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1-81)

임스트레스를 줄여주고, 난임의 문제에 대해 사회적으로 지지를 해주는 제도의 신설과 난임 부부, 가족, 자조단체 등 다양한 사회적 관계에서의 간호 중재프로 그램 개발 및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난임 여성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Β . 제언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본 연구는 서울시 난임 여성병원 1곳과 수원시 대학병원 1곳의 두 개 기관에 서 시행된 연구로 연구의 일반화에는 제한이 있다. 이에 다양한 의료기관과 많 은 대상자에게 확대하여 반복연구할 필요가 있다.

2. 본 연구는 난임을 진단받은 여성을 편의 모집하였으므로, 난임의 치료 방법 에 따라 다른 난임관련 삶의 질 정도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3. 본 연구는 난임 여성만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로, 난임 남성과 난임 부부를 포함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4. 본 연구에서 난임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참고하여 난임 여성을 대상으로 난임관련 삶의 질 향상 간호 중재프로그램 개발과 함께 그 효과를 확 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강은영, 김정민, 정하나 (2015). 난임 여성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인지행동 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상담학연구. 16(3), 451-471.

권정혜 (2019). 근거기반실무로서 난임 상담의 실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4(2), 87-104.

권정혜, 이영선, 조성훈 (2016). 난임 상담 실태조사 및 상담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달체계 마련 연구. 보건복지부-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책 516.

47-17-1.

김동식, 김영택, 최인희, 선보영, 최인선 (2013). 고령 임산부의 산전 질환 및 출 산결과 동향분석과 정책적 함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

김미옥 (2016a). 난임 여성의 난임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성만족도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0(2), 140-151.

김미옥 (2016b). 불임 여성의 부부친밀감, 성 의사소통 및 성만족도. 한국웰니스 학회지, 11(1), 175-183.

김미옥, 김수 (2010). 불임 여성의 불확실성 측정도구개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6(4), 370-380.

김미옥, 김희선 (2018). 난임 여성의 우울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부친밀 감의 매개효과.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2(1), 96-108.

김미옥, 남현아, 윤미선 (2018). 난임 치료 과정 중인 여성의 난임 스트레스, 우 울 및 회복탄력성.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0(1), 93-104.

김민문정, 강혜란 (2019), 난임에 대한 다른 상상 - 무엇이 위기인가?. 한국여성 민우회 자료집, 서울.

김석현 (2002). 보조생식술의 현재와 미래. 대한산부인과학회, 31, 45-57.

김선행,박영주,이정아 (1995). 불임 스트레스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간 호과학회, 25(1), 141-155.

김성희, 이가연, 전혜정 (2021). 난임 커플의 난임스트레스와 난임관련 삶의 질

간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가족과 문화, 33(1), 37-69.

김시연, 서영석 (2010). 스트레스, 배우자지지, 결혼만족 간 관계: 자기효과 및 상대방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2), 189-213.

김옥희 (2013). 사회적 지지와 동거여부가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사 회과학연구, 22, 234-255.

김윤경 (2015). 조기진통 임부의 조산 발생에 대한 영향요인: 전향적 코호트 연 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대구

김윤미, 노주희 (2020). 난임 여성의 난임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 지. 26(6), 49-60.

김장래 , 추경진 , 이승재 , 이택후 , 전승주 , 조서은 등 (2020). 난임·우울증상 담센터 대상자 특성에 근거한 서비스 체계 고찰 및 개선 방안 - 난임 환 자 중심으로.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4(4), 181-195.

김주희, 신혜숙 (2013). 불임 여성의 삶의 질 모형 구축. 대한간호학회지, 43(3), 312-320.

김지희 (2016). 유방암 생존자의 사회적지지와 외상후 성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고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부산.

김찬희, 이선희 (2018). 여성 난임 환자에게 적용되는 온라인 기반 중재의 특성 및 효과 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근관절건강학회지, 25(3), 205–217.

김혜숙 (2009). 신장이식 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1(3), 295-302.

류숙진 (2019). 난임, 유예된 모성실현의 사회적 맥락: 온라인 난임 커뮤니티를 통한 질적 연구. 아시아여성연구 58(2), 5-38.

민소원, 김영혜, 조영란 (2008). 불임여성의 스트레스,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2(1), 19-32.

박강희 (2020). 국내 난임에 대한 심리적 지원 연구동향. 한국위기관리논집, 16(6), 1-16.

박명남, 최소영 (2012) 불임부부의 불임스트레스와 우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

향. 한국자료분석학회, 14(4), 1987-2000.

박영주 (1995). 불임여성의 불임스트레스 정도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 지, 1(2), 209-221.

박점미, 신나연, 이경미 (2020). 난임여성의 간호 요구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도 검정.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6(2), 141-150.

박지원 (1985).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서울.

