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연구결과

2) 골감소증 및 골다공증의 위험요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는 성별, 연령, 지역, 교육수준이 골밀도 수 준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고(Table 8), 건강행태 특성 중에서는 모든 특 성 즉, 신체활동 수준, 1일 칼슘섭취 수준, 체내 비타민D 보유 상태, 음 주습관, 흡연상태, 비만여부가 골밀도 수준과 유의한 연관성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Table 9).

성별 골밀도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과 폐경 전 여성에서 골밀 도 수준이 정상인 사람은 전체의 약 2/3정도를 차지하였지만, 폐경 후 여성에서는 골감소증군의 비중이 52.7%로 가장 많았고, 골다공증군은 25.8%로, 골밀도가 정상보다 낮은 상태에 있는 사람이 약 2/3 정도를 차 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골밀도 수준의 차이는 더욱 크게 나타났다. 청년기에서는 80.5%가 정상 골밀도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노 년기에서는 골밀도가 정상인 사람은 약 20%에 불과하였으며, 49.4%는 골감소증, 31.5%는 골다공증으로 나타났다.

신체활동수준에 따라서는 활동이 많을수록 정상 골밀도의 비중이 높았 으며, 1일 칼슘섭취량도 부족한 집단(60.6%)보다 충분한 집단(72.2%)에서 정상 골밀도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비만여부에 따라서는 저체중에서 는 골다공증의 비율이 11.4%인 반면, 비만군에서는 4.0%로 체중이 많이 나갈수록 골밀도의 비중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8.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sociological

Total 22,058,423 (65.26) 9,861,837 (29.17) 1,883,054 (5.57)

Sex*

  Male 12,948,785 (74.91) 4,029,852 (23.31) 306,768 (1.77) 2472.279

(<.0001)   Premenopause 7,874,201 (73.83) 2,729,969 (25.60) 61,478 (0.58)

Postmenopause 1,273,670 (21.53) 3,119,325 (52.72) 1,524,132 (25.76)

Age*      

  44 years or less 14,525,456 (80.50) 3,437,076 (19.05) 81,858 (0.45) 2795.055 (<.0001)    45-64 years 6,713,220 (59.17) 4,231,402 (37.29) 401,153 (3.54)

  65 years or over 857,981 (19.16) 2,210,668 (49.37) 1,409,367 (31.47)

Residence*      

  Urban 18,269,159 (66.99) 7,676,628 (28.15) 1,326,163 (4.86) 45.5977

(<.0001)

  Rural 3,827,498 (58.03) 2,202,517 (33.39) 566,216 (8.58)

Individual income      

  High 5,218,137 (64.57) 2,360,094 (29.20) 503,392 (6.23) 7.5436

(0.2735)   Midium-high 5,483,250 (64.50) 2,552,908 (30.03) 464,642 (5.47)

  Midium-low 5,582,160 (65.81) 2,504,441 (29.52) 396,085 (4.67)

  Low 5,530,829 (66.83) 2,294,936 (27.73) 450,453 (5.44)

Education level*      

  Elementary 2,013,216 (30.11) 3,237,487 (48.41) 1,436,343 (21.48) 1766.757 (<.0001)

  Middle 2,033,020 (58.93) 1,256,149 (36.41) 160,572 (4.65)

  High 10,080,703 (74.55) 3,242,856 (23.98) 199,381 (1.47)

  University and

over 7,958,640 (78.09) 2,136,979 (20.97) 96,084 (0.94)

* p<0.01

Table 9.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ural features and BMD

  Inactivity 7631,323 (61.90) 3,757,734 (30.48) 938,667 (7.61) 86.9934

(<.0001)   Minimally activity 9,170,702 (64.09) 4,384,331 (30.64) 753,910 (5.27)

  Health enhancing

activity 4,811,800 (73.01) 1,611,071 (24.45) 167,593 (2.54)

Calcium intake*      

  Deficiency 12,157,285 (60.58) 6,418,670 (31.98) 1,493,011 (7.44) 120.6175 (<.0001)

  Moderate 2,365,363 (70.31) 903,726 (26.86) 94,946 (2.82)

  Sufficiency 3,726,550 (72.22) 1,294,056 (25.08) 139,233 (2.70)

Serum 25(OH)D level*      

  Severe insufficiency 1,348,944 (62.30) 694,491 (32.08) 121,677 (5.62) 22.0092 (0.0012)   Insufficiency 11,910,790 (66.36) 5,150,589 (28.70) 886,057 (4.94)

