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33-154)

우리나라는 산업사회의 진전에 따른 근대화시대에 접어들면서 이촌향도 현상이 가속 화되었다. 사람들은 일자리를 찾거나 자녀교육을 위해 수도권 및 대도시로의 인구이동 이 가속화되었고, 이로 인해 우리의 지방중소도시들은 인구감소 및 경제적, 사회적, 문 화적, 물리적 측면에서 도시쇠퇴가 가속화되고, 급기야는 지방소멸의 위기에 직면해 있 다. 특히, 지방중소도시들은 지속적인 인구유출과 더불어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 면서 젊은 층과 출산가능 인구들이 대거 빠져나감으로 인해 학령인구가 감소하고, 고 령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앞으로의 상황은 더욱 어려 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중소도시로서 전통적인 도시공간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면서, 구 도심 인근 혁신도시의 건설로 기존 구도심에 거주하던 인구들이 신도시로 빠져나가면 서 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있는 나주시 읍성권을 주요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나주읍 성권은 단독주택, 상가주택과 같은 저층위주의 건물들로 구성되어있어, 기존선행연구들 에서 다루어진 고층의 아파트단지들과는 다른 전통적인 도시공간구조를 형성하고 있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층아파트 위주의 수직도시가 아닌 단독주택과 상가주택이 중심을 이루는 수평도시인 나주읍성을 중심으로 거주자들의 커뮤니티와 주거환경 그리 고 거주자들이 삶의 질과의 상호관계를 밝히고 물리적, 비물리적 측면에서의 이상적인 환경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나주 읍성권 9개 동으로 한정하였으며, 거주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거주민들의 커뮤니티와 주거환경만 족도 그리고 삶의 질의 상호 관계성을 검증하고 향후 커뮤니티 및 주거환경개선 방안 을 제시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지방중소도시인 나주 읍성권 거주자들의 커뮤니티와 주거환경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들에서도 동일 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합적인 설문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 의 주 대상지인 나주 읍성권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커뮤니티 및 주거환경에 대한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서는 골목길, 광장 등 공공공간을 보다 적극적으로 구 축하고, 주민들이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참여를 확대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저 층형의 다양한 주거유형 개발 및 공급이 요구되며, 상업시설을 계획할 경우에도 커뮤 니티를 고려한 가로입면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주거지내 보행 자의 안전과 편의시설로의 접근을 활성화하기 위해 보행자 및 자전거 전용도로를 개설 하고 고령자와 보행자를 위한 의자 및 파고라 등 편의시설을 확대 설치하는 등 커뮤니 티 활성화를 위한 생활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주거환경개선을 위해서는 주택의 노후화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 다. 우선 주택의 방수 성능 및 결로, 단열 성능 개선과 함께 벌레·해충에 대한 정기적 인 방역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적으로는 읍성권 전통한옥지구를 포함한 금계동, 서내동, 산정동, 교동에 대한 주거환경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읍성권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중요한 물리적 요소인 한옥에 대한 주거환경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기존의 한옥지원조례규칙의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경제 활동의 주요대상인 젊은 층의 유입과 다양한 연령대를 위한 주거공급 및 맞춤형 일자 리 창출 등 지역의 지속가능성과 자족적인 지역경제체계 구축을 위한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고, 이와 동시에 건강관리 프로그램 운영, 여가 활동 기회 제공, 평생교육프로그 램 운영, 일자리 제공 등 1인 가구 및 독거노인의 생활 및 경제력 향상을 도모해야 한 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나주 읍성권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현재 고령층 위 주인 인구구성비의 다양성을 위한 노력과 전통과 현대의 요구가 상호 절충된 지속가능 한 주거정책 수립, 그리고 커뮤니티의 다변화와 활성화를 위한 주거환경 개선이 수반 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인구감소시대에 우리나라 지방중소도시가 해결해 나가야할 중 요한 과제라고 판단된다.

