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제언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75)

E. 대상자의 환자안전간호활동 영향요인

Ⅵ.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 전간호활동 수준을 파악하고,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영향요인을 확인함으로써, 향 후 환자안전간호활동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횡단적 조사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2020년 6월 30일부터 7월 30일까지 경기도 소재 2개 대학 병원 중환자실 간호사 164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 하였으며, 응답이 불완전한 3부를 제외한 161명의 설문 응답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다 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3.48점, 환자안전문화인식 은 3.44점, 환자안전간호활동은 4.45점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다. 또한, 중환 자실 간호사의 현부서경력이 3년 이상 5년 미만, 책임간호사, 의료기관인증평가 경험을 한 간호사인 경우 환자안전간호활동이 높게 나타났고, 환자안전문화인 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양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며, 환자안전간호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은 현부서경력과 환자안전문화인식이었다.

결론적으로,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는 적절한 간호인력 배치와 환자안전문화인식의 향상을 위한 각 부서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만들어 이를 반복적으로 교육하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환자안전 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간호의 질 보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B. 제언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2개 대학병원의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어려우므로 추후 반복연구를 통한 비교가 필요하다.

2.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환자안전간호활동과 관련된 보다 다양한 영향요 인들을 확인하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3.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환자안전문화인식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 하여 임상에서 적용하고 그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를 제언한다.

참고문헌

김금순, 김진아, 박영례 (2011). 중환자실 간호실무의 중요도, 수행 빈도 및 난 이도 분석을 통한 중환자실 간호사의 교육 요구도. 기본간호학회지,

18(3), 373-382.

김남이 (2020). 국내 환자안전사고 관련 요인 분석. 한국간호행정학회지, 26(2), 151-159.

김매자, 구미옥 (1984). 간호원이 근무 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을 위한 도 구개발 연구. 간호행정학회지, 14(2), 28-37.

김명희 (2016). 중환자실 간호사의 안전문화인식, 사건보고에 대한 태도 및 환 자안전간호활동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김미경, 이상미 (2019).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환자안전문화 인식 및 환자안전간호 활동 간의 인과관계분석. 간호행정학회지, 25(4), 340-352.

김성남, 유문숙 (2014). 중환자실 간호사의 회복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및 조직몰 입. 가정간호학회지, 21(1), 36-43.

김소은, 한지영 (2017).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 트레스, 감정노동, 간호업무수행 및 소진. 간호행정학회지, 23(3), 336-345.

김신자 (2003). 중환자실 간호사가 경험하는 스트레스 요인과 적응도. 조선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광주.

김연희, 김영신, 안양희 (2007). 종합병원 간호사의 요통과 직무스트레스. 류마 티스 건강학회지, 14(1), 5-12.

김영미, 유명숙, 조연희, 박승혜, 남승남, 박미옥, 김세영, 김민영 (2010). 외과계 간호사를 위한 환자안전관점의 실무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간호행 정학회지, 16(2), 152-161.

김영신 (2018).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조직의사소통만족과 환자 안전관리활동.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원.

김은경, 강민아, 김희정 (2007). 환자안전 문화에 대한 의료종사자의 인식과 경 험. 간호행정학회지, 13(3), 321-332.

김혜영, 이은숙 (2013). 지방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이 안전간호 활동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19(1), 46-54.

김화영, 김혜숙 (2011). 일 지역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안전 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17(4), 413-422.

김화영, 류세앙 (2018).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 간호활동 측정도구 개발. 한국디 지털정책학회지, 16(9), 207-217.

남문희, 강성홍 (2010). 환자안전 및 안전간호활동에 대한 부산지역 간호사의 인식. 보건과 사회과학학회, 28(1), 197-221.

문기태, 유승흠, 조우현, 김동기, 이윤환 (2000). 의료소비자가 인지하는 의료서 비스 질의 구성 차원. 예방의학회지, 33(4), 495-504.

박소정, 강지연, 이영옥 (2012).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 간호활동에 관한 연구. 중환자간호학회지, 5(1), 44-55.

박형숙, 강은희 (2007).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대처에 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7(5), 810-821.

백명화 (2007). 중환자실 간호사와 암병동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에 대 한 비교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10(2), 81-89.

손유림 (2016).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7(3), 509-517.

송은정, 박연숙, 지현순, 이혜경 (2016). 임상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 영향요인.

디지털 융복합연구, 14(11), 469-479.

신은주 (2015). 환자의 안전과 환자안전법제에 관한 고찰. 한국의료법학회지, 23(2), 7-31.

안설희 (2019).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남.

양희모 (2019).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안전통제 감과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지, 19(7), 444-455.

오유미 (2017).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연 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유지현, 강경아 (2014). 종양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간 호활동. 대한종양간호학회지, 14(2), 119-126.

의료기관평가인증원(2017). 의료인증조사. Retreived March 29, 2020, from the web site:

https://www.koiha.or.kr

이경희, 이영신, 박해경, 류정옥, 변인승 (2011).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에 대한 인식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학회지, 17(2), 204-214.

