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공간적 교신시점 파악을 위한 요인분석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7-51)

3.2 해상교통관제 공간적 교신 시점

3.2.1 공간적 교신시점 파악을 위한 요인분석

집중관제 구역을 도출하기 위해 VTS 관제구역 설정과 관련한 선행연구 및 문헌을 조사했다. IMO는 VTS 관제구역 설정에 관하여 다음의 권고사항을 제시 하고 있다(IMO, 1997).

- 높은 교통밀도

- 유해화물을 운송하는 교통 - 상충되고 복잡한 항행형태

- 어려운 수로학상, 수문학상 및 기상학상의 요소 - 움직이는 모래톱(shoals)이나 다른 위험요소 - 환경적 고려사항

- 다른 해상 활동에 의한 선박 교통의 방해 - 해양사고의 기록

- 인접수역에 상존하거나 계획된 해상교통관제와 적절하다면 이웃 국가들 사 이의 협력을 위한 필요성

- 협수로, 항로배치, 교량 및 선박의 진행이 제한될 수 있는 구역

- 구역 내 항만이나 연안터미널 개발 혹은 연안의 자원탐사와 이용으로부터 교통형태에서 존재하거나 예견되는 변화

박진수와 김준옥(2000)은 포항항의 VTS 서비스구역을 제안하기 위해 포항항 의 교통량, 어장형성, 해양사고 실태조사와 레이더 탐지범위 등을 분석했으며, 최종적으로 교통밀도, 항행형태, 어장형성, 자연조건, 레이더탐지범위를 고려해 서 포항항의 VTS 서비스구역을 제안했다.

문범식 등(2002)은 해양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선박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선박 을 통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특히, 선박의 교통밀도가 높은 연안해역 및 수로의 선박교통 관리가 필요하며 목포해역을 대상으로 해상 교통조사를 실시해서 연안 VTS 센터 및 레이더사이트 위치를 제안했다.

손휘동(2004)은 IMO에 따른 VTS 설치구역 및 조건과 부산신항의 현황, 교통 량 조사, 해양사고 실태조사와 레이더 탐지 및 인접항만의 서비스 범위를 고려 하여 부산신항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VTS 서비스구역을 제시했다.

김경태(2008)는 해양사고 수와 해상교통관련 위험인자 간 상관관계를 중회귀 분석을 통해 밝혀냈으며, 위험인자는 Peak time 입항선박 수, L2 환산교통량이 었다. 이를 토대로 해상교통량 통제에 의해 해양사고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그리고 부산항의 경우 해상교통량에 비해 관제범위가 좁아 이를 확 장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형기 등(2009)은 관제구역의 범위가 넓어지면 주시, 감시 및 통제해야하는 관제범위가 늘어남으로서 적절한 관제업무 수행에 차질을 가져올 수 있다고 했 으며, 이러한 이유로 각 VTS 센터에서는 관제지역을 몇 개의 Sector로 분할하 여 관리한다고 했다. 또한 교통관련사고 예측모형을 통해 VTS 관제구역 내 교 통관련사고는 교통량에 절대적인 영향(88.4%)을 받고 있음을 밝혔다.

김종관(2018)은 항로의 항행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교통현황조사를 하고 조사 된 자료를 바탕으로 동적항행패턴을 개발했다. 동적항행패턴을 이용해 항로를 이용하는 선박의 패턴을 분석한 결과, 부산신항 가덕수도의 입구항로는 입항

는 집중적이고 적극적인 통항관제를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종합 하면, VTS 관제구역은 교통밀도, 항행형태, 해양사고 발생 위치 등이 고려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관제사의 업무부하에 관련해서는 S. Kum, et al.(2007)은 관제사의 업무부하를 측정하기 위해 각 상황별 심장박동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봤고 교통량, 선박과 의 의사소통능력, 선박제원(크기, 속력, 흘수)이 업무부하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 혔다.

