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75)

D. 수면장애, 피로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

Ⅵ. 결론 및 제언

A. 결론

본 연구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 피로와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 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 경기도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교대 근무 간호사 13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수면장애는 평균 36.57±7.12점, 피 로는 평균 56.83±13.90점, 이직의도는 평균 20.46±4.16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장애는 임상경력, 주관적 건강상태, 평균 수면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고, 피로는 성별,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는 연령, 최종학력, 자녀유무, 직위, 월 평균수입,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수면장애는 피로와 피로는 이직의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나, 수면장애와 이직의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B. 제언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본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제한이 있으므로 연구 대상자 수와 지역을 확대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2. 다양한 병원내 근무하는 교대근무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면장애, 피로가 이직

3.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 피로의 완화를 위한 중재프로그램의 개발, 적 용 및 고위험군 선별 및 관리를 위한 기관차원의 체계적인 관리를 포함하는 중재를 통하여 수면장애 및 피로를 호소하는 교대근무 간호사의 이직의도 감 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중재연구를 제언한다.

참고문헌

강기노. (2012).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18(2), 155-165.

강영실. (2018). 요양병원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감성지능 조절효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가야대학교, 김해.

곽은주. (2009). 교대근무 병원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 직무만족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구.

권공주. (2005). 교대 근무간호사의 피로도와 근무형태에 따른 수면양상, 석사학 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김광점. (2012). 병원 내 간호사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과제와 연구방향. 보건의 료산업학회지, 6(1), 247-258.

김기영, 이복환. (1993). 생활건강. 서울 : 정훈출판사.

김미란. (2007). 간호사의 조직몰입과 경력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간호 행정학회지. 13(3), 335-344.

김민혜. (2016). 근무형태에 따른 간호사의 피로와 수면의 질 및 월경양상. 석사 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김순영, 권인선, 조영채. (2012). 대학병원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 수 준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3(4), 1759-1768.

김신정, 성명숙. (1998). 병원근무 간호사가 자각하는 피로. 대한간호학회지, 28(4), 908-919.

김요나. (2017). 간호사의 피로도, 감정노동, 직무착근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11(1), 67-78.

김윤규, 윤동영, 김정일, 채창호, 홍영습, 양창국, 등. (2002).교대근무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4(3), 247-256.

김일옥, 정구철. (2011). 가정보육시설 보육교사의 건강상태가 이직의도에 미치 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8, 147-169.

김정희, 김명숙, 김연희. (2017). 야간전담간호사와 3교대간호사의 표준 교대근 무 지표(Standard Shiftwork Index) 차이. 임상간호연구, 23(1), 54-63.

김진규. (2012). 중소병원간호사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부산카톨릭대학교, 부산.

김현숙, 최경숙, 엄미란, 주은정. (2011). 교대근무간호사의 일주기 유형과 우울 한 기분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신약물학회지, 22, 96-104.

대한수면연구학회. (2020). 정상수면. Retrieved from https://www.sleepnet.or.kr/sleep/normal

류재금, 최스미. (2018). 교대근무 간호사의 혈액과 체액 노출 경험과 수면장애, 피로, 직무스트레스와 상관성.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20(3), 187-195.

문경미. (2018). 중환자실 3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 주간 졸업, 피로와 근 접오류.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서울.

문경미, 최수정. (2020). 중환자실 간호사의 수면장애가 피로, 졸음과 근접오류 에 미치는 영향. 중환자간호학회지, 13(3), 1-10.

문숙자, 한상숙. (2011). 간호사의 이직의도 예측모형. 한국간호과학회지, 41(5), 633-641.

문인오, 이윤주. (2015).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 신체적 건강상태와 부적 정동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5(3). 45-68.

문지선, 정경희. (2016). 중소병원 기혼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예술인문사 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6(1), 77-90.

박선민. (2015). 호남지역 2차 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 소진, 이직의도 관련요 인. 석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전남.

박안숙, 권인선, 조영채. (2009).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피로수준 및 관련요인. 한 국산학기술학회지, 10(8), 2164-2172.

박영남, 양혜경, 김현리, 조영채. (2007). 일부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교대근무와 수면문제 및 피로자각증상과의 관련성.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16(1), 37-47.

박주상. (2012). 교대근무제 경찰공무원의 수면장애, 피로 및 삶의 질과의 관계 에 관한 연구. 한국정부학회, 2012(8), 228-243.

방병문. (2013).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직무만족도 및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및 이직의도와의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 교, 부천.

