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녹색기술 R&D 투자의 연구개발투자에 대한 분석은 한국과학기술 기획평가원(2010)의 “2010년도 녹색기술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 분석 보고서” 이후에 녹색기술센터(GTC)에서 매년마다 녹색기술 R&D투 자의 연구개발투자 동향에 대한 조사분석 보고서들을 발행하고 있다.

그러나 녹색기술의 성과와 생산성에 대해서는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 어지지 않고 있는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2013)에서 도출한 120개 국가전략 기술별 기술수준 종합분석 보고서에서 우리나라의 국가전략 기술 120개에 대해서 기술수준 평가와 논문, 특허성과 등에서 체계적 으로 제시한 것 이외에는 개별 연구 수준 혹은 개별 프로그램 수준에 서의 성과분석 자료들만이 존재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녹색기술 R&D 투자에 대한 현황분석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녹색기술 R&D 투자 대비 성과분석은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R&D 투자 대비 생산성 분석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 은 점을 감안하여 우리나라의 녹색기술 R&D 투자의 현황분석이 이루 어진 2008~2011년을 기준으로 해당 기간 동안의 우리나라의 녹색기술 R&D 투자 대비 성과분석을 생산성 관점에서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녹색기술센터의 2012년도 녹색기술 R&D 투자 조사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27개 녹색 중점기술별 연구개 발투자의 연도별 과제수와 투입금액 자료를 바탕으로 투입을 구성하 고 2013년도 발간된 우리나라 120대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기술수준

평가 및 논문, 특허 성과에 대한 2008~2011년도 자료들을 산출결과 자료로 Output으로 구성하여 이들에 대한 생산성을 추정하고자 한다.

27대 중점녹색기술은 미래창조과학부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 분석 보고서”를 참조하였다.

먼저 27대 녹색기술 분류와 120대 국가전략기술의 분류가 상호 상 이하기 때문에 해당 기술분류별 정의를 바탕으로 상호연계표를 작성 하였다. 이 과정에서 27개 녹색기술 분류가운데 120대 국가전략기술 로 연계표 작성이 가능한 19개 기술을 도출하였으며 27대 녹색전략기 술 가운데 9개 기술분야는 상호간 1:1 매칭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며 6개 기술분야는 2개 기술분야가 포함될 경우에 120대 전략기술과 매칭이 되었으며 3개 기술은 120대 기술분야의 2~3개 기술분야가 합 하여졌을때 매칭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에 대해서 아래의 그래 프에서 설명하고 있다. 27대 녹색 중점기술의 정의와 120대 국가전략 기술 가운데 해당 기술에 대한 기술분야 설명도 표에서 제시하고 있다.

아래의 표는 ‘녹색기술 연구개발 종합대책’(09.1)에서 도출된 27대 중점녹색기술 표이다. 크게 예측기술, 에너지원기술, 고효율화기술, 사 후처리기술, 무공해산업기술 5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로 예측기술에는 코드 1(기후변화예측 및 모델링 개발기술) 과 2(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기술)이 포함되어 있으며, 두 번째로 에너지원기술에는 크게 재생에너지(태양에너지 및 바이오, 해양 에너 지 등)와 원자력/핵융합, 수소/연료전지기술로 구성되어 있으며, 코드 3부터 10까지가 이에 해당된다. 세 번째로 고효율화기술에는 크게 화 석연료활용성향상 및 고효율화, 전력효율성향상, 녹색국토, 친환경 제 조공정 및 소재효율성 향상기술로 구성되어 있으며, 코드 11부터 20

코드 기술명 기술개요

코드 기술명 기술개요

코드 기술명 기술개요

코드 기술명 기술개요

코드 기술명 기술개요

수 있는 자료포락(DEA) 분석과 시계열 생산성 변화 분석을 시도하였 다. 마지막으로 소결에서는 녹색중점기술분야별 연구개발투자의 특성, 산출결과물의 특성, 생산성 분석의 특성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