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연구결과 및 고찰

6. 고기국수

1)조리법 수집 및 고찰

제주향토음식문헌을 보면 2007년 이후의 문헌에서만 고기국수의 조리법이 쓰 여있었다. 이를 보면 고기국수가 향토음식으로서 자리매김 해온 기간이 짧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기국수가 만들어진 배경을 보면, 일본강점기 때 건면을 생 산하는 국수공장이 들어섰고, 물자가 귀한 시대라 경조사 때 몸국(국)과 같은 잔치 음식도 대접하지 못하게 되자 돼지뼈를 우린 국물에 국수를 말아서 대접하 던 음식이 1970년대부터 분식장려정책과 가정의례준칙이 발효되면서 섬 전역으 로 퍼져갔다.

다른 지방에서는 돼지고기국물을 잘 이용하지 않지만 제주지역에서는 돼지고 기국, 돼지고기 찌개, 돼지고기 육개장, 몸국(국) 등 돼지고기 국물을 이용한 음식이 많은 것도 하나의 특색이다. 제주에서는 잔치 등의 손님 접대할 일이 생 기면 돼지를 잡아서 고기는 ‘돔베고기’라는 편육으로 이용되었고, 돼지고기 삶은 국물은 국수의 육수로 사용하였다. 접대음식 간소화 정책에 의해 결혼식에 오신 손님들에게 이 고기 국수를 대접하면서 일명 ‘잔치국수’ 라고도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고찰한 총 15건의 제주향토음식 문헌 중 4종의 문헌9,85,86,92)에 서만 고기국수의 조리법이 쓰여 있었다. 기본재료와 분량을 고찰한 내용은 표 20 과 표 21과 같다. 돼지고기(삼겹살), 물, 마늘, 국수, 국간장, 깨소금이 공동재료로 사용되었다.

국수 육수에 들어가는 재료를 보면 농업기술원(2007)92), 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8)86)문헌은 돼지고기 삼겹살, 물, 마늘, 생강, 된장, 양파를 사용하여 육수를 만들었으며, 홍(1996)9)의 문헌은 삼겹살, 물, 마늘, 된장, 양파을 넣어 육수를 만 들었다. 그리고 국립문화박물관(2007)85)의 문헌에서만 돼지고기 등뼈를 물, 무, 파, 마늘, 생강을 넣고 육수를 만들어서 사용하였다. 네 개의 문헌9,85,86,92) 중 세 개의 문헌9,86,92)에서는 된장을 사용하였으나 국립문화박물관(2007)85)의 문헌만 된 장을 사용하지 않고 육수를 만들었다. 국수의 고명으로 올라가는 재료 또한 4개

의 문헌9,85,86,92)이 조금씩 달랐다. 간은 국립문화박물관(2007)85)의 문헌만 국간장만

A92)

2007 B85)

2007 C86)

2008 D9) 2012

재료사용 문헌 수

돼지고기(삼겹살) o o o o 4

돼지고기(등뼈) o 1

물 o o o o 4

마늘 o o o o 4

생강 o o o 3

된장 o o o 3

양파 o o o 3

무 o 1

국수 o o o o 4

달걀 o o o 3

콩나물 o o o 3

표고 o 1

대파 o o o 3

잔파 o 1

간장 o o 2

국간장 o o o o 4

소금 o o o 3

고춧가루 o o 2

깨소금 o o o o 4

표 20. 고기국수의 참고문헌 식재료 고찰

을 사용하였고 다른 세 개9,86,92)의 문헌은 국간장과 소금을 사용하여 간을 하였다.

A92):농업기술원, 2007, B85):국립문화박물관, 2007, C86):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8, D9):고 등, 2012

A92)

2007 B85)

2007 C86)

2008 D9) 2012

돼지고기(삼겹살) 300g ᐯ 300g 150g

돼지고기(등뼈) - ᐯ -

-물 10컵 ᐯ 2L ᐯ

마늘 5쪽 ᐯ 20g 5쪽

생강 1쪽 ᐯ 4g

-된장 2T - 2 T 1T

양파 1개 - 160g 1개

무 - ᐯ -

-국수 1kg ᐯ 400g 360g

달걀 2개 - 100g 1개

콩나물 100g - 100g 150g

표고버섯 - ᐯ -

-대파 1뿌리 ᐯ - 1개

잔파 - - - 10g

간장 1ts - 1ts

-국간장 1ts ᐯ 1ts 2T

소금 1ts - 1ts 약간

고춧가루 - ᐯ - 1/2T

깨소금 1ts ᐯ 1ts 1T

다진마늘 1ts - 1ts

-표 21. 고기국수의 참고문헌 분량 고찰

A92):농업기술원, 2007, B85):국립문화박물관, 2007, C86):농촌자원개발연구소, 2008, D9):고 등, 2012

제주향토음식 문헌에 나온 고기국수 조리법을 보면(표 22) 농업기술원(2007)92), 농촌자원개발연구소(2008)86)의 문헌은 조리법이나 재료가 비슷하고, 고 등(2012)9) 의 문헌은 조리법은 비슷하나 육수에 생강을 넣지 않았다. 농업기술원(2007)92), 농촌자원개발연구소(2008)86), 고 등(2012)9)의 문헌은 비슷한 재료와 조리법을 사 용하였고, 국립문화박물관(2007)85)의 문헌는 다른 재료와 조리법을 사용하는데, 국수의 육수를 만들 때 농업기술원(2007)92), 농촌자원개발연구소(2008)86), 고 등 (2012)9) 의 문헌에서는 돼지고기에 된장, 양파, 마늘을 넣어 고기를 삶고 그 국물 을 사용하여 육수를 만드는 조리법을 사용했으나 국립문화박물관(2007)85)의 문헌 에서는 고기를 된장을 넣은 물에 삶고, 육수를 돼지고기 등뼈를 사용하여 사골 국물을 우려 육수로 사용하였다.