  Deficiency 6,818,143 (67.43) 2,762,159 (27.32) 531,453 (5.26)

  Sufficiency 1,582,621 (58.81) 951,119 (35.34) 157,505 (5.85)

Drinking*      

  Non-drinking 1,531,709 (39.13) 1,615,962 (41.29) 766,468 (19.58) 688.318 (<.0001)   Normal drinking 11,624,523 (64.35) 5,503,881 (30.47) 934,774 (5.18)

  Problem drinking 5,531,273 (76.62) 1,584,392 (21.95) 103,507 (1.43)   Alcohol abuse 1,574,791 (74.41) 516,269 (24.39) 25,329 (1.20)   Alcohol dependence 1,699,443 (72.77) 602,975 (25.82) 33,066 (1.42)

Smoke*      

  Non-smoking 10,509,117 (59.22) 5,874,185 (33.10) 1,363,039 (7.68) 203.7005 (<.0001)   Past smoking 4,654,042 (69.93) 1,738,804 (26.13) 262,133 (3.94)

  Smoking 6,894,548 (73.33) 2,262,191 (24.06) 245,738 (2.61)

Obesity*      

  Underweight 811,979 (45.89) 755,901 (42.72) 201,578 (11.39) 165.5261

(<.0001)   Normal-weight 13,503,824 (62.89) 6,711,929 (31.26) 1,256,328 (5.85)

  Obesity 7,742,620 (73.31) 2,394,007 (22.67) 425,148 (4.03)

* p<0.05

3) 골밀도에 따른 낙상손상의 위험요인

전체인구 집단에서, 골밀도 수준이 낮을수록 낙상손상의 위험이 높게 나타났지만, 성별, 연령, 교육수준, 흡연상태 등 골밀도와 낙상손상 모두 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인 변수들을 보정한 후에는 골밀도 수준에 따른 낙상손상 위험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성별과 연령의 세부집단 별로는 폐경 후 여성과 노년기에서 성별, 연령, 교육수준, 흡연상태를 보정 한 후에도 골밀도 수준이 낮을수 록 낙상손상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다.

폐경 후 여성의 경우, 골밀도 수준이 정상인 군에 비해서 골감소증군 의 낙상손상 위험은 3.3배(OR=3.33, 95%CI=1.51-7.35) 높았으며, 골다공증 군에서는 3배(OR=3.09, 95%CI=1.26-7.60)높게 나타났다.

65세 이상 노인에서는 골밀도 수준이 정상인 군에 비해서 골감소증의 낙상손상 위험은 2.8배(OR=2.75, 95%CI=1.06-7.16), 골다공증은 3.3배 (OR=3.30, 95%CI=1.03-10.59) 높게 나타났다(Table 10).

Table 10. Risk of fall-related injury according to BMD

-  Osteopenia 261,205 2.64 1.45 (1.04-2.03) 1.25 (0.87-1.78)   Osteoporosis 72,892 3.85 2.14 (1.38-3.32) 1.29 (0.72-2.30)

Male              

  Normal 268,342 2.07 1.00 - 1.00

-  Osteopenia 112,798 2.80 1.36 (0.82-2.27) 1.26 (0.74-2.14)   Osteoporosis 11,742 3.83 1.88 (0.41-8.73) 1.60 (0.38-6.81)

Premenopause              

  Normal 124,162 1.58 1.00 - 1.00

-  Osteopenia 30,023 1.10 0.69 (0.29-1.65) 0.69 (0.30-1.59)

  Osteoporosis - - - - -

-Postmenopause         

  Normal 13,395 1.05 1.00 - 1.00

-  Osteopenia 118,384 3.80 3.71 (1.67-8.23) 3.33 (1.51-7.35)   Osteoporosis 61,150 4.01 3.93 (1.70-9.08) 3.09 (1.26-7.60)

44 years or less              

  Normal 292,009 2.01 1.00 - 1.00

-  Osteopenia 52,425 1.53 0.76 (0.38-1.52) 0.81 (0.41-1.61)

  Osteoporosis - -  - - -

-45-64 years              

  Normal 100,844 1.50 1.00 - 1.00

-  Osteopenia 122,424 2.89 1.95 (1.13-3.38) 1.71 (0.97-2.99)   Osteoporosis 8,073 2.01 1.35 (0.49-3.71) 1.07 (0.38-2.98)

