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귀농·귀촌이 농촌 지역사회에 미치는 사회적 영향

5.1. 긍정적 영향

○ 귀농·귀촌이 농촌 지역사회에 미치는 사회적 영향 중에서 긍정적 영향은 인 구 증가를 통한 지역사회 유지에 기여, 농업 후계인력 확보에 기여, 지역발 전을 위한 인재 확보에 기여, 마을 및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지역의 사회복 지서비스 개선, 농촌사회의 혁신과 변화, 도·농교류 활성화, 지역 내 새로운 생활정치(세력)의 가능성, 마을 경관과 환경 개선, 자원봉사활동 등이었음.

○ 귀농·귀촌이 ‘인구 증가를 통해 지역사회를 유지하는 데 기여하였다’는 의 견은 평균 3.45점이었고<표 2-12>, 찬성 응답(‘그렇다’+‘매우 그렇다’) 비율 은 56.9%였음<그림 2-7>.

○ 귀농·귀촌이 ‘농업 후계인력 확보에 기여하였다’는 의견은 평균 3.08점이었 고<표 2-13>, 찬성 응답(‘그렇다’+‘매우 그렇다’) 비율은 40.3%였음<그림 2-8>.

<그림 2-7> 인구 증가를 통해 지역사회를 유지하는 데 기여

구분 평균 표준편차 찬성 응답 비율

농업 후계인력 확보에 기여 3.08 1.057 40.3

<표 2-13> 농업 후계인력 확보에 기여

단위: 점(5점 만점), %

<그림 2-8> 농업 후계인력 확보에 기여

구분 평균 표준편차 찬성 응답 비율

마을 및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2.92 .946 26.8

<표 2-15> 마을 및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단위: 점(5점 만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찬성 응답 비율

지역발전을 위한 인재를 확보하는 데 기여 3.00 1.038 34.1

<표 2-14> 지역발전을 위한 인재 확보에 기여

단위: 점(5점 만점), %

○ 귀농·귀촌이 ‘지역발전을 위한 인재를 확보하는 데 기여하였다’는 의견은 평균 3.00점이었고<표 2-14>, 찬성 응답(‘그렇다’+‘매우 그렇다’) 비율은 34.1%였음<그림 2-9>.

<그림 2-9> 지역발전을 위한 인재를 확보하는 데 기여

○ 귀농·귀촌이 ‘마을 및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하였다’는 의견은 평균 2.92점 이었고<표 2-15>, 찬성 응답(‘그렇다’+‘매우 그렇다’) 비율은 26.8%였음<그 림 2-10>.

<그림 2-10> 마을 및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

구분 평균 표준편차 찬성 응답 비율

지역의 사회복지서비스 개선에 기여 2.59 .866 13.6

<표 2-16> 지역의 사회복지서비스 개선에 기여

단위: 점(5점 만점), %

○ 귀농·귀촌으로 인해 ‘지역의 사회복지서비스가 개선되었다’는 의견은 평균 2.59점이었고<표 2-16>, 찬성 응답(‘그렇다’+‘매우 그렇다’) 비율은 13.6%

였음<그림 2-11>.

○ 귀농·귀촌이 ‘농촌사회의 혁신과 변화를 가져왔다’는 의견은 평균 2.70점이 었고<표 2-17>, 찬성 응답(‘그렇다’+‘매우 그렇다’) 비율은 21.5%였음<그림 2-12>.

○ 귀농·귀촌으로 인해 ‘도·농교류가 활성화되었다’는 의견은 평균 2.67점이었고

<표 2-18>, 찬성응답(‘그렇다’+‘매우 그렇다’) 비율은 19.6%였음<그림 2-13>.

구분 평균 표준편차 찬성 응답 비율

농촌사회의 혁신과 변화 2.70 .964 21.5

<그림 2-11> 지역의 사회복지서비스 개선에 기여

<표 2-17> 농촌사회의 혁신과 변화

단위: 점(5점 만점), %

<그림 2-12> 농촌사회의 혁신과 변화

<그림 2-13> 도·농교류 활성화

구분 평균 표준편차 찬성 응답 비율

도농교류 활성화 2.67 .931 19.6

<표 2-18> 도·농교류 활성화

단위: 점(5점 만점), %

○ 귀농·귀촌이 ‘지역 내에서 새로운 생활정치(세력)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는 의견은 평균 2.77점이었고<표 2-19>, 찬성 응답(‘그렇다’+‘매우 그렇다’) 비율은 22.1%였음<그림 2-14>.

○ 귀농·귀촌으로 ‘마을의 경관과 환경이 개선되었다’는 의견은 평균 2.61점이 었고<표 2-20>, 찬성 응답(‘그렇다’+‘매우 그렇다’) 비율은 16.7%였음<그림 2-15>.