변영순. (2005). 2교대와 3교대 근무간호사의 수면과 피로도, 대한기초간호자연 과학회지, 7(2), 5-15.

병원간호사회. (2020a). 병원간호사 근로조건 실태조사(2019). Retrieved

from https://khna.or.kr/home/pds/utilities.php?bo_table=board1&wr_id=8078 병원간호사회. (2020b). 병원간호인력 배치현황 실태조사(2019). Retrieved from

https://khna.or.kr/home/pds/utilities.php?bo_table=board1&wr_id=8072 보건복지부. (2018). 간호사 근무환경 및 처우 개선대책. Retrieved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 NU_ID=0403&CONT_SEQ=344262&page=1

보건복지부. (2018). 국민보건의료실태조사. Retrieved from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

사현하. (2019). 간호사의 일-생활 균형과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서연숙 (2007). 간호사의 직무몰입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창원

설미진. (2017). 임상간호사의 업무강도와 피로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석 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구.

설미진, 이병숙, 이수경. (2018). 임상간호사의 업무강도가 피로가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4(4), 276-287.

설미화. (2007). 교대 근무간호사의 피로도, 수면양상, 수면장애, 수면박탈증상 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진주.

손동민, 함옥경. (2018). 병원간호사의 근무형태에 따른 일-생활 양립 갈등이 이 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7(4), 191-202.

손연정, 박영례. (2011). 교대근무 형태에 따른 대학병원 간호사의 수면 질, 피 로, 우울 및 건강증진 행위 간의 관계.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13(3), 229-237.

신명애. (2014). 일 지역 병원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김해.

신승화. (2020). 간호사의 교대근무와 건강 생활습관에 따른 수면양상. 박사학위 논문, 경북대학교, 대구.

신승화. (2013). 교대근무간호사의 수면의 질과 피로에 대한 건강증진행위의 영 향.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구.

신승화, 김수현. (2020). 병원 간호사의 야간 교대근무와 수면효율이 피로, 우울 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31(2), 311-322.

신연희, 최은영, 김은희, 김연금, 임영숙, 서상순 등. (2018). 간호사의 교대근무 유형에 따른 일과 삶의 균형, 피로, 업무오류건수 비교. 임상간호연구, 24(2), 170-177.

안은주. (2020). 교대근무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피로와 수면장애의 관계에서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부산.

양은옥, 최인령, 김성민. (2017).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직무 스트레스 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트레스학회지, 25(4), 255-264.

오병훈, 박중철, 인형욱, 김기원. (2017). 야간전담 간호사 3교대 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 양상.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7(4), 551-556.

오진주, 송미순, 김신미. (1998). 수면측정도구의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간호학 회지, 28(3), 563-572.

오혜경. (2020), 간호사의 교대근무 특성과 개인생활이 일-생활 갈등, 직무만족, 수면장애와 피로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유민정, 최스미. (2020). 교대근무 신규간호사와 경력간호사의 수면의 질과 관련 요인: 2차자료분석. 한국간호과학회, 50(5), 646-657.

유지인. (2016). 임상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 직무스트레스,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통대학교, 충주.

유혜자. (2014). 직무스트레스가 종합병원 임상간호사의 우울과 수면장애에 미 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인천.

윤강재, 오영호, 이수형, 하솔잎, 여지영, 김진호 등. (2014). 한국의료전달체계의 쟁점과 발전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윤은자, 김희정. (2013). 간호사의 이직의도 도구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43(2), 256-266.

이건정, 황성우. (2015). 재취업 지원사업 참여 간호사의 취업 실태 분석. 한국 콘텐츠학회논문지, 15(5), 386-402.

이경아. (2010). 임상간호사의 A/B형 성격유형에 따른 피로와 건강상태. 석사학 위논문, 관동대학교, 강릉.

이경희, 김지영. (2011). 교대근무 간호사의 피로도가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의도 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0(1), 74-82.

이광자, 유숙자, 이소우, 김소야자, 김윤희, 원정숙. (2006). 제 5판 정신간호학총 론. 서울: 수문사.

이수현. (2019).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장애와 피로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창원.

이영옥. (2017). 국내 병원간호사 이직의도 관련요인에 대한 체계적 고찰 및 메 타분석.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부산.

이영희, 최수정. (2014). 중환자실 교대근무간호사의 수면특성과 투약오류와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21(4), 403-412.

이임정. (2012). 신규간호사의 수면 질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지각된 건강상태.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수원.

