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4-71)

E. 연구대상자의 자기관리 영향요인

Ⅵ. 결론 및 제언

이식 관련 지식은 15.43±2.12점(최고 18점)이었으며, 연구대상자 중 우울한 대 상자는 31.3%(45명)이었다. 이들이 받고 있는 사회적 지지는 평균 3.63±0.77점 (최대 5점)으로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물질적 지지(3.55±0.81)가 가장 낮았다.

3. 연구대상자의 자기관리 정도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 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구대상자의 임상적 특성에 따른 자기 관리 정도는 이식 수술의 원인 간질환이 B형 간염인 대상자가 알코올성간경변 증인 대상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F=3.91, p=.022). 그리고, 간이 식 수술의 유형(t=2.23, p=0.44)과 수면제나 항불안제 복용 여부(t=-3.59.

p=.001)에 따라 자기관리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4. 연구대상자의 우울과 사회적 지지(r=-.24, p=005), 우울과 자기관리 (r=-.18, p=.031)간의 관계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면, 사회적 지 지와 이식 관련 지식(r=.22, p=.009) 및 사회적 지지와 자기관리(r=.30, p<.001), 이식 관련 지식과 자기관리(r=.26, p=.002)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 다. 한편, 우울과 이식 관련 지식(r=-.14, p=.088)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 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β=.24, p=.002), 이식 관련 지식(β=.17, p=.035), 주요 원인 간질환(β=.-.17, p=.024), 간 이식 수술의 유형(β=-.17, p=.029), 수면제나 항불안제 복용 여부(β=.-.17, p=.028)임을 확인하였으며 자기관리 정도를 설명하는 회귀방정식의 설명력(R2) 은 22%였다(F=7.99, p<.001).

따라서 수술 후 환자의 자기관리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개인별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적 지지를 촉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특히 간이 식 수술의 원인 질환이 알코올성간경변증이거나 혹은 수면제나 항불안제를 복

용하는 대상자에게 의료인의 지지와 개입 정도를 차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이식 관련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환자와 가족에게 올바른 자기관 리 정보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는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정도를 주관적인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나, 약물 순응도, 혈액검사 결과 등 자기관리를 관찰할 수 있는 객관적 지표를 이용하여 자기관리 정도를 측정할 것을 제언한 다.

둘째, 본 연구는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정도를 총합의 개념으로만 분 석하였는데, 하위 영역별로 세분화하여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분석을 후속 연구로 제언한다.

셋째,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하나의 대학병원 외래를 방문하는 간이 식 수혜자를 대상으로 시행된 연구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기관에서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경과 기간에 따른 자기관리 정도에 차이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이식 수술 후 경과에 따라 환자의 대처 방 식 변화 등 분명한 차이가 있으므로 경과 기간에 따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참고문헌

강경자, 유수정, 서현미, 유미, 박명숙, 장학철 (2012).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자 기관리행위 예측 요인: 노인과 성인의 비교.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14(2), 112-121.

강병주, 박형우, 나양원 (2016). 간이식 후 발생한 당뇨병의 지속 유발인자. 대 한이식학회지, 30(3), 125-132.

김금순, 강지연, 하희선, 노명희, 박금화, 홍정자 (2002). 장기이식 후 면역 억제 제 사용에 따른 증상 경험. 대한이식학회지, 16(1), 110-118.

김명수, 이광웅, 황신, 권준혁, 유영경, 나양원, 등 (2014). 간장 응급도 기준 개 선방안 연구:간이식 대기자의 생존분석. 대한이식학회지, 28(2), 59-68.

김소영, 이윤미 (2016). 간이식 환자가족의 삶의 질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8(3), 279-287.

김옥수, 최경숙 (2016). 장기이식 수혜자의 가족 및 의료인 지지와 희망이 사회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22(1), 78-87.

김은만, 김금순 (2007). 간이식 수혜자의 삶의 질 예측모형. 기본간호학회지, 14(3), 340-350.

김은만, 서문자 (2003). 간이식 수혜자의 적응경험. 재활간호학회지, 6(1), 61-69.

김현경, 최모나, 김소선, 김순일 (2015). 간이식 수혜자의 자가간호이행, 사회적 지지, 생리학적 지표. 성인간호학회지, 27(2), 170-179.

김형숙 (2018). 알콜성 간질환의 간이식 전 상담, 교육, 모니터링. 대한 간학회 춘·추계 학술대회(KASL), 2018(1), 361-362.

김혜숙 (2009). 신장이식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 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21(3), 293-302.

대한이식학회 (2005). 간이식과 새로운 삶. 서울: 의학문화사.

문소정, 김현주 (2019).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효능감과 이식 관련 지식이 치료 지시이행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6(3), 166-175.

박병준, 신나미 (2014). 심장이식 수혜자의 사회적지지, 우울 및 건강상태. 중환 자간호학회지, 7(1), 11-23.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 위 논문, 서울.

박혁규 (2017). 노인 당뇨병 환자의 당뇨지식, 자기효능감 및 우울이 자기관리 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대전.

