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재정정책이 거시경제변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내연구는 다양 하지는 않지만

,

다수가 존재한다

.

특히

,

김성순(2003)

,

허석균(2004)

,

김우철(2006)의 연구는

VAR

모형을 이용하여 재정정책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조명한 연구들로 본 연구와 유사한 방법과 자료를 대 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김성순(2003)의 연구는

VAR

모형을 이용하여 외환위기 이전과 이 후의 재정지출이

GDP,

투자

,

소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 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

그 결과

,

정부지출의 외생적 충격이

GDP

에 미치는 영향은 외환위기 이전과 그 이후에 각기 상이하며

,

외환위기 이전에는 정부지출이 민간투자에 미치는 양(+)의 영향을 제외하곤

,

다른 부문에는 음(-)의 영향을 미쳐

GDP

에 미치는 영향이 음(-)인 반면

,

외환위기 이후에는 순수출을 제외하고 모든 부문에 양 (+)의 효과를 미침으로써

GDP

에도 양(+)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

또한

,

정부지출을 소비성지출과 투자성지출로 구분 하여 추정한 결과

,

정부소비지출은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에 총정부 지출의 경우와 비슷한 부호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

특히 민간소비에 미치는 효과는 위기 이전에 음(-)에서 양(+)으로 부호가 반전됨으로 써 양 변수 간에 대체관계에서 보완관계로 반전되는 현상을 제시하 고 있다

.

반면

,

정부의 투자성 지출의 경우 외환위기 이전에는 각 부문에 음(-)의 영향을 미쳐

GDP

에도 음(-)의 영향을 미쳤으나

,

외환 위기 이후에는 소비부문을 제외하고 모든 부문에 양(+)의 효과로 반 전됨으로써 양 변수 간에 대체관계에서 보완관계로 반전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

이러한 실증결과를 토대로 외환위기 전후로 재정정 책의 구조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시사하고 있다

.

분석에 사용된 자료 는 국민계정상의 분기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

실증분석을 위한 모 형은

VAR

모형을 이용하였다

. VAR

모형은 촐레스키 서열배분에 의 하여 추정되었으며

,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였지만 상대적으 로 외환위기 이후의 시계열이 충분하지 않은 아쉬움이 있다

.

허석균(2004)의 연구는

Blanchard and Perotti

(2002)의 연구방법을 통합재정수지가 분기별로 제시되는

1994

년부터의 자료를 이용하여

,

세입과 세출의 재정정책변수를 구성하고 여기에

GDP

를 포함하여

3

변수

VAR

모형을 추정하였다

.

단지

Blanchard and Perotti

(2002)의 식별가정을 사용하지 않고 세 변수의 순서를 임의로 정하는 방법으 로 가능한 경우에 대하여 추정하였다

.

추정 결과

,

지출증가를 통한 재정확대의 경우 재정정책의 유효성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

세수증 대를 통한 재정축소 또는 건전화정책이 일시적이지만 경기 확장적 효과를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또한 재정정책의 중장기적 효과도 전통적인 케인지안의 견해를 지지하기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으며

,

재정승수의 크기가 미미할 정도로 구축효과가 크다고 제시 하고 있다

.

결론적으로 재정정책의 유효성이 장기에서는 물론 단기 에서도 뚜렷이 관찰되지 않으며

,

이러한 패턴이 조세감면이나 지출 확대 양 정책수단에 대해서 동일하게 성립한다는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

김우철(2006)의 연구는 감세와 정부지출확대의 거시경제적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

국민계정의 국민소득과 조사통계월보의 세입

-세출에 관한 분기자료를 이용하여

, Blanchard and Perotti

(2002)가 제 안한 구조적

VAR

모형을 구성하여 정부의 재정정책이 국민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

실증분석 결과

,

정부지출의 증가와 감세 모두 국민소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정정책의 경기안정 화 역할 중 동시효과가 재량적 재정정책으로 인한 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

경기부양 측면에서 감세정책이 정부지출확대보다 더욱 지속적이며 더욱 큰 효과를 갖는다는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

이 연 구의 자료는

1970

2000

년까지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 2000

년 이후 의 재정정책의 영향을 분석하지 못하는 아쉬움을 가지고 있다

.

