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강원택(2001).「한국정치에서 이원적 정통성의 갈등해소에 관한 논의: 준대통령 제를 중심으로」.『국가전략』제7권 3호. 성남: 세종연구소. pp.29-50.

---(2004). “한국 대통령제의 문제점과 제도적 대안에 대한 검토”. 진영재 편 저.『한국 권력구조의 이해』. 나남.

강제상․정주석(1998).「장관임용과정에 있어서 의회의 참여방안에 관한 연구 -인 사청문회제 도입을 중심으로-」. ‘97-98년도 한국의회발전연구회 지원연 구논문.

길승흠(1995).『한국현대정치론』. 법문사.

김광웅(1995).「정치적 세련과 정책구상능력을 가져야 한다: 한국의 장관 리더쉽 론」. 『헌정』.

---(1994).「한국의 장관론: 역할, 자질, 능력」. 『행정논총』제32집 2호. 서 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김성동(2001). “단명장관들, 할 말은 길다”. 《월간조선》. 12월호. 252-267.

김용호(2004). “2003년 헌정위기의 원인과 처방”. 진영재 편저.『한국 권력구조 의 이해』. 나남.

김지희(1999). “내각안정성의 정치·경제적 인자에 관한 경험적 탐색: 21개 대통 령제 국가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3집 4호. 221-241.

김호균(2001).「장관의 역할에 관한 연구-전두환~김대중 정부를 중심으로-」. 서 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박사학위논문.

---(2004). 21세기 성공 장관론. 나남.

박경효(1995).「김영삼정부의 장․차관 충원정책: 국정지도력, 전문성 그리고 대표 성」.『한국행정학보』제29권 2호.

박동서(1992).「고급공무원의 성분변화」.『행정논총』제30권 1호.

---(1989). 「정책결정의 참여자와 행정인의 역할」.『행정논총』제27권 1호.

서울대 행정대학원.

---(1993).「소정부화」.『행정논총』제32권 1호.

박동서·함성득·정광호(2003). 장관론. 나남.

박종민(1996).「한국에서의 장관선택의 기초-변화와 연속성」.『행정과 정책』제 2호. pp.37-63.

박천오․박경효(1996).『한국관료제의 이해』. 법문사. 1996.

박천오(1993).「한국에서의 정치적 피임명자와 고위직업관료의 정책성향과 상호 관계」.『한국행정학보』제27집 4호. 겨울호.

---(1995).「기존 장관 임면 관행의 정책․행정상 폐단과 시정방안」.『한국행 정학보』제29집4호. 겨울호.

---(1995).「장관의 기능제고를 위한 제언」.『국회보』.

백영철 외(2000).『한국의회정치론』. 한국정치학회 편.

백완기(1987). “한국적 행정 이론의 성립가능성 모색”.『한국정치학회보』제21권 2호.

송호근(1999). 정치없는 정치시대-한국의 민주화와 이해충돌. 나남.

안병만(1987).『현대한국정치론』. 법문사.

---(1998).「역대통치자의 리더쉽 연구」.『한국행정학회 1998년 춘계학술대 회 자료집』.

---(2001).「정권교체와 정부업무의 안정성 및 연속성 확보」.『한국행정연 구』. 제10권 제4호. pp.5-31.

안병영(2001). 「장관의 교체와 정책의 안정성: 정책연속성 확보를 위한 시론」.

『한국행정연구』. 제10권 제4호. pp.32-61.

유미영(1993).「1백24명 6공 장관들의 현주소」.『한국논단』.

이선우(2000).「장관의 역할과 직무수행에 관한 연구」.『한국행정학회』2000년 하계기획세미나 발표논문.

이순영(1995).「통치권자의 정치적 바람막이 희생없어야: 한국의 장관 리더쉽 론」.『헌정』.

이시원(2002). “우리나라 역대정부의 장관임용실태분석”. 한국행정학회 하계기획 세미나 발표논문.

임현진·송호근(1995). 전환의 정치, 전환의 한국사회-한국의 정치변동과 민주주 의. 사회비평사.

정승건(1999).『한국의 행정개혁-정치권력과 관료제의 관계』. 부산대.

정정길(1989).「대통령의 정책결정과 전문관료제의 역할」.『한국행정학보』제23 권 1호.

정정길․이달곤(1997).『한국행정의 연구』, 박영사.

조석준(1990). “행정개혁위원회의 조직 방법과 성과에 관한 연구”.『행정논총』

제28권 2호.

허범(1988). “새로운 공공행정의 모색: 민본행정의 이념과 과제”. 한국행정학회 (편).『한국민주행정론』.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