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결론 및 시사점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146-156)

베트남 축산업은 국가 경제 발전에 따른 육류 수요증가에 힘입어 큰 폭의 성장세를 유지해 왔다

.

이러한 상승세는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어

,

베트남은 세계 축산업의 큰 시장 이자 생산지 중 한 곳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

.

다만 넘쳐나는 수요에 비해 공급량은 상대적으로 성장이 더딘 실정이다

.

여러 가지 제약조건 및 한계가 있지만

,

그중에서도 가축 질병 확산에 따른 사육 마릿수 감소 및 생산성 저하는 베트남 축산업의 가장 큰 위험요소 중 하나가 되었다

.

특히 작년 초 창궐한

ASF

가 아직도 국가 전반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현시점에서

,

베트남 정부의 가축 질병 관리시스템 마련은 베트남 축산업 성장의 필수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

이러한 당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베트남 정부에서는 관련 전략 수립 및 정책지원을 실천하고 있다

.

베트남 축산업의 안정적인 성장과 가축 질병 관리시스템의 마련을 위해서는 국가 자체적인 노력도 물론 중요하지만

,

타 국가

,

더 나아가 국제사회의 공조가 필수적이다

.

베트남에서 자주 발생하는 대다수의 질병이 초국경 동물감염질병이며

,

국내에서 질병 관리 에 실패할 시 그 질병은 언제든지 인근 국가로 전파될 수 있기 때문이다

.

한국 또한 해외 병원체 유입을 예방하고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세계 수의보건환경 개선 및 식량안보 확보 에 일조하는 차원에서 베트남을 대상으로 다양한 방식의 투자 및 협력사업을 이어나갈 필요 가 있다

.

참고문헌

<국내자료>

외교부. 2019. 「베트남 개황」.

이희상. 2020. 「베트남, 아프리카돼지열병 백신연구소 설립키로」. Inside VINA. (http://www.

insidevina.com/news/articleView.html?idxno=13865) (검색일: 2020.11.3.)

임정은. 2019. ASF가 베트남 축산업 지형 바꿔」. 양돈타임스. (http://www.pigtimes.co.kr/

news/articleView.html?idxno=41435) (검색일: 2020.10.23.).

㈜진바이오텍. 2018. 「베트남 양돈장 및 자돈 사료 시장 진출을 위한 사전 조사」.

138 ∙ 세계농업 2020. 11월호

한국농어촌공사. 2012. 「베트남 국립가축질병진단센터 역량강화 지원사업 타당성조사 보고서」. 한국무협협회 호치민지부. 2019. 2019년 베트남 육류산업 현황 및 전망」.

<외국자료>

베트남 통계청(GSO). 2018. Results of the Rural, Agricultural and Fishery Census 2016.

베트남 통계청(GSO). 2019. Statistical Summary Book of Viet Nam.

OECD/FAO. 2020. OECD-FAO Agricultural Outlook 2020-2029.

Pham Dung. 2020. Difficulties facing livestock industry during the Covid-19 period. VMC Anmial Health. (https://vietnamvmc.com/en/difficulties-facing-livestock-industry- during-the-covid-19-period/) (검색일: 2020.11.3.)

Viet Nam News. 2020. Việt Nam aims to be free of African swine fever by 2025.

(https://vietnamnews.vn/society/749497/viet-nam-aims-to-be-free-of-african- swine-fever-by-2025.html) (검색일: 2020. 11. 3.)

Vien Nhu. 2020. VN strives to have advanced livestock industry by 2030. The Socialist Republic of Viet Nam Online Newspaper of the Government. (http://news.

chinhphu.vn/Home/VN-strives-to-have-advanced-livestock-industry-by-2030/20 2010/41764.vgp)

참고사이트

베트남 통계청 웹사이트 (https://www.gso.gov.vn/en/homepage/) (검색일: 2020.11.2.) FAOSTAT 웹사이트 (http://www.fao.org/faostat/en/#data/QI) (검색일: 2020.10.21.) ITC Trademap 웹사이트 (https://www.trademap.org/kotra/Index.aspx) (검색일: 2020.10.25.) KOTRA 해외시장뉴스 웹사이트 (http://news.kotra.or.kr/user/nationInfo/kotranews/14/nationIntro.do)

(검색일: 2020.10.20.)