65 years and over              

  Normal 13,047 1.52 1.00 - 1.00

-  Osteopenia 86,356 3.91 2.63 (1.14-6.07) 2.75 (1.06-7.16)   Osteoporosis 64,819 4.60 3.12 (1.28-7.60) 3.30 (1.03-10.59)

* Adjusted by age, sex, education level, smoke

†Adjusted by age, education level, smoke

‡Adjusted by sex, education level, smoke

3. 고위험군에서 낙상손상에 대한 골밀도와 건강행태의 상호

Table 11. Risk of decreased BMD according to Health behavioural

* muOR : Multinomial LR Adjusted Odds Ratio (REF=normal BMD, Adjusted by sex, physical activity, calcium intake, serum 25(OH)D level, drinking, smoke, obesity)

음주, 흡연, 비만과 골밀도의 joint effect는 관측값이 기댓값보다 크게 나타나, 노년기의 음주와 흡연, 그리고 비만은 낙상손상 위험을 증가시 키는 방향으로 골밀도와 상호작용(Positive interaction, Synergism)하는 것 을 확인할 수 있었다(Table 12, Table 13).

특히 신체활동을 많이 하는 노인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다.

Table 1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of fall-related injury and BMD according to elderly health behavioural features at elderly

Bone mineral density level Normal BMD

OR (95% CI)

Low BMD OR (95% CI) Physical activity

Health promotion activity 1.00 2.55 (0.61-10.65)

Less than minimum activity 1.09 (0.48-2.49) 1.71 (0.61-4.80) Drinking

Non-drinking 1.00 1.42 (0.64-3.16)

Drinking 1.70 (0.78-3.74) 3.00 (1.22-7.39)

Smoke

Non-smoking 1.00 1.43 (0.75-2.72)

Smoking 2.02 (0.77-5.29) 3.60 (0.64-20.36)

Obesity

Not obesity 1.00 1.31 (0.53-3.19)

Obesity 1.02 (0.53-1.95) 2.03 (0.82-5.04)

Table 13. Elderly risk of fall-related injury on the interaction of BMD and health behaviour

Health behaviour Interaction of BMD and Health behaviour Physical activity Joint observed OR=1.71

Joint expected OR

- Additive Interaction : 2.55+1.09-1=2.64 - Multiplicative Interaction : 2.55☓1.09=2.78 Drinking* Joint observed OR=3.00

Joint expected OR

- Additive Interaction : 1.42+1.70-1=2.12 - Multiplicative Interaction : 1.42☓1.70=2.41 Smoking* Joint observed OR=3.60

Joint expected OR

- Additive Interaction : 1.43+2.02-1=2.45 - Multiplicative Interaction : 1.43☓2.02=2.88 Obesity* Joint observed OR=2.03

Joint expected OR

- Additive Interaction : 1.31+1.02-1=1.33 - Multiplicative Interaction : 1.31☓1.02=1.33

* Positive interaction(synergism) : Observed scale > Expected scale

Fig 4. Elderly risk of fall-related injury on the interaction of BMD and drinking

Fig 5. Elderly risk of fall-related injury on the interaction of BMD and smoking

Fig 6. Elderly risk of fall-related injury on the interaction of BMD and obesity

2) 폐경 후 여성의 낙상손상 위험에 대한 골밀도와 건강행태의 상호작용

폐경 후 여성에서는 신체활동 수준과 음주습관, 흡연상태, 비만여부에 따른 골다공증 위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able 14).

최소한의 활동을 하거나, 신체활동을 거의 안하는 사람에 비해서 건강 증진형 활동을 하는 사람은 골다공증의 위험이 0.7배(OR=0.71, 95%CI=0.51-0.98), 0.5배(OR=0.51, 95%CI=0.32-0.80)로 낮게 나타났으며, 음주를 안 하는 사람에 비해서 정상음주 습관을 가진 사람과 문제음주 습관을 가진 사람의 골다공증 위험도는 0.4배(OR=0.36, 95%CI=0.26-0.50), 0.3배(OR=0.25, 95%CI=0.11-0.55)로 음주량이 많을수록 골다공증의 위험 이 낮게 나타났다.

