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연구방법

2) 과시소비성향

1) 과시소비의 개념과 특성

과시소비현상은 사회와 시간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과시소비 에 대한 개념도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즉, 지위를 나타내는 부의 전시에 초점을 맞추어 정의하거나, 특정 재화의 향유로 정의하거나, 과소비의 하위 적 개념으로 파악하여 정의하기도 하고 제품의 상징성에 초점을 맞추어 정 의하는 등 연구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표현되고 있다12).

Labarbera13)는 과시소비란 제품의 경제적, 기능적 효용보다는 사회적․

10) 곽현정․이승신(2003), 전게논문, pp.72-73.

11) 송미애․이승신(2004), 아동 소비자의 소비생활문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지, 제42권 1호, pp.84∼85.

12) 백경미(1995), 도시주부의 과시소비 성향과 영향요인,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p.22.

13) Labarbera(1988), The Nouveau Riches: Conspicuous Consumption and the Issue of Self-fuifillment, Research in Consumer Behavior; pp.179-200. 이지혜 (1997), 청소년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p.14에서 재인용.

상징적 의미를 중시하여 타인에게 소유자 자신의 인상을 주려는 동기에 의

14) Mason, Roger(1984), Conspicuous Consumption : A Literature Review,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18(3) : pp. 26∼39.

2) 과시소비의 원인

백경미18)는 과시소비의 원인을 심리적 접근, 사회 심리적 접근, 사회 문 화적 접근의 세 가지 접근방법으로 살펴보고 있다.

첫째, 심리적 접근에서는 과시소비를 단순히 인간심리의 부정적인 측면 으로 보고, 과시소비는 본질상 오직 개인적인 성격에 관한 사항이며 개인 의 인성이나 욕구가 과시소비를 유발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둘째, 사회 심리적 접근방법에서는 사회 심리적 욕구로 개인의 욕구가 독자적이지 않고 사회적으로 형성된다는 점을 중시하며 과시소비가 생겨나 는 원인의 많은 부분이 타인을 의식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셋째, 사회 문화적 접근에 의하면 사회의 소비와 생산의 관계는 상호 의존하는 의존적 관계에 있으며, 생산은 소비를 매개로 하고 소비는 생산 을 매개로 해서 상호 의존한다. 즉, 소비는 경제적 행위일 뿐만 아니라 심 리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소비행위는 욕구를 충족 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러한 욕구자체가 자생적 이라기 보다는 한 사회의 문화적 가치관, 제도, 규범들이 제품의 속성, 생산양식, 사용방법 등과 관련 된다는 점에서 사회문화적 행위로 인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영옥의 연구19)에서 Veblen은 ‘개인은 소비를 통해 비로소 타인에게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인정받는다’고 말하면서 과시소비와 유한의 목적은 명성을 얻기 위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과시적 유한은 시간과 노력의 낭비 요 과시적 소비는 재화의 낭비라는 것이다. 공동체와 사회집단이 작고 밀 집된 상태에 있는 경우 과시적 유한과 과시적 소비는 거의 같은 효과를 가 지며, 사회발전의 초기 단계에서는 이들 방법이 비슷하게 사용되지만 분화 가 심화되고 한층 더 광범위한 인간관계에 도달하게 되면, 과시적 소비는 체면유지의 정상적인 수단으로서 과시적 유한보다 우위를 차지하게 되며, 18) 백경미(1995), 과시소비행동의 내용 및 그 원인에 관한 고찰, 소비자문제연구 제16

호, pp.28-44.

19) 이영옥(1991), 소비경제의 성격과 그 규정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계명대 학교 대학원. pp.48-50.

명성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서 과시적 소비는 물론이고 체면유지의 요소로 서 과시적 소비에 대한 강조는 개인접촉이 가장 광범위하고 인구 이동이 심한 사회에 있어서 그 절정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므로 농어촌보다는 도 시에서 일정한 정도의 체면을 과시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막대한 비용이 들 게 되며, 재화․용역 또는 인간생활을 막론하고 과시적 소비의 진전을 통 해서 볼 때 소비자가 명성을 얻으려면 과다한 소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