A92)

2) 표준레시피 확립 및 영양분석

고기국수 표준레시피는 표 23에 나타내었듯이 재료는 국수 400g, 돼지(앞다리) 400g, 돼지등뼈 400g, 대파 40g, 유부 60g, 당근40g, 마늘 10g, 소금 10g, 후추 1g, 물 3.2L이다. 만드는 법은 돼지 등뼈는 기름기를 제거하고 깨끗이 손질한 후 찬물에 담가서 핏물을 빼고 끓은 물에서 한번 데쳐 깨끗하게 씻고, 솥에 돼지등 뼈를 넣고 찬물 1.6L을 부어 3시간 동안 강한 불로 끓인 후 육수를 한번 만들어 두고, 또 다시 찬물 1.6L을 넣어 2시간 정도 강한 불로 끓이고, 첫 번째 육수와 서로 합친다. 이 때 뚜껑의 반은 열고 고아야 돼지의 누린내가 휘발 한다. 육수 에 돼지 앞다리 살을 넣어 삶고, 등뼈와 삶아진 앞다리 살은 건져내고 면보로 국 물을 한번 거른다. 삶아진 앞다리 살을 0.5cm 두깨로 편육용으로 자르고, 유부는 끓는 물에 데쳐서 0.3cm의 두깨로 채 썬다. 당근은 0.3cm의 두깨로 채 썰어 볶 아두고 대파는 0.2cm 어슷 썰어둔다. 큰 냄비에 면의 다섯 배 정도의 물을 넣고 끓기 시작하면 국수를 넣는다. 거품이 생기면서 끓기 시작할 때 찬물 1컵을 붓 고, 국수를 저어준다. 끓어오르면 다시 찬물을 1컵 붓고, 다시 끓어오르면 불에서 내려 찬물에 여러 번 헹구어 1인분씩 사리를 지은 후 채반에 올려 물기를 뺀다.

육수에 마늘을 넣고 끓으면 불을 끈 후 소금 간을 한 후 삶은 국수 위에 편육용 돼지고기 앞다리를 올린 후 고명으로 준비해 둔 유부, 당근, 대파를 올린다. 간을 한 뜨거운 육수를 조심스럽게 부어 완성한다.

제주향토음식 문헌의 조리법에 준하여 5회의 실험조리 후 고기국수 표준레시 피가 완성되었다. 고기국수는 돼지고기 누린내가 나지 않는 육수, 육즙이 살아있 는 돼지고기 편육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문헌9,86,92)의 조리법에서는 돼지고기 오겹살만을 이용해서 육수와 편육을 만들고 고기를 삶을 때 된장과 다 른 향신재료들을 넣어 만들어 깊은나 깔끔한 육수의 맛을 낼 수 없었을 것으로 여겨져, 본 연구에서는 돼지고기 등뼈를 이용하여 육수를 내어 육수의 깊은 맛을

의 양 또한 줄여야 할 것이다. 고기국수의 사진은 사진 16에 있다.

영양성분분석 One serving size : 680g

Energy(㎉) 564.8 Ash(g) 8.0 Zinc (mg) 6.5 Niacin(mg) 6.4

Protein(g) 37.1 Calcium(mg) 107.5 Vitamin A(mgR.E.) 141.0 VitaminC(mg) 6.8 Fat(g) 24.7 Phosphorus(mg) 461.5 Vitamin B1(mg) 1.1 Foilc acid(㎍) 123.0 Carbohydrate(g) 94.4 Iron(mg) 6.3 Vitamin B2(mg) 0.2 Vitamin E(mg) 14.7 Fiber(g) 3.4 Sodium(mg) 1,910.3 Vitamin B6(mg) 4.5 Cholesterol(mg) 736.1

표 23. 고기국수 표준레시피 (4인기준)

사진 16. 고기국수

3) 상차림 개발

(1) 고기국수 상차림

고기국수 면상차림은 사진 17과 같이 고기국수, 빙떡전, 초간장, 부추김치, 깍 두기, 양파장아찌, 열무김치로 구성하였다. 빙떡전은 빙떡을 응용한 전으로 채 썬 무를 데쳐 참기름과 소금으로 양념한 뒤 메밀가루 반죽에 넣어 잘 썩어 적을 부 친 것으로 맛은 빙떡 맛과 거의 같지만 만들기가 좀 더 수월하다.

사진 17. 고기국수 상차림

문서에서 제주 7대 향토음식의 조리표준화 (페이지 7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