한편, 평생 흡연경험이 없는 사람에 비해서 과거에 흡연경험(OR=2.33, 95%CI=1.06-5.12)이 있거나, 현재 흡연상태(OR=2.33, 95%CI=1.13-4.79)에 있는 사람은 골다공증의 위험이 2.3배 높게 나타났고, 정상체중인 사람 에 비해 저체중인 사람은 골다공증의 위험이 10배(OR=10.94, 95%CI=1.40-85.23)나 높았으며, 비만인 사람은 0.5배(OR=0.55, 95%CI=0.37-0.80)로 낮게 나타났다.

Table 14. Risk of decreased BMD according to Health behavioural

* muOR : Multinomial LR Adjusted Odds Ratio (REF=normal BMD, Adjusted by sex, physical activity, calcium intake, serum 25(OH)D level, drinking, smoke, obesity)

폐경 후 여성에서는 음주와 비만이 골밀도와 상호작용(Positive

Table 1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of fall-related injury and BMD according to elderly health behavioural features at postmenopausal women

BMD level Normal BMD

OR (95% CI)

Low BMD OR (95% CI) Physical activity

Health promotion activity 1.00 2.21 (0.38-12.85) Less than minimum activity 1.46 (0.58-3.68) 1.99 (0.75-5.27) Drinking

Non-drinking 1.00 1.35 (0.62-2.91)

Drinking 1.41 (0.70-2.84) 2.09 (0.93-4.70)

Smoke

Non-smoking 1.00 1.66 (0.91-3.03)

Smoking 4.39 (1.16-16.59) 1.45 (0.18-11.91)

Obesity

Not obesity 1.00 1.08 (0.49-2.37)

Obesity 0.97 (0.50-1.88) 2.24 (0.97-5.17)

Table 16. Postmenopausal women risk of fall-related injury on the interaction of BMD and health behaviour

Health behaviour Interaction of BMD and Health behaviour Physical activity Joint observed OR=1.99

Joint expected OR

- Additive Interaction : 2.21+1.46-1=2.67 - Multiplicative Interaction : 2.21☓1.46=3.23 Drinking* Joint observed OR=2.09

Joint expected OR

- Additive Interaction : 1.35+1.41-1=1.75 - Multiplicative Interaction : 1.35☓1.41=1.89 Smoking Joint observed OR=1.45

Joint expected OR

- Additive Interaction : 1.66+4.39-1=5.05 - Multiplicative Interaction : 1.66☓4.39=7.28 Obesity* Joint observed OR=2.24

Joint expected OR

- Additive Interaction : 1.08+0.97-1=1.05 - Multiplicative Interaction : 1.08☓0.97=1.05

* Positive interaction(synergism) : Observed scale > Expected scale

Fig 7. Postmenopausal women risk of fall-related injury on the interaction of BMD and drinking

Fig 8. Postmenopausal women risk of fall-related injury on the interaction of BMD and obesity

IV. 고찰

손상은 다른 질병과 마찬가지로 인구학적 분포를 가지며, 고위험군이 존재한다(National Committee for Injury Prevention and Control, 1989).

낙상으로 인한 손상 역시 인구학적 분포를 가지는데, 남자보다 여자에서

는 연령과 성별에 따른 골밀도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Peter 등, 2007) 결과에 의하면, 폐경 전 여성의 경우 흡연군에서 골밀

연구에서는 골절성 손상 뿐 만 아니라 비골절성 손상까지도 포함하여 낙

다공증의 위험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노인과 폐경 후 여성에서 골

흡연은 앞서 살펴본 것처럼 낮은 골밀도에 대한 위험요인으로, 노인과

방어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이는 알코올에 의한 내생적 에스트로겐의 증

그렇다면 수정 가능한 요인들을 개선하였을 때 얼마만큼의 낙상손상 어느 정도인지 additive model과 multiplicative model에 적용하여 알아보 았다.

미치는 영향은 미비하였으나, 낮은 골밀도와의 상승작용이 크게 나타난

써 반사 신경 보호기전을 강화하는데(최희정, 2011), 이러한 작용은 근력

손상은 인적요인, 매개체적 요인, 환경적 요인 중 어느 한 곳의 균형 이 깨어지면서 발생한다(John Gordon). 이번 연구에서는 골밀도와 건강 행태 등 낙상손상 발생에 대한 인적요인의 균형을 깨뜨리는 위험요인을 찾아보았다. 낙상손상은 특히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많이 받는 손상이므 로, 이러한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고려하여 낙상손상에 대한 낮은 골밀 도의 영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환경적 위험요인을 고려하여 골밀도가 낙상손상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것을 제안한 다.