송보경, 지영주 (2021). 난임 여성의 난임스트레스 영향요인. 아시아태평양융합 연구교류논문지, 7(5), 217-226.

신준섭, 이영분 (1999). 사회적 지지가 실직자의 심리사회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37, 241-269.

양소라, 여정희 (2017). 난임 여성의 비합리적 부모신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배우자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3(2), 145-153.

양지연, 배희분 (2020). 난임 여성의 난임 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를 통한 가족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가족관계 학회지, 25(3), 81-103.

오가실, 오경옥, 이숙자, 김정아, 정추자, 김혜령 등 (2008). 한국 사회적 지지 측 정도구 개발. 대한간호학회지, 38(6), 881-890.

오미나 (2001). 불임원인에 따른 남녀의 불임스트레스와 대처. 연세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윤숙희, 김송순 (2012). 우울, 희망과 사회적 지지가 혈액투석 환자의 자살생각 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4(3), 209 – 218.

이소영, 김은정, 박종서, 변수정, 오미애, 이상림 등 (2018).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연구보고서 2018-37. 서울.

이영선, 권정혜 (2020). 난임 상담서비스 체계 구축을 위한 난임 상담 실태 및 요구도 조사.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4(1), 52-63.

이영선, 최승미, 권정혜 (2020). 난임 여성의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예측하는 심 리사회적 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3(2), 136-146.

이영희, 박정숙(2019). 난임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한국모자보건 학회지, 23(3), 191-201.

이혜신, 부선주, 안정아, 송주은 (2020). 보조생식술을 받는 여성의 불확실성과 배우자 지지가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6(1), 72-83.

정경화, 전나미 (2019).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생활습관이 중년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초간호학회지, 21(1), 62-69.

정영민, 강선경 (2017) 여성의 난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생명연구, 44(1), 271-319.

정유정, 김혜영 (2017), 보조생식술 받은 여성의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 향 요인 우울과 극복력 중심으로. 여성건강간호학회지, 23(2), 117-125.

조은영, 성미혜 (2019). 난임 여성의 비합리적 부모 신념, 가족지지, 회복탄력성 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건강간호학회, 25(1), 60-72.

통계청 (2019). 전국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 통계정보보고서.

Retrived from

http://kosis.kr (On 11, June, 2021)

통계청 (2021). 2020

한국의 사회지표. Retrived from

http://kosis.kr (On 11, May, 2021)

황나미 (2013). 난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보건사회연구 33(3), 161-187.

황나미(2016). 난임 부부 지원사업 대상자의 원인불명 난임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 Issue& Focus, 313(0), 1-4.

황나미, 장인순 (2015). 정부 난임부부 지원사업 참여 대상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6(3), 179-189.

Abdishahshahani, M., Torabi, M., & Kazemi. A. (2020). Investigating related factors to psychological symptoms of infertile couples undergoing

assisted reproductive treatment. J ournal of Education and Health Promotion. 30(9), 21

Alice, D, Domar.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infertility.

Dialogues in Clinical Neuroscience. 20(1), 41–47.

Bakhtiya, K., Beiranvand, R., Ardalan, A., Changaee, F., Almasian, M., Badrizadeh, A., et al. (2019).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Infertility on Women's Quality of Life: A Case-Control Study. BMC Womens Health. 19(1), 114.

Boivin, J., Takefman, J., & Braverman, A. (2011). The Fertility Quality of Life (FertiQoL) tool: development and general psychometric properties. Human reproduction. 26(8), 2084–2091.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Infertility FAQ's [Internet].

Atlant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vailable from:

http://www.cdc.gov/reproductivehealth/Infertility/index.htm#1, Page last

reviewed: April 13, 2021.

Clifton, J., Parent, J., Worrall, G., Seehuus, M., Evans, M., Forehand, R., et al. (2020). An internet-based mind/body intervention to mitigate distress in women experiencing infertility: A randomized pilot trial.

PLoS ONE. 15(3)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Cousineau, T, M & Domar, A, D (2007). Psychological impact of infertility.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Obstetrics & Gynaecology. 21(2), 293-308.

Domar, A, D., Zuttermeister, P, C., & Friedman, R. (1993). The psychological impact of infertility; a comparison with patients with other medical conditions. J 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and Gynecology. 14,

45-52.

Erdem, K & Ejder Apay, S. (2014). A Sectional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in Turkish Infertile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fertility & sterility. 8(3), 303-314.

Gameiro, S., Boivin, J., Dancet, E., & Vermeulen, N. (2015). ESHRE guideline: routine psychosocial care in infertility and medically assisted reproduction—a guide for fertility staff. Human Reproduction. 0(0), 1 –11.

Hinton, L., Kurinczuk, J, J., & Ziebland, S. (2010). Infertility; isolation and the Internet: a qualitative interview study. Patient Education &

Counseling. 81, 436–441.