또한 허석균(2004)의 연구와 마찬가지로

3

변수

VAR

모형을 추정하여 분석 하고 있다

.

이 외에도 아래의 표에서 제시하고 있는 연구들 중 김성순(2001)

,

이인실・김기승(2004)

,

최종수(2002)등은 감세와 지출확대의 재정정책 이 소득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모수원・봉우(1996)

,

박종구(1995)

,

조하현(1996)등은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 으로 분석하였고

,

그 결과 소비는 재정지출에 대하여 양(+)의 반응을 나타내거나 무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다

.

❙ 표 2. 재정정책의 영향에 관한 기존의 국내연구

연구 방법론 결과

김성순(2001)

Ahmed & Rogers(1995)의 현재가치제약 접근법에서 도출된 말기조건식을 추정 방정식으로 이용

소득에 정부지출은 양(+), 조세는 음(-)의 영향

투자성지출이 소비성지출보다 더 큰 양 (+)의 효과를, 직접세가 간접세보다 더 큰 음(-)의 효과

김성순(2003) 더미변수를 포함한 단기 SVAR 모형을 이용(Cholesky Decomposition)

정부지출이 소득에 미치는 영향은 외환 위기 전후에 상이하여 위기 이전에는 음(-), 이후에는 양(+)

소비성지출은 소득에 음(-), 소비에는 위 기 이전에는 음(-)에서 이후에는 양(+)의 영향

투자성지출은 소득에 위기 이전에는 음 (-) 이후에는 양(+), 소비에는 위기 이후 에도 여전히 음(-)

모수원・봉우종 (1996)

Modigliani & Sterling(1986) 모형에 근거하 여 공적분기법과 Geweke & Poter-Hudak (1987)의 2단계 추정법을 이용

정부지출이 소비에 미치는 영향이 대체 로 미약

박종구(1995) Feldstein(1982), Komendi(1983)의 방법 및

VAR 모형 이용 정부지출은 소비에 양(+)의 영향

박하섭・최종수

(1997) VAR 모형 이용

재정적자 및 국채의 충격이 소비, 이자 율, 환율 및 경상수지 등에 미치는 영향 력의 크기가 미미하며, 정부지출의 경우 도 유사

이인실・김기승 (2004)

케인즈 단순모형 하에서 승수를 도출 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분석

경기부양에는 정부지출 정책이, 실업률 을 줄이는 데는 감세정책이 적절

조하현(1996)

Aschauer(1985)의 동태적 최적화 모형에 서의 오일러 방정식에 유효소비개념과 합리적 기대를 적용한 교차방정식 제약 을 유도하여 완전정보최우추정법(FIML) 을 이용

리카디안불변정리(Ricardian Equivqlence Theorem)와 합리적 기대의 결합가설을 기각할 수 없음

조하현・박광우 (1997)

항상소득-소비 모형과 Kalman Filter를 사 용한 Time-varying parameter 모형을 이용

정부의 적자 재정정책 및 공채발행이 소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음 최종수(2002) 자산수요함수와 VAR 모형하에서 인과

관계 분석을 이용

국공채 조달에 대한 실질소득, 명목소득 및 GDP 디플레이터의 변화가 미흡

허석균(2002) Blanchard and Perotti(2002)를 적용한 VAR 모형을 이용

정부지출은 소득에 미미한 영향, 세수증 대를 통한 재정축소는 일시적으로 소득 에 양(+)의 영향

자료: 김우철(2006)에서 재인용하고, 허석균(2002)의 연구를 추가

제 3장 재정정책변수의 추이와 동향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