V. 결론 및 제언

고위험군의 낙상예방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강점으로는 대표성 있는 자료원을 사용하여서 우리나라 일 반 인구를 대표하는 결과를 산출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골밀도에 대한 설문조사와 달리 골밀도 측정자료를 이용하여 골다공증 및 골감소 증에 대한 정확한 분류 및 진단이 가능하였으며, 골밀도와 건강행태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낮은 골밀도의 환자들에게 낙상손상의 예방안으로 건강행태 개선의 중요성을 제시하였고, 골감소가 시작되기 전 골밀도 유 지 및 관리의 중요성을 제시한 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면연구로써 골밀도에 따른 낙상손상 위험의 차이 를 확인하였을 뿐, 인과관계나 시간의 선후 관계는 볼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골밀도를 제외하고 개인의 건강상의 기능적 상태를 고려하지 못하였으며, 손상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체와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 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매개체적인 요인 과 환경적인 요인을 고려하여 이러한 특성들이 보정되었을 때에도 골밀 도에 따라 낙상손상 위험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 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김종성, 오미경, 박병강, 이민규, 김갑중, 오장균. 한국에서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AUDIT)를 통한 알코올리즘의 선별 기 준, 가정의학회지 1999;20(9):1152-1159.

변화(2003~2004), 대한골다공증학회지 2010;8(2):188-195.

Almeida CW, Castro CH, Pedreira PG, Heymann RE, Szejnfeld VL.

Percentage height of center of mass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falls among elderly women: A case–control study, Gait Posture 2011;34(2):208-212.

Aloia JF. African Americans, 25-hydroxyvitamin D, and osteoporosis: a paradox, Am J Clin Nutr 2008;88(2):545S-550S.

Barrett-Connor E, Nielson CM, Orwoll E, Bauer DC, Cauley JA.

Epidemiology of rib fractures in older men: Osteoporotic Fractures in Men (MrOS) prospective cohort study, BMJ 2010;340:c1069.

Body JJ, Bergmann P, Boonen S, et al. Non-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osteoporosis: a consensus of the Belgian Bone Club, Osteoporos Int 2011;22(11):2769-2788.

Cawthon PM, Harrison SL, Barrett-Connor E, et al. Alcohol intake and its relationship with bone mineral density, falls, and fracture risk in older men, J Am Geriatr Soc 2006;54(11):1649-1657.

Chan BK, Marshall LM, Winters KM, Faulkner KA, Schwartz AV, Orwoll ES. Incident fall risk and physical activity and physical performance among older men: the Osteoporotic Fractures in Men Study, Am J Epidemiol 2007;165(6):696-703.

Egger P, Duggleby S, Hobbs R, Fall C, Cooper C. Cigarette smoking and bone mineral density in the elderly,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1996;50(1):47-50.

Greene-Finestone LS, Berger C, de Groh M, et al. 25-Hydroxyvitamin D

in Canadian adults: biological, environmental, and behavioral correlates, Osteoporos Int 2011;22(5):1389-1399.

Himes CL, Reynolds SL. Effect of obesity on falls, injury, and disability, J Am Geriatr Soc 2012;60(1):124-129. women across Europe: results from the European Prospective Osteoporosis Study, Bone 2005;36(3):387-398.

Korpelainen R, Keinänen-Kiukaanniemi S, Nieminen P, Heikkinen J, Väänänen K, Korpelainen J. Long-term outcomes of exercise:

follow-up of a randomized trial in older women with osteopenia, Arch Intern Med 2010;170(17):1548-1556.

Magnus K. Karlsson, Anders Nordqvist, Caroline Karlsson. Physical activity, muscle function, falls and fractures, Food Nutr Res 2008;52:10.3402.

Nelson RE, Nebeker JR, Sauer BC, LaFleur J. Factors associated with screening or treatment initiation among male United States veterans at risk for osteoporosis fracture, Bone 2012;50(4):983-988.

Panel on Prevention of Falls in Older Persons, American Geriatrics Society and British Geriatrics Society. Summary of the Updated American Geriatrics Society/British Geriatrics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Prevention of Falls in Older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11;59(1):148-157.

Peel NM, McClure RJ, Hendrikz JK. Health-protective behaviours and risk of fall-related hip fractures: a population-based case-control study, Age Ageing 2006;35(5):491-497.

Pinheiro MM, Reis Neto ET, Machado FS, et al. Risk factors for

Pinheiro MM, Reis Neto ET, Machado FS, et al. Risk factors for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