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문서에서 노 동 복 지 연 구 (페이지 66-71)

비대칭성 감각신경성난청의 소음노출 관련성평가 *

Ⅴ. 결론

비대칭적 청력 손실은 소음성 난청에 대한 보상을 청구하는 사람들에게 흔히 발견된다. 비대 칭성의 원인을 달리 설명할 수 없는 경우에 비대칭성이 직업적 소음 노출에 기인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 청력도의 비대칭성이 소음 노출의 결과인지 여부와 그럴 경우를 고려한 최근 의학 연구의 맥락에서 이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 논문은 기존 연구를 검토하여 비대칭성 소음성 난청의 발생 기전과 의학적 감별진단을 검 토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비대칭성 소음성 난청의 인과관계에 관한 균형 잡힌 근거를 제공할 수 있는 현실적인 방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음으로 인한 난청의 영향은 이전에 인식 된 것보다 더 광범위하다. 소음 노출에 의해 일반 적으로 손상을 받을 수 있는 높은 주파수 이외에도, 현재 문헌에서 증거는 소음 노출이 양쪽 귀 의 소음 손상에 대한 감수성, 이명 빈도 및 전정 기능 장애의 고유한 차이로 인해 청력 손실의 비대칭 패턴을 초래할 수 있다는 개념을 추가로 뒷받침한다. 특히 왼쪽 귀는 대칭적인 소음 노 출이 있는 경우에도 소음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다.

비대칭은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수도 있고 단순하게 설명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비대칭 성 청력 손실의 원인으로 머리 부상, 바이러스 감염, 혈관 청각 장애, 메니에르병, 청신경종, 외 림프관누공(perilymphatic fistula) 및 소뇌로 폰틴 각 종양(cerebello-pontine angle tumours) 등이 포함된다. 따라서 이비인후과적으로 과거병력 수집과 검사를 통해서 이러한 질병

「노동복지연구」 Journal of Labor and Welfare 제1권 제1호(통권 1호) 2020. 6.

의 가능한 진단과 합병증을 제거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소음이 원인이 되는 것이 아닐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면, 소음 노출에 의한 비대칭성 소음성 난청의 업무관련성평가를 위한 보다 상세한 비대칭성의 원인에 대한 추가 정보가 있을 때 까지 판단을 유보할 이유는 없다.

비대칭적 청력 손실과 소음과의 인과관계를 뒷받침하는 이용 가능한 의학적 근거는 완벽하지 는 않지만 법적 관점에서 검토하기에는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즉, 기존 연구들은 소음에 노출되 지 않은 모집단에서 비대칭성 청력 손실의 발생률이 소음 노출이 있는 집단의 비대칭성 청력 손 실을 유발하는 경우보다 현저히 낮았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소음에 비대칭적으로 노출되는 경우 도 있고, 생리적으로 왼쪽 귀가 소음에 더 민감한 것으로 보고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비대칭성 청력 손실의 이비인후과적 질환들을 배제하기 위한 평가가 이루진다면, 비대칭성 청력 손실은 업 무상질병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향후 비대칭성 감각신경성난청환자가 직업상 소음노출로 인한 업무상 질병으로 산재보 상청구를 하였을 경우에 비대칭성의 원인을 의학적으로 충분히 평가하여 소음이외의 다른 원인 을 발견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업무관련성 평가를 하는 근거들을 위와 같이 살펴보았다.

이러한 근거들이 향우 소음성 난청에 대한 산재처리업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비대칭성 감각신경성난청의 소음노출 관련성평가

참 고 문 헌

근로복지공단(2020). 소음성 난청 업무처리기준 개선(안). 2020. 2.

ACOEM(2018). Noise-induced hearing loss.

http://www.acoem.org/guidelines.aspx?id=846

Alberti PW, Symons F, Hyde ML(1979). Occupational hearing loss. The significance of asymmetrical hearing thresholds. Acta Otolaryngol. 87:255–63.

Axelsson A, Ringdahl A(1989). Tinnitus–a study of its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Br J Audiol.23:53–62.

Barrs DM, Althoff LK, Krueger WW, Olsson JE(1994). Workrelated, noise-induced hearing loss: evaluation including evoked potential audiometry. Otolaryngol Head Neck Surg 110:177–84

Berg RL, Pickett W, Linneman JG(2014). Asymmetry in noise-induced hearing loss:

evaluation of two competing theories. Noise Health. 16:102-7.

Berg RL, Pickett W, Fitz-Randolph M, Broste SK, Knobloch MJ, Wood DJ(2009).

Hearing conservation program for agricultural students: Short-term outcomes from a cluster-randomized trial with planned long-term follow-up. Prev Med 49:546-52.

Chung DY, Willson GN, Gannon RP(1983). Lateral differences in susceptibility to noise damage. Audiology 22:199–205

Clark WW(2000). Five myths in assessing the effects of noise on hearing.

Audiogyonline.

https://www.audiologyonline.com/articles/five-myths-in-assessing-effects-1292 Coles RRA, Lutman ME, Buffin JT(2000). Guidelines on the diagnosis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for medicolegal purposes. Clin. Otolaryngol. 25:

264-73

Cox HJ, Ford GR(1995). Hearing loss associated with weapons noise exposure: when to investigate an asymmetrical loss. J Laryngol Otol. 109:291–5.

Dobie RA(1990). A method for allocation of hearing handicap. Otolaryngol Head Neck Surg 103:733–9

Fernandes SV, Fernandes CM(2010). Medicolegal significance of asymmetrical hearing loss in cases of industrial noise exposure. J Laryngol Otol. 124: 1051–5.

