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결론

실물Test 조사와 질문지 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의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주요 결론과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이 일반 의류 제품과 비교했을 때 디자인, 품 질수준, 가격, 브랜드인지도 의 측면에서 모든 조건이 일반 의류 제품과 동 일할 경우 분석결과 소비자의 대부분이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을 ‘구매하겠 다’ 라는 반응을 보였다. 이는 소비자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많은 소비 자가 소비생활이 미치는 사회적 내지 환경적 영향을 의식하게 되었으며 환 경 의식적 소비생활의 책임을 인식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는 결과이다.

이에 따라 의류기업 차원에서는 기업 활동의 환경적 영향에 대한 비용과 혜익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의류기업은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의 개발과 적극적인 환경경영을 함으로 써 새로운 이윤 획득의 기회를 얻음과 동시에 환경에 대한 사회적 역할도 수행하는 이중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의 디자인, 소재, 품질, 가격, 상표에 대한 태 도는 일반 의류 제품에 대한 태도와 비교했을 때 분석결과 호의적인 것으 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의 디자인, 소재, 품질, 가격, 브랜드 인지도에 관련한 환경 친화적 요소에 대해 가격을 제외한 디 자인, 소재, 품질, 가격, 상표에 관련한 환경 친화적인 요소의 긍정적인 속

성을 소비자에게 정보로 제공하였는데 그렇지 않은 일반 의류 제품에 비해 소비자들은 보다 호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는 기업이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한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을 개발하여 마케팅을 수행할 때 자사가 개발한 제품에 대한 정보의 제공 및 촉진활동 을 전개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재활용성, 건강증진, 인체의 무해도, 환경과 사회에 미치는 긍 정적인 영향 등 소비자에게 주는 가치와 간접적인 혜익을 널리 홍보해야 한다.

셋째, 분석결과 소비자들은 의류제품의 환경 친화적 단서들 중에서 소재 에 대해 가장 호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일반 의류제품과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을 가장 확실 히 구분 지을 수 있는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의 기본이 되는 요인이 바로 환경 친화적인 소재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소비자들의 생활 수준 및 환경 의식이 향상됨에 따라 인체에 무해하고 더 나아가 환경보호에도 긍정적인 섬유소재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보인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류관련 원부자재업체에서는 의류제품의 환경 친화적 소재의 개발 및 생산공정에 대하여 기술적인 연구와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야 하며 이를 바탕으로 의류기업에서는 인체에 무해하고 환경보호에도 긍 정적인 소재를 사용한 의류제품을 생산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넷째, 분석결과 소비자들은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의 소재 다음으로 환경 을 고려한 향상된 제품의 품질에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와 반대로 기술력이 뒷받침되지 않은 품질저하에 대해서는 비호의적

인 태도로 변화하였는데 ‘아마도 안 살 것이다’ 라고 응답한 소비자가 50.0%로 가장 민감한 태도의 변화를 보였다.

이에 따라 의류기업에서는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을 기획 하고자 할 때 일 반제품과 비교해서 환경적으로 긍정적인 품질의 향상에는 어떠한 방법이 있는지 기술적인 측면에서 조사되어야 하고 지속적인 품질향상에 대한 연 구와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디자인 측면에서는 형태와 관련하여 조사하였는데 나누어진 두집 단의 소비자들이 모두 비교적 호의적인 태도를 보였으며, 환경 친화적 단 서 제공 집단이 더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트렌드에 치중하지 않은 극히 제한적인 디자인일 경우 소비자들의 태도는 부정적으로 변화되었다.

본 연구의 실물Test 에 사용된 제품은 유행에는 민감하지 않으나 약간의 트렌드를 반영하여 클래식한 형태와 접목시킨 디자인이므로 처음 실물 Test에서 소비자들이 비교적 호의적인 태도를 보인 것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의류기업에서의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 디자인의 한 방 법으로써 형태와 색상의 측면에서 트렌드 와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함과 동 시에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는 클래식한 형태를 접목시킨 융통성 있는 디자 인을 기획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여섯째, 분석결과 소비자들은 일반제품의 높은 가격에 대한 비호의적인 태도보다는 덜 비호의적이었지만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의 높은 가격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의류기업의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 소비자가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을 호의적으로 구매한다는 가정 하에 계획을 수립하려고 한다면 장기적으로 일반 의류제품과 동일한 가격으로 인하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일곱째, 소비자들은 일반 의류브랜드 보다 환경 친화적인 이념을 바탕으 로 한 의류브랜드에 보다 높은 호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 드 인지도가 낮은 생소한 환경 친화적 의류브랜드에 대해서도 소비자의 구 매의도는 그다지 부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들의 환경 에 대한 관심을 반영하는 결과인 것으로 보여지며 이에 따라 환경 친화적 인 이념을 바탕으로 한 의류브랜드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이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을 개발하여 마케팅을 전개하고자 한 다면 제품의 개발과 함께 사회적인 책임의식을 갖고 환경경영에 임하는 브 랜드의 신뢰성 있는 이미지를 소비자들에게 전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환경의식적 소비자와 비환경의식적 소비자를 일반제품과 모든 조건이 동일한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에 대한 구매의도로 구분하였는데 ‘구매하지 않겠다’ 라고 답한 비환경의식적 소비자의 부정적 인 구매의도의 이유는 분석결과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에 대한 인식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을 전개하려는 의류기업은 소비자들에게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의 필요성과 함께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의 개념에 대 한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

