fall-related injury

Yes 241 1,195,548 (98,533) 2.29 (0.18)

No 9,825 50,990,347 (893,424) 97.71 (0.18)

Bone mineral density

Normal 5,873 22,096,656 (531,202) 65.24 (0.70)

Osteopenia 3,389 9,879,146 (275,207) 29.17 (0.61)

osteoporosis 804 1,892,379 (91,252) 5.59 (0.27)

* Missing data : Obesity=18

2. 골밀도에 따른 낙상손상의 위험요인

1) 낙상손상의 위험요인

연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낙상손상과의 연관성은 성별, 연 령 그리고 교육수준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Table 6). 남성의 낙상손상 (2.33%)은 여성(2.25%)보다 조금 높았고, 폐경 전과 후로 여성을 나누어 보았을 때에는 폐경 후 여성에서 낙상손상이 3.57%로 폐경 전 여성과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노년기에서 낙상손상이 가장 높았고, 청년기에서는 가장 낮아, 연령이 증가할수록 낙상손상도 증가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에 따라서는 초졸 이하 그룹에서 3.42%로 가장 높았고, 대졸 이상 그룹에서 1.9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건강행태 특성과 낙상손상과의 연관성은 흡연상태 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Table 7). 현재 흡연상태인 그룹에서 낙상손상은 3.05%로 가장 높았고, 한 번도 흡연경험이 없는 그룹에서 두 번째로 높 았다. 신체활동 수준, 1일 칼슘섭취 수준, 체내 비타민D 보유상태, 음주 습관, 비만여부 등의 건강행태 특성은 낙상손상 여부와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Table 6. The relationship between fall-related injur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n = 10,066) In fall-related injury No fall-related injury Chi-squar

e (p-value) Weighted

Freq (%) Weighted

Freq (%)

Total 1,195,548 (2.29) 50,990,347 (97.71)

Sex*        

  Male 619,347 (2.33) 25,994,799 (97.67) 18.3718

  Premenopause 249,358 (1.52) 16,175,136 (98.48) (0.0001) Postmenopause 326,843 (3.57) 8,820,412 (96.43)

Age*        

  44 years or less 539,478 (1.95) 27,153,062 (98.05) 14.2744   45-64 years 391,311 (2.22) 17,245,452 (97.78) (0.0008)   65 years or over 264,760 (3.86) 6,591,833 (96.14)

Residence

  Urban 899,267 (2.14) 41,064,474 (97.86) 3.6268

  Rural 296,281 (2.90) 9,925,874 (97.10) (0.0569)

Individual income          

  High 339,587 (2.69) 12,298,515 (97.31) 2.049

  Midium-high 291,042 (2.24) 12,724,694 (97.76) (0.5623)

  Midium-low 267,131 (2.04) 12,804,434 (97.96)  

  Low 268,774 (2.12) 12,388,071 (97.88)  

Education level*          

  Elementary 352,395 (3.42) 9,966,344 (96.58) 11.5828

  middle 106,446 (1.98) 5,279,653 (98.02) (0.009)

  High 436,862 (2.08) 20,588,975 (97.92)  

  University and over 294,374 (1.91) 15,136,988 (98.09)  

* p<0.05

Table 7. The relationship between fall-related injury and Health behavioural features

(n = 10,066) In fall-related injury No fall-related injury

chi-square

Inactivity 406,494 (2.14) 18,571,926 (97.86) 0.4697 Minimally activity 512,204 (2.32) 21,584,613 (97.68) (0.7907) Health enhancing

activity 250,073 (2.47) 9,878,595 (97.53)  

Calcium intake          

  Deficiency 679,492 (2.20) 30,244,431 (97.80) 0.389

  Moderate 99,424 (1.92) 5,074,284 (98.08) (0.8232)

  Sufficiency 190,840 (2.38) 7,837,855 (97.62)  

Serum 25(OH)D level          

  Severe insufficiency 51,212 (1.51) 3,334,619 (98.49) 1.3576   Insufficiency 643,758 (2.32) 27,072,715 (97.68) (0.7155)

  Deficiency 334,675 (2.17) 15,068,812 (97.83)  

  Sufficiency 100,739 (2.41) 4,075,692 (97.59)  

Drinking        

  Non-drinking 124,228 (2.06) 5,895,899 (97.94) 3.9551   Normal drinking 630,303 (2.27) 27,161,204 (97.73) (0.4121)   Problem drinking 237,043 (2.12) 10,918,601 (97.88)  

  Alcohol abuse 75,863 (2.30) 3,221,659 (97.70)  

  Alcohol dependence 125,803 (3.45) 3,519,447 (96.55)  

Smoke*          

  Non-smoking 558,925 (2.04) 26,783,996 (97.96) 7.8071   Past smoking 190,651 (1.87) 10,028,249 (98.13) (0.0202)

  Smoking 443,663 (3.05) 14,079,326 (96.95)  

Obesity          

  Underweight 48,942 (1.80) 2,667,359 (98.20) 0.4577

  Normal-weight 770,820 (2.33) 32,313,103 (97.67) (0.7954)

  Obesity 375,786 (2.31) 15,906,848 (97.69)  

* p<0.0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