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기아와 식량 불안정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197-200)

2015년

2. 기아와 식량 불안정

2.1.

식량안보와 관련한 용어의 정의

식량안보는 적절한 영양과 기아를 방지하는 데 필요하다. 식량안보, 적정한 영양, 기아나 영양실조 등의 개념은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나, 같은 개념은 아니다. <그림 1>은 기아, 식량 불안정, 영양 불안정, 영양실조의 개념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그림 1> 기아, 식량 불안정, 영양 불안정, 영양실조의 구분

자료: Ghattas(2014).

2018년 세계 식량안보와 영양

식량안보는 모든 사람이 언제나 충분하고 안전하며 영양 높은 식량에 물리적, 사회적, 경제적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활동적이고 건강한 삶을 위해 필요한 음식과 그 음식 선호를 충족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식량안보는 적절한 영양 상태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데, 그 정의의 핵심은 영양 높은 식량, 곧 열량 측면에서 충분한 양의 식량뿐만 아니라 다양성과 미량영양소 함량 측면에서 충분한 품질 속성을 포함한다. 또한 문화 측면의 식량 수용성, 안정된 식량 가용성, 접근 또는 활용 등도 식량안보의 개념에 포함된다. 이러한 요소 중 어느 하나라도 결핍된 상태는 식량 불안정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식량안보는 영양 안보의 필요조건이지만 적정 영양 상태를 보장하는 필요조건 은 아니다. 영양 안보를 달성하려면 실행 측면에서 적절한 돌봄과 위생적인 환경, 적절한 건강 돌봄 서비스, 건강하고 활동적인 삶을 위해 필요한 영양을 충족시키는 음식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어린이의 영양실조는 충분하지 못한 식량의 섭취뿐만 아니라, 영양분의 빈약한 흡수나 활용에 이르도록 어린이들을 반복된 감염에 노출하는 비위생적 환경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다.

기아는 이와 싸우는 대응책을 이끈다는 측면에서 식량 불안정과 종종 함께 사용되는 개념이다. 기아는 불충분한 식량 에너지의 소비 때문에 초래되는, 불편하거나 고통스러운 느낌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단기적인 신체의 불편일 수 있고,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심각한 식량부족을 말할 때도 쓰인다. 반면에 숨은 기아(hidden hunger)’는 철분, 요오드, 비타민 A, 아연 등 미량영양소의 결핍을 뜻한다. 20억 이상의 사람이 부실한 음식 품질에 직면한, 이른바 숨은 기아에 처해 있다.

<그림 2>는 유엔아동기금(UNICEF)이 제시한 개인, 가구, 지역공동체, 사회 전체 수준에서 영양실조의 직접적인 원인을 나타낸다. 이 틀에 따르면 가구 수준에서 식량 불안정은 빈곤과 적절하지 않은 음식 섭취 및 영양실조 간 인과적 경로에 놓여 있다. 본디 UNICEF의 틀은 어린이 영양실조의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나, 다양한 형태의 영양실조와 빈곤 및 빈약한 영양의 세대 간 영향을 설명하는 데에도 유용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192 ∙ 세계농업 2018. 10월호

<그림 2> 영양실조의 원인에 관한 UNICEF의 개념적 틀

자료: Ghattas(2014).

2.2.

기아와 식량 불안정의 최근 추이

지난 10년간 감소하던 영양실조 유병률, 또는 전체 인구에서 영양실조에 해당하는 인구수 는 2015년 이후에 역전되어 오르고 있다<그림 3>. 그 주된 원인은 갈등 지역에서 불안정의 지속, 세계 각지에서 나타난 불리한 기후 효과, 경제 침체 등이다. 이에 따라 일부 국가에서 1인당 식량 소비량이 감소하고 식량 접근성 측면에서 불평등이 확대되고 있다. 실제로 영양 실조 유병률은 지난 2년 간 증가하여 2017년 현재 10.9%에 이르고 있다.

<그림 3> 영양실조에 해당하는 인구와 유병률 추이

유병률(%) 인구수(백만명)

자료: FAO et al.(2018)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197-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