OECD Data 웹사이트 (https://data.oecd.org/agroutput/meat-consumption.htm) (검색일: 2020.10.21.)

OIE 웹사이트 (https://www.oie.int/wahis_2/public/wahid.php/Countryinformation/Countrytimelines) (검색일: 2020.11.3.)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6년

1월 과테말라‧ 에콰도르과테말라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에콰도르의 농업 현황과 시사점

2월 니카라과니카라과 농업현황과 시사점

3월 브라질브라질의 농업현황과 시사점

4월 미얀마미얀마의 농업현황과 정책

5월 스리랑카스리랑카의 농업현황과 정책

6월 파키스탄파키스탄의 농업현황과 정책

7월 쿠바쿠바농업의 이해와 협력가능성

8월 네팔네팔의 농업 현황과 정책

9월 불가리아불가리아의 농업현황 및 정책

10월 남아프리카공화국남아프리카공화국의 농업현황과 정책

11월 아제르바이잔아제르바이잔의 농업현황

12월 이집트이집트의 농업 현황과 정책

2017년

1월 가나가나의 농업 현황 2월 필리핀필리핀의 농업현황과 정책

3월 우즈베키스탄우즈베키스탄의 농축산업 현황과 정책

국가별 농업자료 HISTORY

국가별 농업자료∙ 139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7년

4월 일본일본의 농업현황

5월 인도네시아인도네시아의 농업 현황과 정책

6월 세네갈세네갈의 농업 현황 7월 러시아러시아의 농업 정책과 전망

8월 온두라스온두라스의 농업현황

9월 오스트리아오스트리아의 농업 및 농업정책

10월 폴란드폴란드의 농업현황

11월 미국미국의 농업 현황과 농업 정책

12월 모로코모로코의 농업현황

2018년

1월 영국영국 농업과 브렉시트 영향

3월 벨기에벨기에 농업현황과 시사점

4월 EUEU의 농업 생산 동향

5월 EUEU 농업·농촌 및 공동농업정책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6월 싱가포르싱가포르 농업과 식량안보 전략

7월 스페인스페인의 농업 현황 8월 EUU의 농가 및 농가경제 동향

140 ∙ 세계농업 2020. 11월호

(계속)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18년

9월 나미비아나미비아의 농축산업

10월 미얀마미얀마의 물이용 현황과 농업용수 관리정책

11월 대만대만의 농업 현황과 정책 동향

12월 스위스스위스 농업과 직접지불제도

2019년

1월 룩셈부르크룩셈부르크의 농업현황과 정책

2월 인도인도의 농업·농정 현황 및 과제

3월 라트비아라트비아의 농업 현황과 정책

4월 일본일본의 산림·임업과 정책동향

5월 2019년 EU 농식품 정책 전망

6월 스웨덴의 농업 현황과 정책

7월 프랑스프랑스 농축산업과 유기농 시장

8월 미국2019년 미국 주요 농식품정책 변화와 전망

9월 미국미국의 농지보전지역권 매입제도의 성과와 시사점

10월 캄보디아캄보디아의 산림업 현황과 개발수요

11월 덴마크덴마크의 농업구조와 농지의 변화

12월 칠레칠레의 농업 현황

국가별 농업자료 HISTORY

국가별 농업자료∙ 141

(계속)

쉎 국가별 농업자료

연도별 월별 제 목

2020

1월 네팔네팔의 농업과 개발협력 방향

3월

독일

독일의 농업 현황과 정책 에콰도르

에콰도르 식품산업 현황

5월

볼리비아

볼리비아 농업 현황과 개발협력 추진 방향 세네갈

세네갈 농업 현황과 개발협력 추진 방향

7월 캄보디아 캄보디아 채소산업 현황

9월 캄보디아 캄보디아 가축질병 대응 정책

세계농업 「국가별 농업자료」 원문자료 (https://www.krei.re.kr/wldagr/index.do)