배수정, 김민영 (2017). 신장이식환자의 자가간호이행 영향 요인 및 경과기간별 이행정도. 디지털융복합연구, 15(3), 259-266.

보건복지부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2020, 8). 2019년도 장기등 이식 및 인체조 직 기능 통계연보. Retrieved September 9, 2020, from Web site:

https://www.konos.go.kr

송정미 (2014). 간이식 수혜자의 사회적 지지, 치료지시 이행, 건강관련 삶의 질.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심미경, 전경옥, 김순일 (2013). 증상고통감, 사회적 지지, 이식후 직업상태의 변 화가 간이식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이식학회지, 27(2), 49-56.

유혜진, 김금순 (2013). 생체간이식 수혜자의 스트레스와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 연구. 임상간호연구, 19(3), 395-406.

이산, 오승택, 류소연, 전진영, 이건석, 이은, 등 (2016).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 도 개정판(K-CESD-R)의 표준화 연구. 정신신체의학, 24(1), 83-93.

이상오 (2013). 고형장기이식 환자에서 흔히 보는 감염. 대한내과학회지, 84(2), 145-157.

이승규 (2005). 국내 간이식의 현황과 전망. 대한소화기학회지, 46(2), 75-83.

이정란, 박효정 (2015). 신장 이식 환자의 자기효능감, 대처 행동, 치료지시 이 행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27(1), 11-20.

이정아, 김영아, 정향인 (2019). 신장이식 환자의 치료지시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2), 619-628.

전경옥 (2018). 알코올성 간질환 환자의 간이식 후 상담 및 교육. 대한간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KASL), 2018(1), 363-364.

전미경, 박연환 (2017). 간이식 수혜자의 자기관리 구조모형. 한국간호과학회, 47(5), 663-675.

전미경, 안정원, 박연환, 이미경 (2019). 한국어판 자기관리 측정도구(Partners In Health scale)의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중환자간호학회지, 12(2), 1-12.

정현옥, 채영선, 김희숙 (2015). 알코올의존 환자의 자존감, 특성분노, 우울, 가 족기능, 대인관계가 실존적 영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24(1), 50-60.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2019). 2018 장기이식 코호트 KOTRY 연차보고 서.

차지은, 이명선 (2012). 장기이식 대기자와 수혜자의 불안, 우울 및 삶의 질 비 교. 성인간호학회지, 24(3), 284-293.

하영은, 백경란 (2013). 이식 환자의 감염 예방. 대한내과학회지, 84(2), 168-176.

황신영, 최스미 (2019). 간이식 수혜자의 영양상태와 영향요인. 한국간호과학회, 49(3), 340-348.

Annema, C., Roodbol, P. F., Van den Heuvel, E. R., Metselaar, H. J., Van Hoek, B., Porte, R. J., & Ranchor, A. V. (2017). Trajectories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liver transplant candidates during the waiting‐list period. British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2(3), 481-501.

Beck, A.T., Ward, C.H., Mendelson, M., Mock, J., & Erbaugh, J. (1961).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6), 561-571.

Dopazo, C., Bilbao, I., Castells, L. L., Sapisochin, G., Moreiras, C., Campos-Varela, I., et al. (2015). Analysis of adult 20-year survivor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Hepatology International, 9(3), 461-470.

Eaton, W.W., Smith, C., Ybarra, M., Muntaner, C., & Tien, A. (2004).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review and revision (CESD and CESD-R). In M.E. Maruish, editor. The use of psychological testing for treatment planning and outcomes assessment: Instruments for adults (3rd ed). Lawrence Erlbaum: Mahwahm NJ, 363-377.

Germani, G., Lazzaro, S., Gnoato, F., Senzolo, M., Borella, V., & Rupolo, G., et al. (2011). Nonadherent Behaviors After Solid Organ Transplantation. Transplantation Proceedings, 43(1), 318-323.

Heijmans, M., Waverijn, G., Rademakers, J., van der Vaart, R., & Rijken, M.

(2015). Functional, communicative and critical health literacy of chronicdisease patients and their importance for self-management.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98(1), 41-48.

Heo, J., Noh, O. K., Oh, Y. T., Chun, M., & Kim, L. (2018). Psychiatric comorbidities among patients undergoing liver transplantation in South Korea: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Hepatology International, 12(2), 174-180.

House, J. S. (1985). Barriers to work stress: I. Social support. In Behavioral medicine: Work, stress and health (pp. 157-180). Springer, Dordrecht.

Ko, D., Bratzke, L. C., Muehrer, R. J., & Brown, R. L. (2019).

Self-management in liver transplantation. Applied Nursing Research, 45, 30-38.

Lim, J., Curry, M.P., & Sundaram, V. (2017). Risk factors and outcomes associated with alcohol repatse after liver transplantation. World of Journal of hepatology, 9(17), 771-780.

Marroni, C.A., Fleck Jr, A.M., Fernandes, S.A., Galant, L.H., Mucenic, M., &

de Mattos Meine, M.H., et al. (2018). Liver transplantation and alcoholic liver disease: History, controversies, and considerations.