도시는 사람들을 서로 이어주는 곳이다. 덴마크 건축가 얀겔은 사람들의 발길과 눈 길을 가장 많이 끄는 가장 매력적인 구경거리는 필연적으로 타인이며, 시민들의 일상 활동이 도시의 최대 매력이라고 하였다. 현대의 도시들과 선진국들은 일종의 사회성 결핍에 시달리고 있다. 즉, 기술의 발전과 부의 증진으로, 현대도시에서는 공공공간에 모이지 않아도 거의 모든 필요를 충족할 수 있다. 하지만 도시가 시민들에게 미치는

심리적 영향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타인과 관계를 중재해준다는 점이다. 즉 도시는 모든 사람이 친구, 가족, 낯선 사람과 인생에 의미가 있는 유대를 맺고, 강화할 수 있 도록 도와야하며, 이러한 유대는 도시의 가장 큰 성과이자 도시가 시민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장 큰 기회라고 하였다(찰스 몽고메리, 2014).

콜롬비아 보고타의 시장이었던 엔리케 페날로사의 경우 도시는 사람에게 친화적 수 도, 자동차에게 친화적일 수도 있지만, 사람과 자동차에 모두 친화적일 수는 없다고 하 였다. 또 모든 시민이 부유한 삶을 누리지 못할 수도 있지만, 시민의 존엄성을 보호하 고, 풍요로운 감정을 느낄 수 있도록 도시를 설계 할 수 는 있다고 하였다. 그는 도시 자체가 행복의 도구가 될 수 있고, 경기 침체기에도 도시 생활의 형태와 시스템을 바 꿈으로써 시민의 삶을 개선할 수 있다고 믿었으며, 도시의 공공공간에 시민들을 행복 하게 하는 힘이 있다고 보았다.

지방중소도시의 지속적인 인구감소, 저출산 고령화 사회, 1인 가족의 보편화와 혈연 가족과의 연대성약화의 시대를 살아가는 이 시대에, 현대 대도시에 필요한 것은 가족 과 혈족을 넘어 사고하는 능력, 우리가 다르게 생기고 입고 행동하는 사람들을 신뢰하 고 공정하게 대하는 능력, 사회에 대한 기여와 계약을 존중하는 능력, 자신의 행복과 타인의 행복을 함께 고려하는 능력이다. 따라서 우리의 도시는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 상시키기 위해 붕괴된 가족성을 보완하고 지원하는 서비스를 바탕으로 공동성을 회복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얼굴을 아는 커뮤니티에서 서로 돕는 커뮤니티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도시의 공공공간을 마련하는 등 주민들의 커뮤니티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민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주로 이루어진 물리적 환경 뿐 아니 라 커뮤니티 활동 등 비물리적 측면, 그리고 거주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조사하는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요인을 파악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또한 그동안 진행된 나주 읍성권의 대한 연구는 문화재 보존 및 복원에 대한 연구와 전통 및 근대 문화재를 활용한 도시재생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인구감소시대에 읍 성권의 현황을 파악하고 실제 거주하는 주민을 대상으로 삶의 질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는 점, 그리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삶의 질 개선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였다 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나주 읍성권에 거주하는 세대주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는 특정 지역과 대상 에 국한하였다는 점에서 나주시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본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공간적 범위와 대상을 확대하거나 더 나아 가 도시와 농촌, 원도심과 신도시, 그리고 중소도시 간 비교연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된다면 인구감소시대의 지방중소도시의 삶의 질 향상을 통한 보다 발전된 대안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참고문헌

[학위논문]

Ÿ 강서영, 일 장수지역 거주 노인의 삶의 질 모형구축,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Ÿ 고평채, 전주한옥마을 보전정비 사업에 따른 주거민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1.

Ÿ 권용현, 삶의 질(QOL) 평가지표의 구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8.

Ÿ 기배간, 조선후기 나주읍성공간의 복원에 관한 기초적 연구: 관아건축물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Ÿ 김경섭, 초고층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환경 인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2001.

Ÿ 김민수, 중형임대아파트의 주거환경평가와 시장수용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5.

Ÿ 김선태, 역사도시 나주읍성지역의 전통경관 조성 및 관리방안 연구, 동신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08.

Ÿ 김영순, 기혼 자녀를 둔 부모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자원이전과 노후준비를 매 개변인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Ÿ 김인순.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도시 주거환경개선계획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08.

Ÿ 김정학, 고객 라이프사이클에서 공동주택의 주거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Ÿ 김호상, 신도시 인접지역 주민의 주거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Ÿ 김효일, 경제적, 신체적, 사회적 요인이 중·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평택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133-15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