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 4 절 기초통계

실증분석에 사용된 변수들의 구체적인 측정방법과 기초통계량을 [표 2]에 제시하였다. 종속변수로는 농가소득 총액과 가장 높은 비 중을 차지하는 소득원인 농업소득과 농외소득을 사용하였다. Mincer 의 소득함수 분석을 위해 소득은 각각 자연대수를 취한 로그값으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2008-2012년 「농가경제조사」의 총 표본농가 수는 13,092호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음(-)의 소득을 가지는 농가를 제외한 10,634호를 분석 대상으로 한다.

학교교육의 교육투자수익률을 분석할 때,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바 와 같이 통상적으로는 경영주의 교육년수를 사용한다. 이는 농가 단 위의 의사결정의 주체가 경영주일 것이라는 가정에 근거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실질적인 농가 의사결정의 주체는 교육수준이 가장 높은 성인 가구원일 것이라는 가정을 전제로, 학교 교육의 자원배분효과를 고려하고자 성인 가구원의 최고 교육년수를 사용하여 확인하고자 한다.19) 성인 가구원의 최고 교육년수는 평균 9.5년이다. IV 2SLS 분석의 첫 단계인 교육함수 추정에 필요한 도 구변수로는 농가의 가구원수를 사용하였는데, 농가당 평균 가구원수 는 2.7명이다.

농가 경영주는 약 94%가 남성으로, 평균 연령은 65.1세이다. 자가 소유의 토지를 경작하는 농가는 60%이고, 2종겸업 농가는 전체 농 가의 25% 수준이다. 영농형태20)별로는 미곡농가와 채소농가가 각각

19) Yang(1997)은 농가의 작물 선택 의사결정은 경영주 단독의 결정이 아닌 교육수 준이 가장 높은 자의 의견이 많이 반영됨을 밝혔다.

20) 2008-2012년도 「농가경제조사」는 농가의 영농형태를 미곡, 전작, 채소, 과수, 화 훼, 축산, 특작, 기타, 및 2종겸업, 총 9가지 형태로 농가를 분류하고 있다. 본 연 구에서는 2종겸업 농가는 더미 변수로 사용하고, 2종겸업 농가의 농업총수입 자료

34%와 31%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전체 농가를 대상으로 농가소득 결정요인 분석을 시행 후, 총 세 가지 품목군으로 나누어 품목군별 학교교육의 소득효과를 추정하였 다. 품목군은 미곡·전작 농가, 채소·특작 농가, 그리고 과수·화훼·기 타 농가로 분류했다. 축산 농가의 경우 2010년 11월말 발생한 구제 역21)으로 인해 총 347만 마리의 가축을 살처분 하는 등 정상적 축 산활동이 불가능하였으므로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각 품목군별 기초 통계량을 [표 3]에 제시하였다.

소득지표를 살펴보면, 농가소득 총액 및 농업소득에서는 과수·화 훼·기타 농가가 가장 높은 소득을 벌지만, 농외소득에서는 미곡·전 작 농가가 가장 높은 소득을 얻는다. 품목군별 평균 가구원수는 큰 차이는 없지만, 수·화훼·기타 농가가 2.79명으로 가장 많고 미곡·전 작 농가가 2.66명으로 가장 적다.

성인 가구원의 최고 교육년수는 과수·화훼·기타 농가가 10.4년으 로 가장 높으며, 채소·특작 농가(9.4년), 그리고 미곡·전작 농가(9.1 년) 순이다. 경영주의 연령은 미곡·전작 농가가 평균 66.4세로 가장 많으며, 과수·화훼·기타 농가가 63.7세로 가장 젊다. 토지소유형태는 대부분 유사하나, 채소·특작농가의 자가 농지 경작 비율(52%)이 낮 으며, 여성 경영주의 비중(9%)이 상대적으로 높다.

21) 농림축산검역본부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농가소득 16.96 (0.69) 17.06 (0.73) 17.24 (0.73)

농업소득 15.23 (1.25) 15.63 (1.51) 16.18 (1.29)

농외소득 14.69 (3.43) 14.40 (3.54) 14.51 (3.38)

가구원수 2.66 (1.14) 2.70 (1.13) 2.79 (1.14)

농기계평가액 14.49 (3.42) 14.50 (3.76) 15.18 (2.65)

가축평가액 7.86 (6.66) 7.66 (6.42) 6.52 (6.58)

조사년도_2008 0.25 (0.43) 0.18 (0.39) 0.20 (0.40)

조사년도_2009 0.22 (0.41) 0.19 (0.39) 0.19 (0.39)

조사년도_2010 0.18 (0.38) 0.21 (0.41) 0.21 (0.41)

조사년도_2011 0.19 (0.39) 0.21 (0.41) 0.21 (0.41)

조사년도_2012 0.17 (0.37) 0.21 (0.40) 0.19 (0.39)

가구원 최고 교육년수 9.07 (4.14) 9.38 (4.18) 10.35 (4.12)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