「노동복지연구」 Journal of Labor and Welfare 제1권 제1호(통권 1호) 2020. 6.

Gimsing S, Nielsen MG(2016). Noise-Induced Hearing Loss: Prevention is Possible.

Health Scope. 2016; 5(2):e32741 doi:10.17795/jhealthscope-32741

Hazell JW(1981). Patterns of tinnitus: medical audiologic findings. J Laryngol Otol Suppl. (4):39–47.

Hendrix RA, Dedio RM, Sclafani AP(1990). The use of diagnostic testing in asymmetric sensorineural hearing loss.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0;103:593–8

Job A, Grateau P, Picard J(1998). Intrinsic differences in hearing performances between ears revealed by the asymmetrical shooting posture in the army. Hear Res. 122:119–24.

Kannan PM, Lipscomb DM(1974). Letter: Bilateral hearing asymmetry in a large population. J Acoust Soc Am. 55:1092-4.

Karjalainen S, Nuutinen J, Neittaanmäki H, Naukkarinen A, Asikainen R(1984). The incidence of acoustic neuroma in autopsy material. Eur Arch Otorhinolaryngol 240:91–3

Kirchner DB, Evenson E, Dobie RA(2012). Occupational noise-induced hearing loss:

ACOEM Task Force on Occupational Hearing Loss. J Occup Environ Med. 54:106–8.

Le TN, Straatman LV, Lea J(2017). Current insights in noise-induced hearing loss: a literature review of the underlying mechanism, pathophysiology, asymmetry, and management options. J of Otolaryngology - Head and Neck Surgery. 2017; 46:41 DOI 10.1186/s40463-017-0219-x

Leonard ML, Talbot JR(1970). Asymptomatic acoustic neurilemmoma. Arch Otolaryngol 91:117

Lutman ME, Coles RA(2009). Asymmetric Sensorineural Hearing Thresholds In The Non-Noise-Exposed UK Population: A retrospective analysis. Clin. Otalaryngol.

34:316-21

McFadden D(1993). A speculation about the parallel ear asymmetries and sex differences in hearing sensitivity and otoacoustic emissions. Hear Res 68:143-51.

Marlenga B, Berg RL, Linneman JG, Wood DJ, Kirkhorn SR, Pickett W(2012).

Determinants of early-stage hearing loss among a cohort of young workers with 16-year follow-up. Occup Environ Med.69:479-84.

Masterson L, Howard J, Liu ZW, Phillips J(2016). Asymmetrical Hearing Loss in Cases of Industrial Noise Exposur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Otol Neurotol. 37:998–1005

May JJ, Marvel M, Regan M(1990). Noise-induced hearing loss in randomly selected

3. 비대칭성 감각신경성난청의 소음노출 관련성평가

New York dairy farmers. Am J Ind Med. 18:333–7.

Morlet T, Perrin E, Durrant JD, Lapillonne A, Ferber C, Duclaux R(1996).

Development of cochlear active mechanisms in humans differs between gender.

Neurosci Lett 220:49-52.

Morrison AW(1975). Management of Sensorineural Deafness. London: Butterworths, 1975.

Nageris BI, Raveh E, Zilberberg M, Attias J(2007). Asymmetry in noise-induced hearing loss: relevance of acoustic reflex and left or right handedness. Otol Neurotol. 28:434–7.

Nondahl DM, Cruickshanks KJ, Wiley TL(2000). Recreational firearm use and hearing loss. Arch Fam Med. 2000;9:352–7.

Pirila T(1991). Left-right asymmetry in the human response to experimental noise exposure. I. Interaural correlation of the temporary threshold shift at 4 kHz frequency. Acta Otolaryngol. 111:677–83.

Pirila T, Jounio-Ervasti K, Sorri M(1992). Left-right asymmetries in hearing threshold levels in three age groups of a random population. Audiology.31:150–61.

Ramakers GG, Kraaijenga VJ, Cattani G(2016). Effectiveness of Earplugs in Preventing Recreational Noise-Induced Hearing Los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Otolaryngol Head Neck Surg. 142:551–8.

Robinson DW(1985). The audiogram in hearing loss due to noise: a probability test to uncover other causation. Ann Occup Hyg. 29:477–93.

Sabini P, Sclafani A(2000). Efficacy of serologic testing in asymmetric sensorineural hearing loss. Otolaryngol Head Neck Surg 122:469–76

Sataloff J, Hawkshaw MJ, Sataloff RT(2010). “Gun-shooting hearing loss”: A pilot study. Ear Nose Throat J. 89:E15–19.

Segal N, Shkolnik M, Kochba A, Segal A, Kraus M(2007). Asymmetric hearing loss in a random population of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sensorineural hearing loss. Ann Otol Rhinol Laryngol 116:7–10

Taylor W, Pearson J, Mair A, Burns W(1965). Study of Noise and Hear\-ing in Jute Weaving. J Acoust Soc Am. 38:113–20.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Acoustics- Determination of occupational noise exposure and estimation of noise-induced hearing impairment.

3 ed. Geneva, Switzerland: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1999); 1990. p. 23.

「노동복지연구」 Journal of Labor and Welfare 제1권 제1호(통권 1호) 2020. 6.

Abstract

Noise induced workrelatedness of asymmetric

문서에서 노 동 복 지 연 구 (페이지 66-7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