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후환경 문화서비스와 관련하여 국민의 수요를 발굴하고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SNS, 블로그 등 소셜빅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1차적으로 관련 키워드별 기초분석을 실시하였다. 트위터, 블로그, 뉴스를 대상으로 하여 기후 환경(기후, 환경, 생태, 자연), 문화서비스(문화, 예술, 박물관, 공연, 미술 등), 수요(여행, 관광 등)에 대해 각각의 빈도, 감성(긍정, 부정), 연관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체험, 참여 등을 중심으로 기후환경 문화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서비스 수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최근 1년간(2015.5~2016.4)의 트위터, 블로그를 대상으로 키워드별 빈도를 분석하였다.

<그림 3-12>와 같이 블로그에서 빈도가 높은 키워드는 ‘여행’, ‘문화’, ‘환경’, ‘자연’, ‘관광’

순이었고 트위터에서는 ‘공연’, ‘여행’, ‘문화’, ‘예술’, ‘환경’ 순으로, 공통적으로 ‘여행’, ‘문

10) 이 장은 ㈜마인즈랩의 ‘소셜빅데이터를 활용한 기후환경 문화서비스 인식 및 수요조사’ 원고를 재구성.

화’, ‘환경’과 관련하여 그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전시관’, ‘체험관’, ‘생태원’ 등의 키워드는 빈도가 낮았다.

<그림 3-12> 블로그, 트위터의 키워드별 빈도 비교(2015.5~2016.4)

2년 동안(2014.1~2015.12)의 트위터, 블로그, 뉴스를 대상으로 하여 키워드별 관련어(명 사, 동사/형용사) 분석을 수행하였다, 체험, 참여 등 수요 중심의 관련어가 나타난 키워드는

‘생태’, ‘자연’, ‘문화’, ‘예술’, ‘미술’, ‘여행’, ‘관광’이었다. 특히 ‘자연, 생태-체험’, ‘예술-참 여’에 대한 빈도가 높아 국민의 자연과 생태 및 문화예술에 대한 ‘체험’ 욕구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계절과 날씨의 영향으로 자연, 문화, 공연, 미술, 여행은 봄부터 가을까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특히 미술과 관련한 빅데이터는 분석 기간인 2년간 그 수가 증가추세 를 보여 미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문화 ․ 즐기다(2,783회, 4위), 배우다(977회, 6위), 체험하다(892회, 7위), 경험하다(346회, 24위)

예술 ․ 참여(19,167회, 70위)

․ 좋다(7,898회, 4위), 좋아하다(3,963회, 21위) 미술 ․ 관람(10,925회, 79위)

․ 좋아하다(5,904회, 7위)

여행

․ 가족(154,785회, 7위), 친구(129,871회, 11회), 아이(65,246회, 35위), 행복(48,606 회, 58위)

․ 즐겁다(34,496회, 7위), 즐기다(31,932회, 9위), 신나다(12,121회, 25위), 설레다 (7,418회, 44위)

관광

․ 체험(27,465회, 51위), 참여(24,346회, 62위)

․ 즐기다(5,132회, 14위), 어리둥절하다(2,453회, 39위), 추천하다(2,356회, 41위), 새롭 다(2,319회, 42위), 선호하다(2,184회, 44위)

기초조사를 통해 선별된 분석 관점과 관련하여 원문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분석 작업을 수행하였다(그림 3-13 참조). 분석 매체는 트위터와 블로그이며 1년간(2015.5.1~2016.4.30) 의 자료를 대상으로 관점별 예상 수요를 중심으로 원문을 추출하고 분석하였다(그림 3-14 참조).

자료: ㈜마인즈랩 작성.

<그림 3-13> 원문 분석 수행방법

자료: ㈜마인즈랩 작성.

<그림 3-14> 관점별 예상 수요

있었다. 특히 체험과 먹거리가 다양하고, 볼거리와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시설(산책로, 차 없는 거리 등) 등이 잘 갖추어진 지역의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 ‘예술’과 관련한 원문을 분석한 결과, 자녀/가족/체험, 볼거리, 재미, 안내/설명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자녀를 동반한 관람객은 공연이나 전시회의 작품과 관련하여 눈높이 체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그램의 수요가 많았다. 또한 야외공간 전시, 볼거리와 참여 프로그램 등 작품 이외에 흥미를 유발하는 요소도 중요시했다. 예술전시에 관해서는 특히 작품에 대한 안내와 설명에 대한 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시관’(박물관, 체험관, 생태원 포함)과 관련한 원문 분석 결과, 자녀/가족/체험, 재미/향 수, 안내/설명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특히 자녀를 동반한 가족 단위의 방문객이 많은 것으 로 판단되며 체험 프로그램을 선호했다. 연령층이 높은 관람객은 향수를 일으키는 전시를 선호 했다. 또한 전시 대상에 대한 안내나 해설가의 유무도 영향을 주었다.

지금까지 소셜빅데이터를 이용한 국민의 기후환경 문화서비스의 수요 분석 결과를 <표 3-4>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요분석 결과를 통해 시사점을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접근성이 좋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양식의 체험형의 기후환경 문화서비스’를 국민에게 제공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라고 볼 수 있다.

키워드 주요 예상 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