본 연구의 한계 및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한가지 스타일의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만을 제작하 여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환경 친화적 요소가 부여된 다양한 의류제품을 제시하여 실증분석 한다면 보다 구체적인 환경 친화적 의류제품(브랜드)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20∼30세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국한되어 연구 가 이루어졌으므로 분석결과의 일반화에는 다소 한계가 있다.

향후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과 다양한 연령 대를 구분하여 세분화된 분 석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연우, “ 환경상품에 대한 소비자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김영엽, “ 그린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최나영, “ 그린 패션제품의 활성화를 위한 환경친화적 소비자 특성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9.

황인창, “ 생태적 마케팅의 효율적 전개를 위한 환경의식적 소비자의 특 성 분석”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의 논문, 1990.

김민수, 「모던 디자인 비평」, 안그라피스, 1994.

윤봉순 역, B Joseph Pine, 「매스 커스트마이제이션 혁명」

21세기북스,1994

윤훈현 역, Philip Kotler & Gary Armstrong,「Principles of Marketing」

석정. 1996.

윤훈현, 「현대 소비자 행동론」, 박영사, 1996.

이학식, 안광호, 「소비자 행동」, 법문사, 1996.

임종원 외, 「소비자 행동론」, 경문사, 1996.

최병용, 「최신 소비자 행동론」, 박영사, 1996.

Bobbin journal, 폐기된 PET병 의류로 부활한다. 1998년 2월 호

월간섬유,“ 환경보호에 적합한 제품으로 각광 받는, 석면대체로 사용되는 케블라” , 1994.

「매일경제신문 」, “ 세계적인 스킨케어 유통업체 英 바디샵” , 2000.

「환경마크협회 」, “ 환경친화적 섬유 제품” , 2000.

Auf dem Oke-Trip, Texilien, Der Spiegel 46, 1994.

Burall, P. “ Green Design” , London: The Design Council, 1991.

E. Cracco & J. Rostenne, “ The Socio-Ecological Product,”

MSU Business Topics, Vol. 19, Summer 1971.

George S. Day,“ Theories of Attitude Structure and Change,” in Scott Ward and Thomas S. Robertson, end, 1981.

Jennifer Lawrance & Laurie, “ Freeman Marketers Study State

Guideline” , Advertising Age, November 1990.

J. Galtung, The Green Movement, Accountancy, 1990.

John H. Antil and Peter D. Bennet,“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Measures of Individual Difference Variables : The Case of Socially Responsible Consumer,”

Working Paper #47,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August 1976.

Karl E, Henion Ⅱ, Ecological Marketing, Columbus : Grid, Inc, 1972.

Ken Peattie, Green Marketing, London : Pitman Publishing, 1992.

Laurie, Freeman, Procter & Camble, Advertising Age, 1991.

Martin Fishbein,“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Beliefe About am Object and the Attitude Toward That Object,” Human Relations, 16, August 1971.

Martin Fishbein and Icek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Reading Mass. : Addison-Wesley, 1975.

Mona A. Clee,“ A Cross-Culturl Investigation of the Ecologically Concerned Consumer,” Master'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The University of Taxas at Austin, 1978.

W. Thomas Anderson, Jr. and William H. Cunningham,“ The socially Consumer,” Journal of Marketing, Vol. 36, July 1972.

연구 내용물

<브랜드 이미지 맵>

<실물제품>

패션 마케팅 연구

* 본 연구는 신규브랜드에서 선보이는 의류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 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것입니다.

* 귀하의 응답내용은 본 연구에 있어서 매우 소중한 자료로 이용되므로 진

* 귀하의 응답내용은 본 연구에 있어서 매우 소중한 자료로 이용되므로 진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