박성용 등(2008)은 VTS 관제사 관점의 업무부담을 정량적으로 분석했으며, 업 무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교통량, 관제구역의 크기, 해양사고 빈도, 대형 선, 위험물운반선 임을 식별했다. 김정호(2016)는 관제사의 직무스트레스가 높 을 경우 인적과실의 발생이 높게 나타남을 확인했고, 상황인식능력이 인적과실 로 인한 사고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 종합하면, 관 제사에게 해상교통량이 업무부담에 미치는 영향은 크며, 업무부담은 곧 인적과 실로 인한 사고로 연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관제구역 내 위험도에 관련해서 김광일 등(2012)은 실시간 관측한 AIS 데이터 를 이용해서 해상교통특성을 나타내는 선박통항량 및 통항분포, 속력분포를 계 산한 후, 충돌위험성 평가를 위한 기하학적 충돌빈도를 선박의 조우관계별로 계산하는 시뮬레이터를 개발했다. 개발된 시뮬레이터는 관제사가 체계화된 교 통관제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 밝혔다.

남해지방해양경비안전본부(2014) 보고서에서는 부산권 해역의 해상교통관제를 선박의 교통흐름과 통일시켜 교통관리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안 한 바 있다. 특히, 신항 관제구역의 목도북측과 남측에 항로 지정을 제안했다.

양영훈과 오세웅(2016)은 해양수산부 주도하에 진행되고 있는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 핵심기술 개발에 대해서 소개했으며, 특히 종합상황인식 및 대응기술 개발 분야의 사고 취약선박 모니터링 지원 서비스를 언급했다. 이 지원 서비스 는 해양안전과 관련한 빅데이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해상교통상황에 따른 선 박의 항해 위험도를 평가하고 효과적으로 상황대응을 지원하는 것이며, 이에

대한 연구 필요성을 제기했다.

장은규와 김정호(2017)는 관제사 행동패턴을 분석한 결과 선박교통 상황파악 및 위험예측이 71.2%였으며, 전문가 자문내용을 기반으로 관제사 행동패턴을 종합하면 관제 시스템 운영을 제외한 99.9%의 행동이 모두 해상교통관리를 위 한 행동이나 예비행동으로 볼 수 있다고 했다.

즉, 관제사의 핵심직무역량을 해상교통관리역량으로 볼 수 있으며, 관제사의 역할 중 해상교통관리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종합하면 관제구역 내 정량적인 위험도는 해상교통관제 서비스 제공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 며, e-Navigation 서비스의 핵심기술 중 하나로 분류되어 있다.

이상의 문헌 연구는 Table 9와 같이 요약했다.

주제 문헌 저자 주요내용

VTS 서비스구역

설정

IMO VTS 서비스구역 설정 권고사항

박진수ㆍ김준옥 교통밀도, 항행형태, 어장형성, 자연조건, 레이더탐지범위를 고

려해서 포항항의 VTS 서비스구역을 제안

문범식ㆍ정재용ㆍ국승기 ㆍ김세원ㆍ박영수

선박의 교통밀도가 높고 선박교통 관리가 필요한 목포해역을 대상으로 해상교통조사를 실시, 연안VTS 센터 및 레이더사이 트 위치를 제안

손휘동

부산신항의 현황, 교통량 조사, 해양사고 실태조사와 레이더 탐 지 및 인접항만의 서비스 범위를 고려하여 부산신항 VTS 구역 제시

김경태 해양사고 수와 해상교통관련 위험인자(Peak time 입항선박 수, L2 환산교통량) 간 상관관계를 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

이형기ㆍ장성록ㆍ박영수 교통관련사고 예측모형을 통해 VTS 관제구역 내 교통관련사고 와 교통량간 영향(88.4%)을 정량적으로 밝힘

김종관

부산신항 가덕수도의 입구항로는 입항 시 교통흐름이 모이고, 출항 시 확산이 시작되는 부분으로 해당 구역 관제사는 집중적 이며 적극적인 통항관제를 실시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

Table 9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관제구역의 요소 중 중요한 요소로 제시된 해상교통 량을 이용해서 관제구역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효율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공 간적 측면의 교신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3.2.2 공간적 교신시점 제안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