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뺷管子뺸, 뺷國語뺸, 뺷詩經뺸, 뺷山海經뺸, 뺷逸周書뺸

곽대순⋅장성덕, 뺷동북문화와 유연문명뺸 동북아역사재단, 2008.

국립제주박물관, 2005 뺷선사시대 문화의 재발견뺸 통천문화사, 2005.

김필수, 뺷관자(管子)뺸 소나무, 2006.

박정학, 뺷왜 아직도 배워야 합니까뺸 리치미디어, 2020.

복기대, 뺷요서지역 청동기시대 문화연구뺸 백산연구원, 2002.

복기대, 뺷요서지역 석제무덤의 특징연구뺸 인하대학교 고조선연구소, 2015.

복기대 외, 뺷고구려 평양과 그 여운뺸 주류성, 2017.

복기대, 뺷홍산문화의 이해뺸 우리역사연구재단, 2019.

사회과학원역사연구소, 뺷조선전사뺸 백산자료원, 1991.

서영수, 뺷고조선의 위치와 강역뺸 일조각, 1988.

송호정, 뺷한국 고대사 속의 고조선사뺸 푸른역사, 2003.

윤내현, 뺷고조선연구뺸 일지사, 2004.

윤내현, 뺷고조선 우리 역사의 탄생뺸 만권당, 2016.

윤한택 외, 뺷압록과 고려의 북계뺸 주류성, 2017.

이형구, 뺷발해연안에서 찾은 한국 고대문화의 비밀뺸 김영사, 2004.

임찬경, 뺷고구려와 위만조선의 경계뺸 한국학술정보, 2019.

콜린 렌프류⋅폴반, 뺷현대고고학의 이해뺸 사회평론, 2006.

文物編輯委員, 뺷文物工作十年뺸 文物出版社, 1990.

赤峰中美聯合考古硏究項目, 뺷內蒙古東部(赤峰)區域考古調査階段性報告뺸 科學出版社, 2003.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뺷大甸子-夏家店下層文化遺址與墓地發掘報告뺸 科學出版社, 1998.

강봉룡, 「한국 해상세력 형성과 변천」 해상왕장보고기념사업회, 2004.

권태원, 「고조선이 문화강역문제」백제연구, 1989.

김연성, 「동북아 고대교역과 명도전의 관계」 인하대학교 석사논문, 2013.

_______, 「만주지역과 황하 유역의 교역에 대한 일고찰」 만주지역 고문자연구, 2014.

김병곤, 「고조선 왕권의 성장과 지배력의 성격 변화」 동국사학, 2000.

김정렬, 「요서지역 청동기문화와 복합사회의 전개」 동양학, 2012.

김태식, 「한국 고대제국의 대외교역」 진단학보, 2006.

남창희⋅이인숙, 「환발해만 제해권과 고대 동북아 국제관계」 한일군사문화 연구, 2013.

박선미, 「전국-진한 초 화폐사용집단과 고조선의 관련성」 동북아역사논총, 2005.

_______, 「고조선의 교역과 화폐사용에 대한 시론적 검토」 동북아역사논총, 2008.

박선희, 「복식자료와 복식형체를 통해 본 고조선의 영역」 인문과학연구, 2002.

박순지⋅이춘규, 「고대부터 고려까지의 모피물에 관한 고찰」 복식, 1994.

박재복, 「중국 북방지역의 갑골 점복에 관한 고찰」 중국 고중세사 연구, 2014.

박준형, 「고조선의 대외교역과 의미-춘추 제와의 교역을 중심으로」 북방사논 총, 2004.

박진호, 뺷하가점하층문화 취락⋅경제⋅사회형태연구뺸 중국사회과학원 박사 학위논문, 2020.

방민규, 「사천 늑도 유적으로 본 한반도 남해안 지역의 대외 교류」 해양도시문 화교섭학, 2012.

복기대, 「하가점하층문화의 기원과 사회성격에 관한 시론」 한국상고사학보, 1995.

_______, 「중국 요서지역 청동기시대 문화의 역사적 이해」 고조선단군학, 2001.

_______, 「남만주지역 청동기시대 문화와 민족 문제에 관하여」 만주연구,

2005.

_______, 「한국 상고사와 동북아시아 청동기시대 문화」 단군학연구, 2006.

_______, 「고고학 성과로 본 동북아시아 고대문화-환발해만 전기 청동기시대 문화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2008.

_______, 「고대 동북아시아에서 기록문화의 기원고찰에 관한 시론」 만주지역 고문자연구, 2014.

서영수, 「고조선의 위치와 강역」 일조각, 1988.

송옥진, 뺷대전자유적 개오지조개와 고대 교역네트워크 범위에 대한 연구뺸,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송호정, 「한국 고대사 속의 고조선사」 푸른역사, 2003.

송화섭, 「고대 동아시아 문화와 한반도 교류-관음의 바닷길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학술대회, 2010.