Karabulut, A., Özkan, S., & Oğuz, N. (2013). Predictors of fertility quality of life (FertiQoL) in infertile women: analysis of confounding factors.

Europe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and Reproductive Biology. 170(1), 193-197.

Keramat, A., Masoomi S, Z., Mousavi, S, A., Poorolajal, J., Shobeiri, F., &

Hazavhei, S, M. (2014). Quality of Life and Its Related Factors in Infertile Couples. J ournal of reseach in health science. 14(1), 57-63.

Kwok, T., Wong, B., lP, I., Chui, K., Young, D., & Ho, F. (2013).

Telephone-delivered psychoeducational intervention for Hong Kong Chinese dementia caregivers: a single-blin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2013(8), 1191-1197.

Lechner, L., Bolman, C & Van Dalen, A. (2007). Definite Involuntary Childlessness: Associations Between Coping,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Human Reproduction. 22(1), 288–294.

Lee, M. (2017). Don’t give up! A cyber-ethnography and discourse analysis of an online infertility patient forum. Culture, Medicine, and

Psychiatry, 41(3), 341–367.

Malina, A., Głogiewicz, M., & Piotrowski, J. (2019). Supportive Social Interactions in Infertility Treatment Decrease Cortisol Levels:

Experimental Study Report. Frontiers in Psychology. 13.

McBain, T. & Reeves, P. (2019). Women’s Experience of Infertility and Disenfranchised Grief. The Family journal: Counseling and Therapy for Couples and Families. 27(2), 156-166.

Namdar, A., M. M. Naghizadeh, M. Zamani, F. Yaghmaei and M. H. Sameni.

2017. Quality of life and general health of infertile women. Health &

Quality of Life Outcomes 15(1): 139.

Newton, C. R., Sherrard, W., & Glavac, I. (1999). The fertility problem inventory: Measuring perceived infertility-related stress. Fertility and Sterility. 72(1), 54-62.

Patel, A., Sharma, P, S, V. N., Kumar, P., & Binu, V. S. (2018).

Sociocultural determinants of infertility stress in patients undergoing fertility treatments. J ournal of human reproductive sciences. 11(2), 172-179.

Radoš, S. N., H. S. Vraneš, J. Tomić., & K. Kun. (2020). Infertility-related stress and sexual satisfaction: A dyadic approach. J ournal of Psychosomatic Obstetrics and Gynaecology 23: 1-8.

Song, D., Li X., Yang M., Wang N., Zhao Y., Diao S., et al. (2021). Fertility quality of life (FertiQoL) among Chinese women undergoing frozen embryo transfer. BMC Womens Health. 24;21(1)

Valiani, M., Abediyan, S., Ahmadi, S, M., Pahlavanzadeh, S., & Hassanzadeh, A. (2010). The effect of relaxation techniques to ease the stress in infertile women. Iran J ournal and Midwifery research. 15(4), 259-264.

Van Dijk, M, R., Koster, M, P, H, Willemsen, S, P., Huijgen, N, A., Laven,

J, S, E., Steegers-Theunissen, R, P, M. (2017). Healthy preconception nutrition and lifestyle using personalized mobile health coaching is associated with enhanced pregnancy chance. Reproductive Biomedicine Online. 35(4), 453-460.

Van Empel, I, W., Hermens, R, P., Akkermans, R, P., Hollander, K, W., Nelen, W, L., & Kremer, J, A. (2011).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patient-centered fertility care: A multilevel analysis. Fertility and Sterility. 95(2), 513-519.

Vanja Ida Erčulj & Aleš Žiberna. (2021). The Role of Online Social Support in Patients Undergoing Infertility Treatment – A Comparison of Pregnant and Non-pregnant Members. Health Communication, 1-7 Verhaak, C. M., Smeenk, J, M., Eugster, A., Van Minnen, A., Kremer, J, A.,

& Kraaimaat, F, W. (2001).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women before and after their first cycle of in vitro fertilization and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Fertility and Sterility. 76(3), 525-531 Yazdani, F., Elyasi, F., Peyvandi, S., & Hamzehgardeshi, Z. (2017).

Counseling-supportive interventions to decrease infertile women’s perceived stress: A systematic review. Electronic Physician. 9(6), 4694-4702.

Yurdagül, Y. & Hatice, O. (2012). Social support and hopelessness in women undergoing infertility treatment in eastern Turkey. Public Health Nurs.

29(2), 99-104.

Zahara, O, A., Soheila, R., Tahereh, B., Marzieh, A., Atefeh, Y. (2019). The Effectiveness of Counseling with a Cognitive-Behavioral Approach on Infertile Women’s Stress. Maedica (Buchar). 14(4), 363–370.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 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1), 30-41.