구분 평균 표준편차 찬성 응답 비율

지역 내 새로운 생활정치(세력)의 가능성 2.77 .918 22.1

<표 2-19> 지역 내 새로운 생활정치(세력)의 가능성

단위: 점(5점 만점), %

<그림 2-14> 지역 내에서 새로운 생활정치(세력)의 가능성

<표 2-20> 마을 경관과 환경 개선

단위: 점(5점 만점), %

구분 평균 표준편차 찬성 응답 비율

마을 경관과 환경 개선 2.61 .932 16.7

<그림 2-15> 마을의 경관과 환경 개선

구분 평균 표준편차 찬성 응답 비율

자원봉사활동 증가 2.59 .876 15.3

<표 2-21> 자원봉사활동 증가

단위: 점(5점 만점), %

<그림 2-16> 자원봉사활동 증가

○ 귀농·귀촌으로 인해 ‘자원봉사활동이 증가하였다’는 의견은 평균 2.59점이 었고<표 2-21>, 찬성 응답(‘그렇다’+‘매우 그렇다’) 비율은 15.3%였음<그림 2-16>.

5.2. 부정적 영향

○ 귀농·귀촌이 농촌 지역사회에 미치는 사회적 영향 중에서 부정적 영향은 마 을 내부의 분쟁과 갈등 심화, 기존 주민과 격리된 생활로 인한 사회적 위화 감 조성, 귀농·귀촌인의 불필요한 민원 증가 및 불신 심화, 기존 주민들의 자존심과 자부심에 상처, 지역 공동체 의식 약화, 인심 및 사회적 분위기 악 화 등이었음.

구분 평균 표준편차 찬성 응답 비율

마을 내부의 분쟁과 갈등 심화 2.84 .897 13.2

<표 2-22> 마을 내부의 분쟁과 갈등 심화

단위: 점(5점 만점), %

<그림 2-17> 마을 내부의 분쟁과 갈등 심화

○ 귀농·귀촌이 ‘마을 내부의 분쟁과 갈등을 심화시켰다’는 의견은 평균 2.84 점이었고<표 2-22>, 찬성 응답(‘그렇다’+‘매우 그렇다’) 비율은 13.2%였음

<그림 2-17>.

○ 귀농·귀촌이 ‘기존 주민과 격리된 생활로 인한 사회적 위화감을 조성하였 다’는 의견은 평균 2.84점이었고<표 2-23>, 찬성 응답(‘그렇다’+‘매우 그렇 다’) 비율은 25.3%였음<그림 2-18>.

구분 평균 표준편차 찬성 응답 비율

기존 주민과 격리된 생활로 인한 사회적 위화감 조성 2.84 .914 25.3

<표 2-23> 기존 주민과 격리된 생활로 인한 사회적 위화감 조성

단위: 점(5점 만점), %

<그림 2-18> 기존 주민과 격리된 생활로 인한 사회적 위화감 조성

구분 평균 표준편차 찬성 응답 비율

귀농·귀촌인의 불필요한 민원 증가 및 불신 심화 2.98 1.030 34.3

<표 2-24> 귀농·귀촌인의 불필요한 민원 증가 및 불신 심화

단위: 점(5점 만점), %

○ 귀농·귀촌이 ‘귀농·귀촌인의 불필요한 민원이 증가하여 주민들 간의 불신이 심화되었다’는 의견은 평균 2.98점이었고<표 2-24>, 찬성 응답(‘그렇다’+

‘매우 그렇다’) 비율은 34.3%였음<그림 2-19>.

<그림 2-19> 귀농·귀촌인의 불필요한 민원 증가 및 불신 심화

구분 평균 표준편차 찬성 응답 비율

기존 주민들의 자존심과 자부심에 상처 2.75 .942 23.1

<표 2-25> 기존 주민들의 자존심과 자부심에 상처

단위: 점(5점 만점), %

○ 귀농·귀촌이 ‘기존 주민들의 자존심과 자부심에 상처를 주었다’는 의견은 평균 2.75점이었고<표 2-25>, 찬성 응답(‘그렇다’+‘매우 그렇다’) 비율은 23.1%였 음<그림 2-20>.

<그림 2-20> 기존 주민들의 자존심과 자부심에 상처

구분 평균 표준편차 찬성 응답 비율

지역공동체의식 약화 2.85 .969 27.7

<표 2-26> 지역공동체의식 약화

단위: 점(5점 만점), %

<그림 2-21> 지역공동체의식 약화

구분 평균 표준편차 찬성 응답 비율

인심 및 사회적 분위기 악화 2.79 1.002 25.4

<표 2-27> 인심 및 사회적 분위기 악화

단위: 점(5점 만점), %

○ 귀농·귀촌이 ‘지역공동체의식을 약화하였다’는 의견은 평균 2.85점이었고<표 2-26>, 찬성 응답(‘그렇다’+‘매우 그렇다’) 비율은 27.7%였음<그림 2-21>.

○ 귀농·귀촌으로 인해 ‘인심 및 사회적 분위기가 나빠졌다’는 의견은 평균 2.79점이었고<표 2-27>, 찬성 응답(‘그렇다’+‘매우 그렇다’) 비율은 25.4%

였음<그림 2-22>.

<그림 2-22> 인심 및 사회적 분위기 악화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