오강원, 「동북아시아 속의 한국 청동기 문화권과 복합사회의 출현」 동양학, 2011.

윤내현, 「명도전-고조선은 외화를 많이 보유한 부유한 나라였다」 수필한국 사, 1989.

_______, 「고조선의 실존문제-상식적 탐색」 고조선단군학, 2011.

윤명철, 「한국의 고대문화와 해양 남방문화」 국사관논총, 2005.

윤용구, 「삼한⋅삼국의 교역」 한국 고대사 연구의 새동향, 2007.

이도학, 「삼국의 문화와 문물 교류과정」 신라문화, 2004.

이진민, 「고고학 자료로 본 섬문화 비교 연구 시론」 국립제주박물관, 2005.

이청규, 「청동기를 통해 본 고조선과 주변사회」 북방사논총, 2002.

조흥국, 「고대 한반도와 동남아시아 및 인도의 해양교류에 관한 고찰」 해양도 시문화교섭학, 2010.

정경희, 「홍산문화의 제천유적 유물에 나타난 한국선도와 중국 선상문화적 해석」 고조선단군학, 2016.

정징원⋅하인수, 「남해안지방과 규슈지방의 신석기시대 문화교류 연구」 한

국민족문화, 1998.

최광식, 「한국고대무역사에 관한 고찰」 한국무역학회세미나, 2004.

최성락, 「고고학에서 본 고대 한일 문화교류의 쟁점」 북방사논총, 2005.

_______, 「고고학에서 본 고대 동아시아의 해상교류」 도서문화, 2005.

한창균, 「고조선의 성립배경과 발전단계 시론」 국사관논총, 1992.

彤 泽, 「大甸子遺址与墓地中的貝与仿貝」 钱币文集. 2006.

佟偉華, 「膠東半島與遼東半島原始文化的交流」 뺷考古學文化論文集뺸, 文物 出版社. 1989

王錫平, 「從出土文物看膠東半島與遼東半島史前時期的海上交通」 뺷海交史 硏究뺸 2004.

王子今, 「秦漢時期渤海航運與遼東浮海移民」, 뺷史學集刊뺸 2010.

趙匡华, 「金屬貝帀与金屬包套檢測報告」大甸子, 1998.

【Abstract】

A Study on Expansion of Recognition of Maritime Exchanges in

Gojoseon about Dadianzi Site

Song, Ok Jin (Secretary General Daehansarang)

The Dadianzi is a representative community site of the 1600 B.C. period located in the Chinese city of Aohanqi Chifeng of Inner Mongolia where 1,200 pieces of cowrie shell were excavated. In the Dadazian Site, both natural cowrie shell and replica currency shell were excavated. Also a relic similar to cowrie shell, which is made of lead(鉛貝) was unearthed.

Chinese archaeological community recognizes to some extent the possibility that the lead currency-shaped cowrie shell was not only used as an ornament or a prestige in the community at the time, but also served as a currency. After applying various experimental methods applied to cowrie shells collected from shell habitats of coastal area of East Asia, the author tested validity of arguments raised by Chinese scholars, adding a new finding. The cowrie shell relic found in the Dadianzi were easy to carry with and can be preserved for a long time due to their ability to resist corrosion. It is also widely recognized by Chinese archaeologists that it had usage of quantification which satisfies requirements of currency. This finding raises a need to correct our traditional view on

the isolated scope of trade network of the ancient people of the Northeast Asian community. The commercial or ritualistic trade practices between Lower Xiajiadian communities and it neighboring cultures and remote cultures during the Bronze Age were not extensively studied so far. The customary conception has been that the trade netwok was limited within the immediately surrounding areas. The author investigated Moneta cowrie shell’s habitat throughout in continental and maritime East Asia of both ancient times and today. As a result, shellfish from that period until now were found to habitat in coral reef areas of Jeju Island, Okinawa, and south of Taiwan and the Philippines. The finding and confirmation raise us a need to expand the trading scope of people in the Dadianzi community at the time and the existing perception of the their inter-cultural activities. The existing perception should be extended to add wide-area trade practices beyond the hundreds of kilometers of confined networks with communities including such nearby cultures as.

Gaotaishan culture(高殆山文化), Machengzi culture(馬城子文化), Daetuotou culture(大坨頭文化), Shuangtuozi culture(雙砣子文化), Yueshi culture(岳石 文化). The finding further demands us to extend the remote trading network between Lower Xiajiadian and Erlitou culture(二里頭文化) in the Yellow River basin. With a more accurate assessment of their wide world view, inter-cultural interaction and active trading practices, we can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e, economy, and culture of people in the 1600s before A.D.

Keyword : Dadianzi Site, Gojoseon, Cowire Shell, Lower Xiajiadian Culture, Trade Range

논문투고일 : 2021년 01월 15일

게재확정일 : 2021년 02월 06일 심사완료일 : 2021년 01월 31일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