Zurlo, M, C., Cattaneo Della Volta, M, F & Vallone, F. (2019). The association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perceive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attending infertility treatments: the moderating role of coping strategies and perceived couple’s dyadic adjustment. BMC Public Health. 19(1), 1-8.

<부록 1> 연구대상자 설명문 및 동의서

연구대상자 설명문 귀하께 본 연구에 참여하여 주실 것을 요청 드립니다.

본 연구에 참가하실 것을 결정하기 전에 본 연구가 왜 실시되며 무엇을 어떻 게 하게 될지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의 내용은 이번 연구의 내용과 이 연구에 참여하실 경우, 연구의 진행과 정에 대하여 설명을 드리고자 마련한 것입니다.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본 대상 자 설명서를 읽으시고, 원하신다면 가족이나 다른 사람과 상의하셔도 됩니다.

또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연구담당자에게 질문하신 후 심사숙고 하시어 이번 연구 참여여부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1. 임상연구 제목

난임 여성의 난임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난임 관련 삶의 질

2. 연구 책임자

연구 책임자 : 아주대학교 간호학과 박진희 교수

3. 임상연구의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난임 여성의 난임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난임 관련 삶의 질을 알 아보기 위한 조사연구입니다. 본 연구를 통해 난임 여성의 삶의 질 정도를 파악 하고, 난임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난임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함으로써 난임 여성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난임 상담 프로그램 및 간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4. 임상연구 참여대상자 수 및 참여기간 1) 임상연구에 참여하는 대략의 대상자수

본 연구는 서울마리아병원 외래와 아주대학교병원 체외수정실에 내원한 난

임 여성 165명을 대상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2) 대상자의 연구참여 예상기간

본 연구의 조사 기간은 IRB 승인 후 2020년 9월 30일까지이며, 귀하는 1회 의 설문지 작성으로 연구 참여가 완료됩니다.

5. 임상연구의 절차 및 방법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난임스트레스 35문항, 사회적지지 12문항, 난임 관련 삶의 질 24문항, 일반적 특성 및 난임 관련 특성 1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15분~20분 정도 소요될 예정입니다.

6. 연구대상자에게 예견되는 부작용, 위험과 불편함

본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로 예상되는 신체적인 위험은 없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단, 연구자가 미처 생각하지 못한 연구대상자의 심리사회적 불편감이 있을 시 설문지 작성 중이라도 언제든지 자유롭게 중단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불이익은 전혀 없습니다.

7. 연구대상자에게 예견되는 이득

본 연구에 참여하는 것이 귀하에게 직접적인 이익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그 러나 본 연구를 통해 난임 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질적인 간호 중재의 개발과 더불어 우리나라 문화에 맞춘 한국형 난임 상담 프로그램과 지 침이 개발되기 위한 귀중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입니다.

8. 연구 참여 비용 및 금전적 보상 1) 연구 참여 시 예상되는 비용

귀하가 연구에 참여하는데 지불할 비용은 없습니다.

2) 금전적 보상

본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금전적인 보상은 없으나, 연구에 참여해 주신 것에 대한 감사의 마음으로 약소하지만 소정의 상품(커피쿠폰 또는 장바구니)을 드 릴 것입니다.

9. 손실에 대한 보상

본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로 예상되는 손실은 없을 것으로 예상되 나, 혹시라도 본 연구를 통한 문제가 생길 시 즉시 연락할 수 있도록 연구 담당 자의 전화번호와 이메일이 제공될 예정입니다.

10. 자발적 참여 및 동의 철회

본 연구는 대상자의 자발적 참여와 동의에 의해 진행할 것이며 참여를 원하 지 않을 경우 언제라도 철회할 수 있습니다. 동의를 철회하여 연구 참여가 중단 되는 경우, 그에 따른 손해는 없습니다.

11. 연구과정에서 수집된 모든 정보의 보관, 관리 및 폐기 등에 관한 사항 본 연구의 설문지는 익명으로 처리하여 서류봉투에 밀봉 후 회수할 것이고, 수집된 자료는 연구에 등록된 연구책임자 또는 연구책임자로부터 위임 받은 연 구자에게만 접근이 허용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연구정보가 포함된 PC의 경 우 암호를 설정하여 수집된 정보의 보안이 유지될 수 있도록 관리할 것입니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수집된 모든 자료는 연구종료 시점으로부터 3년 후에 폐기 할 예정입니다.

12. 사생활 및 기밀유지에 관한 사항 관한 사항

본 설문지에 응답한 내용과 결과는 익명으로 처리되어 오직 연구 목적을 위 한 자료로만 사용되며, 연구 종료 시 설문지는 즉시 파기할 것입니다. 대상자의 신원을 파악할 수 있는 기록은 비밀로 보장될 것이며, 연구 결과 발표나 출판 시에도 대상자의 신원은 비밀 상태로 유지될 것입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51-8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