142 ∙ 세계농업 2020. 11월호

(계속)

Part 5

국제기구・연구 동향

코로나19와 세계 농식품 무역 및 가치사슬 변화와 시사점 | 임송수

코로나19와 세계 농식품 무역 및 가치사슬 변화와 시사점

국제기구·연구 동향∙ 145

코로나19와 세계 농식품 무역 및 가치사슬 변화와 시사점

임 송 수 *

3)

1.

서론

코로나바이러스

(COVID-19,

코로나

19)

대유행으로 세계 경제가 휘청거리고 있다

.

혹자는 코로나

19

를 흑고니

(Black Swan)

이론으로 설명한다

.

이 이론은 백조만 존재한다고 믿고 있던

1697

년에 네덜란드 탐험가인 블라밍

(de Vlamingh)

이 서호주

(Western Australia)

에서 흑고니를 발견한 것에서 착안해 전혀 예측할 수 없던 일이 실제로 나타난 경우를 일컫는다

. 2007

년에 탈레브

(Taleb)

가 발간한 책

,

Black Swan

』을 통해 이 흑고니 이론은 사람들 사이에 회자하기 시작하였다

(Taleb, 2007).

탈레브는 흑고니 사건의

3

대 기준을 다음처럼 제시하였다

.

① 희귀성

:

이상치

(outlier)

로서 놀라운 것이어야 한다

.

② 극단적인 영향

:

심각한 영향력을 가져야 한다

.

③ 사후적 예측 가능성

:

사건 발생 이후 이를 합리화할 수 있어야 한다

.

이는 사건 발생 전에 존재하는 적절한 자료를 제대로 반영하지 않아서 생긴

,

사전에 예상 할 수 있었던 사건이라고 설명하는 사후 확신 편향

(hindsight bias)

과 관련있다

.

그러나 정작 탈레브는 코로나

19

가 흑고니가 아니라고 말하였다

.

과거의 어떤 것도 코로나

19

가능성을 설득력 있게 지적할 수 없어야만 흑고니 사건일 수 있는데

,

코로나

19

와 같은 대유행은 백조 처럼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확인하였다

(Taleb and Spitznagel, 2020).

* 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songsoo@korea.ac.kr).

146 ∙ 세계농업 2020. 11월호

이처럼 흑고니 이론을 장황하게 설명한 이유는 이미

2020

년 이전부터 과학자들은 동물성 호흡기 질환이 아시아로부터 시작해 세계로 확산할 수 있음을 경고했기 때문이다

.

대유행을 경고한 복잡한 모형은

1918

년에 발생한 스페인 독감

(Spanish flu)

과 견줄 정도로

7,100

만 명이 사망하고

GDP

5%

감소한다고 전망하였다

(Economist, 2020).

그러나

2020

10

10

일까지 코로나

19

관련 사망자 수는

108

만 명으로 전망치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다

(coronaboard.kr).

하지만 세계

GDP

는 대유행이 없었을 때와 견주어

8%(

성장 전망

3%

에다 감소율

5%

의 합

)

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하는데 이는

2009

년의 글로벌 경기침체 때의

0.1%

감소와 견주어 엄청나게 큰 충격이다

<

그림

1>.

<그림 1> 세계 실질 GDP의 연간 변화율 추이

2019 2020 2021 자료: IMF(2020).

코로나

19

대유행은 경제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면서 농식품 무역과 정책에도 어려운 도전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

이 글에서는

FAO

보고서

(2020)

가 제시한 최근까지 농식품 무역 과 세계 가치사슬의 변화 및 요인을 정리하고 진행 중인 코로나

19

의 환경 속에서 그 시사점 을 제시하고자 한다

.

코로나19와 세계 농식품 무역 및 가치사슬 변화와 시사점

국제기구·연구 동향∙ 147

문서에서 세계농업 (페이지 146-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