이현정, 정미정. (2020).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장 내 괴롭힘, 직무스트레스, 조직 몰입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8), 572-582.

이혜련. (2005). 수면의 질 측정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임민숙. (2015). 아동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부산.

임숙빈, 유선영, 서은비, 이수진, 윤보라, 서은주 등. (2006). 교대근무 간호사의 부적 정동과 수면장애. 정신간호학회지, 15(1), 40-47.

임연희, 조영채. (2018).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직무스트레스, 피로, 소진 및 직무 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9(6), 262-274.

장은희. (2013). 간호사의 피로 측정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서울.

장세진. (2000). 건강통계자료 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 서울: 계축문화사.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아, 정진주, 이철갑 등. (2005). 피로와 의료이용, 업무상 사고 및 질병결근,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17(4), 318-332.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2019). 간호사 이직률 실태조사 결과. (April 17th 2020).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 Retrieved from https://bogun.nodong.org/xe/khmwu_5_4/543250

전문희. (2018). 신규간호사의 프리셉터쉽 적용 단계별 임상수행 능력, 사회적지 지, 극복력 및 이직의도. 차의과학대학교, 포천.

정유진. (2017). 교대근무가 간호사의 수면, 피로 및 신경인지기능에 미치는 영 향.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정규인, 송찬희. (2001). 피로와 우울, 불안증 환자에서 Fatigue Severity Scale 의 임상적 유용성. 정신신체의학, 9(2), 164-173.

정정희, 김지수, 김경희. (2008).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14(1), 35-44.

정지영. (2017). 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의 질에 대한 구조모형. 박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진주.

정지영, 구미옥. (2016). 교대근무 간호사의 스트레스 반응, 신체활동, 수면위생 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7(6). 546-559.

조옥희, 황경혜, 김미나. (2017).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와 피로가 간호전문직 태 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17(3), 178-188.

질병관리본부. (2019). 수면장애의 정의. (April 15th 2020). Retrieved from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920 최소은, 김상돌. (2013). 중소병원 간호사의 피로와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9), 4218-4226.

최의순, 송민선. (2003). 피로의 개념분석. 여성건강간호학회지, 9(1), 61-69.

하혜진, 최지선, 오명순, 전진아, 김여진, 진은영 등. (2016). 병원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수면장애, 피로. 대한한의정보학회지, 22(1), 13-25.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2009). 고려대학교병원 노동자의 교대제 개선을 위한 노동 조건 실태조사. (April 23th 2020). Retrieved from http://www.kilsh.or.kr/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2011). 금속노동자 수면장애 실태조사 보고서. Retrieved from http://www.kilsh.or.kr/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2020). 약사, 간호사 합격자 발표. (April 26th

2020). Retrieved from

http://www.kuksiwon.or.kr/Publicity/NotiKukNewsView.aspx?SiteGnb=

4&SiteLnb=1

한금선, 박은영, 박영희, 임희수, 이은미, 김린 등. (2011). 임상간호사의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신간호학회지, 20(2), 121-131.

한세영, 조영채. (2016). 치과위생사의 직무스트레스, 피로 및 직무만족도가 이 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공분산구조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17(7), 629-640.

한주희, 유은광. (2018). 프리셉터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업무 부담에 관한 연구. 대한스트레스학회, 26(1), 38-45.

한혜영. (2019). 토픽모델링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간호사의 이직 관 련 연구동향.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서울.

황은희, 강지숙. (2011). 병원간호사의 근무형태와 주간수면과다증에 따른 직무 몰입. 동서간호학연구지, 17(2), 81-86.

Adan, A., Fabbri, M., Natale, V., & Prat, G. (2006). Sleep Beliefs Scale (SBS) and circadian typology. Journal of Sleep Research, 15(2), 125-132.

Adriaenssens, J., De gucht, V., Van der doef, M., & Maes, S. (2011).

Exploring the burden of emergency care: Predictors of stress-health outcomes in emergency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7(6), 1317-1328.

Barker, L. M., & Nussbaum., M. A. (2011). Fatigue, performance and the work environment: A survey of registered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7(6), 1370-1382.

Bluedorn, A. C. (1982). A Unified Model of Turnover from Organizations.

Human relations, 35(2), 135-153.

Boivin, D. B., & James, F. O. (2002). Circadian adaptation to night? shift work by judicious light and darkness exposure. Journal of Biological Rhythms, 17(6), 556-567.