이나주, 김정희(2011). 중소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 간호활동 수행 정도. 간호행정학회지, 17(4), 562-573.

이숙현 (2015).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역량.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서울.

이순교 (2015). 한국형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 개발 및 평가. 중앙대학교 대학 원 박사학위 논문, 서울.

이슬 (2015). 중환자실 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과 환자안전간호활동. 연세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원주.

이영선 (2016). 일반병동과 특수병동 간호사간의 환자안전문화와 안전간호활동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이유정 (2011). 병원간호사가 지각한 환자안전문화 및 환자안전관리활동. 을지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대전.

이지민, 홍성정, 박민향 (2013).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수행 정도. 한국위기관리논집, 9(11), 273-290.

이후연 (2009). JCI 평가와 환자안전. 한국의료QA학회지, 15(1), 9-18.

임덕순 (2006). 중환자실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와 강인성 및 소진에 관한 연 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장현미, 박주영, 최영주, 박성원, 임한나 (2016). 종합병원 간호사가 인식한 환자 안전문화와 소진이 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행정학회, 22(3), 239-250.

정면숙, 한미영 (2017). 병원간호사가 지각하는 조직건강과 환자안전문화가 환 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간호행정학회지, 23(2), 127-138.

정수진, 정정희 (2019). 혈액투석실 간호사의 전문직관, 조직의사소통이 환자안 전문화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학회지, 25(1), 98-105.

정수희, 최은숙 (2017). 중소병원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6(1), 47-54.

정윤정 (2019). 중환자실 간호사의 중환자실 증후군 지식, 직무스트레스 및 자 기 효능감이 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정준, 서영준, 남은우 (2006).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연구.

병원경영학회지, 11(1), 91-109.

조성숙, 강문희 (2013). 신규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 활 동. 한국 직업 건강간호학회지, 22(1), 24-34.

조용애, 김금순, 김을순, 박한미, 유미, 임은옥, 현석경, 김정연 (2009).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응방법, 이직의도에 대한 연구. 임상간호연 구학회지, 15(3), 129-141.

조원섭, 유명순 (2013). 직무 스트레스에 대한 국내 간호 연구의 현황과 발전 과제. 간호행정학회지, 19(1), 63-75.

조윤주 (2012). 중환자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중요성 인식 및 수행.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원.

조혜원, 양진향 (2012). 의료인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환자안전관리 활동 간의

관계. 기본간호학회지, 19(1), 35-45.

차보경, 최정 (2015). 대학병원과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과 환자 안전간호 활동의 비교연구. 간호행정학회지, 21(4), 405-416.

천고운, 김지영 (2018).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비판적 사고성향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관계. 한국산학기술학회지, 19(6), 345-354.

최경진, 한상숙(2013). 임상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동서간호학연구지, 19(1), 55-61.

최서란, 정혜선 (2005).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요인과 반응에 관한 메타 분 석.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4(1), 71-82.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10). 의료기관 평가용 자료. Retreived March 29, 2020, from the KHISS web site:

https://www.khiss.go.kr/board?menuId=MENU00321&siteId=null.

한국소비자원 (2018). 환자안전사고, 대부분 보건의료인의 부주의로 발생.

Retrieved December 18, 2020, from the KCA web site:

    https://www.kca.go.kr/home/sub.do?menukey=4005&mode=view&no=

    1002722838.     

한남주 (2012).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현미숙, 조혜진, 이미애 (2016). SBAR-협력적 의사소통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의사소통 능력과 간호사-의사 협력에 미치는 효과. 간호행정학회지, 22(5), 518-530.

환자안전 보고학습시스템 (2020). 통계정보. Retrieved December 18, 2020, from the KOPS web site:

https://www.kops.or.kr/portal/board/stat/boardList.do.

Abbott, P. A. (2003, June). Research in patient safety/error Reduction: A Nursing perspective. Paper presented at the Post-conference

for 8th International Congress in Nursing Informatics, Rio De Janeiro, Brazil.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2004).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Retrieved March 29, 2020 from the AHRQ web site:

http://www.ahrq.gov/qual/patientsafetyculture/hospscanform.pdf.

Ammouri, A. A., Tailakh, A. K., Muliira, J. K., Geethakrishnan, R., & Al Kindi, S. N. (2015).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Nurses.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62(1), 102-110.

Asefzadeh, S., Kalhor, R., & Tir, M. (2017). Patient safety culture and job stress among nurses in Mazandaran, Iran. Electronic Physician, 9(12), 6010-6016.

Aust, M. P. (2007). Front line of defense: The role of nurses in preventing sentinel events (2nd ed.). Oakbrook Terrace, Illinois:

Joint Commission Resources.

Ball, M. J., Weaver, C., & Abbott, P. A. (2003). Enabling technologies promise to revitalize the role of nursing in an era of patient safety.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Informatics, 69(1), 29-38.

