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5-68)

고 있는 것은 인간의 심성과 처사에 관한 가르침이라 할 수 있다. 인간의 도리와 관련된 이런 가르침은 안창후가 평생을 두고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문제였다. 이와 더불어 부모 에 대한 효도와 가문의 화목을 강조하는 내용도 꽤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Ⅳ장에서는 조선후기 호남지역을 대표하는 향촌사족의 문학 특성과 비교하여 안창후 문학의 문학사적 위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여타의 향촌사족에게서 찾아볼 수 없는

‘한설이십오’와 같은 독특한 문학적 형태가 나타난다는 점과 향촌공동체를 바라보는 시 선이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상태에서 자신이 추구하는 유학의 이상적 이념을 보급하려는 열정이 매우 강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의 이런 열정이나 유학에 관한 문학 창작 및 교화는 그의 가문인 죽산 안씨 집안의 전통에서 비슷한 이념적 지향 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안창후의 문학세계가 가문적 전통에 기인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안창후가 남긴 문집의 두 필사본의 차이를 살펴봤고, 이를 토대로 안창후 의 문학을 한시, 산문과 ‘한설이십오’로 나누어 분석함을 통해 각 장르의 특성을 밝히고 안창후 문학의 문학사적 위상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런 점에서 어느 정도 의미가 있다 고 할 수 있겠지만 여전히 완벽하게 포괄적으로 살펴보지 못한 한계점이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미처 살피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앞으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고찰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참고문헌

자료

안창후, 한설당유고, 강남대학교 한실문고 소장.

湖南邑誌

論語

孟子

書經

저서 및 논문

국윤주, 「조선후기 향촌사족 시가(詩歌)의 자의식(自意識)과 그 윤리적 성격 - 위문가첩 (魏門歌帖)을 중심으로」, 『한국시가문화연구』 제28집, 한국시가문화학회, 2011.

김대식, 「조선후기 죽산안씨 문중의 감학과 향촌교화 활동」, 『인문학연구』 45권, 조선대 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김덕진, 「존재 위백규의 현실인식과 경제 개혁론」, 『한국실학연구』 27권, 한국실학학회, 2014.

김도형, 「이재 황윤석의 문학론」, 『국어문학』 제49輯, 국어문학회, 2010.

김준옥, 「존재 위백규의 문학의 기반」, 『고시가연구』 제9輯, 한국시가문화학회, 2002.

김인걸, 조선후기 향촌사회 변동에 관한 연구-18·19세기 향권 담당층의 변화를 중심으 로,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1991.

박희병, 유교와 한국문학의 장르, 돌베개, 2008.

배대웅, 「한설당 안창후 시조의 창작 배경과 작품 양상」, 『한국시가연구』 제42집, 한국 시가문화학회, 2017.

신성환, 「존재 위백규의 향촌 공동체 운영과 「농가」」, 『어문연구』 42권, 한국어문교육연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65-68)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