Booker, L. A., Magee, M., Rajaratnam, S. M. W., Sletten, T. L., & Howard, M. E. (2018). Individual vulnerability to insomnia, excessive sleepiness and shift work disorder amongst healthcare shift workers. A systematic review. Sleep Medicine Reviews, 41, 220-233.

Books, C., Coody, L. C., Kauffman, R., & Abraham, S. (2020). Night Shift Work and Its Health Effects on Nurses. The Health Care Manager, 39(3), 347-353.

Burch, J. B., Yost, M. G., Johnson, W., & Allen, E. (2005). Melatonin, sleep, and shift work adapt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47(9), 893-901.

Buysse, D. J., Reynolds, C. F., Monk, T. H., Berman, S. R., & Kupfer, D. J.

(1989).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r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28(2), 193-213.

Çelik, S., Taşdemir, N., Kurt, A., İlgezdi, E., & Kubalas, Ö. (2017). Fatigue in Intensive Care Nurses and Related Factor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8(4), 199-206.

Chien, P. L., Su, H. F., Hsieh, P. C., Siao, R. Y., Ling, P. Y,, & Jou, H. J.

(2013). Sleep quality among female hospital staff nurses. Sleep Disorders, 2013, 1-6.

Del Campo, M. T., Romo, P. E., de la Hoz, R. E., Villamor, J. M., &

Mahíllo-Fernández, I. (2017) Anxiety and depression predict

Di Muzio, M., Diella, G., Di Simone, E., Novelli, L., Alfonsi, V., Scarpelli, S.

et al. (2020). Nurses and night Shifts: Poor sleep quality exacerbates psychomotor performance. Frontiers in Neuroscience, 14, 1050.

Dong, H., Zhang, Q., Sun, Z., Sang, F., & Xu, Y. (2017). Sleep problems among Chinese clinical nurse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Occupational Medicine, 67(7), 534–539.

Estryn-Behar, M., Van der Heijden, B. I., Fry, C., & Hasselhorn, H. M. J.

N. r. (2010). Longitudinal analysis of personal and work-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turnover among nurses. Nursing research, 59(3), 166-177.

Friese, C. R., Xia, R., Ghaferi, A., Birkmeyer, J. D., & Banerjee, M. (2015).

Hospitals in ‘Magnet’program show better patient outcomes on mortality measures compared to non? Magnet hospitals. Health Affairs, 34(6), 986-992.

Geiger-Brown, J., Rogers, V. E., Trinkoff, A. M., Kane, R. L., Bausell, R.

B., & Scharf, S. M. (2012). Sleep, sleepiness, fatigue, and performance of 12-hour-shift nurses. The Journal of Biological and Medical Rhythm Research, 29(2), 211-219.

Gifkins, J., Johnston, A., Loudoun, R., & Troth, A. (2020). Fatigue and recovery in shiftworking nurses: A scoping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112, 103710.

Gómez-García, T., Ruzafa-Martínez, M., Fuentelsaz-Gallego, C., Madrid, J.

A., Rol, M. A., Martínez-Madrid, M. J., et al. (2016). Nurses’ sleep quality, work environment and quality of care in the Spanish National Health System: Observational study among different shifts. BMJ Open, 6, e012073.

Halter, M., Boiko, O., Pelone, F., Beighton, C., & Drennan, V. (2017). The determinants and consequences of adult nursing staff turnover: A systematic review of systematic reviews.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17, 824.

Hazzard, B., Johnson, K., Dordunoo, D., Klein, T., Russell, B., & Walkowiak, P. (2013). Work- and nonwork-re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PACU nurses' fatigue. Journal of PeriAnesthesia Nursing, 28(4), 201.

Iverson, R. D. (1992). Employee intent to stay: An empirical test of a revision of the price and Mueller mode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Iowa, Iowa City, IA.

Johnson, A. L., Jung, L., Song, Y., Brown, K. C., Weaver, M. T., &

Richards, K. C. (2014). Sleep deprivation and error in nurses who work the night shift.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44(1), 17-22.

Ki, J., Ryu, J., Baek, J., Huh, I., & Choi-Kwon, S. (2020). Association between Health Problems and Turnover Intention in Shift Work Nurses : Health Problem Clust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 4532.

Krupp, L. B., LaRocca, N. G., Muir-Nash, J., Steinberg, A. D. (1989). The fatigue severity scale. Application to patients with multiple sclerosis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rchives of Neurology, 46(10), 1121-1123.

Labrague, L. J. (2020). Organisational and professional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 managers: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8, 1275– 1285.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7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