Colla, J. B., Bracken, A. C., Kinney, L. M., & Weeks, W. B. (2005).

Measuring patient safety climate: A review of surveys.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14(5), 364-366.

Leonard, M., Graham, S., & Bonacum, D. (2004). The Human Factor: The critical importance of effective teamwork and communication in providing Safe care. British Medical Journal Quality & Safety, 13(1), 85-90.

National Health Service [NHS]. (2004). Seven steps to patient safety :The full reference guide. Retrieved March 29, 2020, the NHS web site:

https://www.publichealth.hscni.net/sites/default/files/directorates/files/

Seven%20steps%20to%20safety.pdf.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2007).

Stress at work. Retrieved March 29, 2020, from the NOISH web site: https://www.cdc.gov/niosh/topics/stress/.

Nieva, V. F., & Sorra, J. (2003). Safety culture assessment: A tool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healthcare organizations.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2003, 12(2), 17-23.

Randmaa, M., Martensson, G., Swenne, C. L., & Engstrom, M. (2014). SBAR improves communication and safety climate and decreases incident reports due to communication errors in an anaesthetic clinic: a prospective intervention study. British Medical Journal Open, 4(1), 42-68.

World Heath Organization [WHO]. (2016). Global Strategy on Human Resources for Health: Workforce 2030. Retrieved November 2, 2020, from the WHO web site:

https://apps.who.int/iris/bitstream/handle/10665/250368/9789241511131 -eng.pdf.

<부록 1> 대상자 설명문

연구대상자 설명문

귀하께 본 연구에 참여하여 주실 것을 요청 드립니다.

본 연구에 참가하실 것을 결정하기 전에 본 연구가 왜 실시되며 무엇을 어떻게 하게 될지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의 내용은 이번 연구의 내용과 이 연구에 참여하실 경우, 귀하의 역할과 연구의 진 행과정 등에 대하여 설명을 드리고자 마련한 것입니다.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본 대상 자 설명서를 읽으시고, 원하신다면 가족이나 다른 사람과 상의하셔도 됩니다. 또한, 궁 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시험책임자나 다른 시험담당자에게 질문하신 후 심사숙고 하 시어 이번 연구 참여여부를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1. 임상연구 제목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환자안전문화인식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2. 연구 책임자 부선주

공동 연구자 김재은

3. 임상연구의 배경 및 목적

최근 성형외과에서 윤곽수술을 받다가 사망하는 사건이 언론에 공개되면서 수술실내 에 CCTV를 설치하자는 청원을 만들 정도로 의료진의 과오로 인한 피해가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의료진의 과오는 의료계의 주요 문제였으나 이것의 규모 와 심각성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이에 대해 적절히 대처하지를 못하고 있는 실정 입니다. 병원 내에서 특히 중환자실은 중증도가 높고 불안정한 상태인 환자를 간호하는 곳으로 환자안전 위협요소가 많은 중환자실 내에서의 안전사고 발생이 높기 때문에 중

환자실 간호사는 환자안전간호활동을 활발히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환자안전을 위해서는 간호사들이 느끼는 직무 스트레스와 환자 안전을 중요시하고 가장 높은 우선순위에 두도록 하는 환자안전문화인식이 환자안전간 호활동에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요소로 보여지고 있어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이 들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 환자안전문화인식,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수준과 관계를 파악 하고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환자안전간호활동 증진을 위한 자료 를 마련하고 궁극적으로 환자 안전 및 질 보장하기 위해 본 연구를 계획하게 되었습니 다.

4. 임상연구 참여대상자 수 및 참여기간

1) 임상연구에 참여하는 대략의 대상자수

총 164 명을 대상으로 아주대학교 병원(총 100 명)과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총 64 명) 중환자실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에게 설문지를 배포할 예정입니다.

2) 대상자의 연구참여 예상기간

연구기간은 IRB 승인 이후 6개월 정도 소요될 예정이며 연구기간동안 귀하는 1번의 설 문지 작성으로 연구 참여가 완료됩니다.

5. 임상연구의 절차 및 방법

귀하는 연구기간동안 1회의 설문지를 작성하게 됩니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직무스트 레스 35문항, 환자안전문화인식 35문항, 환자안전간호활동 64문항, 일반적 특성 11문항 으로 구성 되어있으며 설문지는 총 7페이지로 15~20분정도 소요될 것입니다.

6. 연구대상자에게 예견되는 부작용, 위험과 불편함

설문 조사 작성시 일반적 특성 및 일부 개인정보(연령, 성별 등)도 함께 수집하기 때문 에 불편감이 있을 수 있으나, 본 연구 참여로 인한 위험 또는 부작용은 없을 것입니다.

7. 연구대상자에게 예견되는 이득

연구에 참여함으로써 설문지를 작성한 귀하가 받을 직접적인 이득은 없지만 중환자실 간호사로서 직무스트레스, 환자안전문화인식을 이해하고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대한 관심 증가의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문서에서 저작자표시 (페이지 48-75)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