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4(26), 2785-2805.

Merli, M., Giusto, M., Gentili, F., Novelli, G., Ferretti, G., & Riggio, O., et al. (2010). Nutritional status: its influence on the outcome of patients undergoing liver transplantation. Liver International, 30(2), 208-214.

Moayed, M. S., Khatiban, M., Toosi, M. N., Khodaveisi, M., Soltanian, A. R.,

& Ebadi, A., (2019). Barriers to Adherence to Medical Care Programs i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A Qualitativ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Organ Transplantation, 10(3), 115-126.

Peláez-Jaramillo, M. J., Cárdenas-Mojica, A. A., Gaete, P. V., & Mendivil, C.

O. (2018). Post-liver transplantation diabetes mellitus: a review of relevance and approach to treatment. Diabetes Therapy, 9(2), 521-543.

Petkov, J., Harvey, P., & Battersby, M. (2010). The internal consistency anc construct validity of the partners in health scale: validation of a patient rated chronic condition self-management measure. Quality of Life Reserch, 19(7), 1079-1085.

Plank, L. D., & Russell, K. (2015). Nutrition in liver transplantation: too little or too much?. Current Opinion in Clinical Nutrition & Metabolic Care, 18(5), 501-507.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Rodrigue, J.R., Nelson, D.R., Hanto, D.W., Reed, A.I., & Curry, M.P. (2013).

Patient-reported immunosuppression nonadherende 6 to 24 months after liver transplant:association with pretransplant psychosocial association

with pretransplant psychosocial factors and perceptions of health status change. Progress in transplantation, 23(4), 319-328.

Rubín, A., Sánchez-Montes, C., Aguilera, V., Juan, F. S., Ferrer, I., & Moya, A., et al. (2013). Long‐term outcome of ‘long‐term liver transplant survivors’. Transplant International, 26(7), 740-750.

Song, G. W., Ahn, C. S., Lee, S. G., Hwang, S., Kim, K. H., & Moon, D.

B., et al. (2014). Correlation Between Risk of Hepatitis B Virus Recurrence and Tissue Expression of Covalently Closed Circular DNA in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 Recipients Treated With High-dose Hepatitis B Immunoglobulin. Transplantation Proceedings, 46(10), 3548-3553.

Tryc, A. B., Pflugrad, H., Goldbecker, A., Barg‐Hock, H., Strassburg, C. P.,

& Hecker, H., et al. (2014). New‐onset cognitive dysfunction impairs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Liver Transplantation, 20(7), 807-814.

Xing, L., Chen, Q. Y., Li, J. N., Hu, Z. Q., Zhang, Y., & Tao, R. (2015).

Self-management and self-efficacy status in liver recipients.

Hepatobiliary Pancreatic Diseases International, 14(3), 253-262.

부 록

<부록1> 기관윤리심의 위원회(IRB) 심의 결과 통지서

<부록2> 설명문 및 동의서

<부록3> 설문지

<부록4> 연구도구 사용 승인메일

ABSTRACT

-Factors Affecting the Self-management of Recipients of Liver Transplantation

Yu Rim Choi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The Graduate School, Ajo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Mi Sook Song, RN., Ph.D.)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which explor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elf-management of liver transplant recipi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4 outpatients who underwent liver transplant surgery at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Suwon. Data was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July 5, 2020 to September 15, 2020.

The degree of self-management was measured by self-management tools modified and adapted for liver transplant recipients by Jeon Mi-kyung and Park Yeon-hwan (2017) based on The Partners In Health Scale developed by Petkov, Harvey, and Battersby (2010). Level of depression was measured by the revised version of the Korean epidemiological study depression scale(K-CESD-R). The scale of social support was measured by social support tools developed by Park Jie-won (1985). The score of transplant-related knowledge was measured using the transplant-related

knowledge measurement tools for liver transplant patients developed by Moon So-jung and Kim Hyun-joo (2019).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program.

The summary of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study subjects was 59.21±8.97 years. The average post-transplantation period of the study subjects was 6.39±5.10 years. Hepatitis B was the most common cause of liver disease requiring transplant surgery (74.3%, 107 subjects). 101 of 144 patients (70.1%) underwent living donor liver transplantations and 19 (13.2%) taking sleeping pills or anti-anxiety drugs.

2. The total average of self-management score was 79.60±10.32 (maximum 96). Among the study subjects, 31.3% were within the depression range (45 subjects). The subjects' scored 15.43±2.12(maximum 18) on transplant-related knowledge, and 3.63±0.77(maximum 5) on social support.

3. The subjects whose primary liver disease was hepatitis B showed higher degree of self-management compared to those whose primary liver disease was alcoholic liver cirrhosis(F=3.91, p=.022). The types of liver transplant surgery(t=2.23, p=.044) and the usage of sleeping pills or anti-anxiety drugs(t=-3.59. p=.001) were also the factors tha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degree of self-management.

4.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elf-management(r=-.18, p=.031) of the subjects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4-71)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