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Ⅴ. 논의

1. 결과 및 의의

본 연구에서는 남녀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지지가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의 매개역할은 어떠한가? 라는 연구문제에서 첫째, 남학생 이 지각한 가족지지가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는 매개역 할을 할 것이다. 둘째, 여학생이 지각한 가족지지가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인관계는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대인관계 의 매개역할을 남녀 차이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지지가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고민하는 대인관계를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남녀 성별로 논의함으로써 중학생의 심리사회적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고 스스로 해 결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건강하고 행복한 긍정적인 자아정체감 형성 에 기여할 것이다. 아울러 성차에 따른 대인관계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 육 및 생활상담지도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 연구와 관련지어 논의를 전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지지와 자아정체감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가족지지와 자아정체감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 한 결과 가족지지와 자아정체 감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났으며, 가족지지의 하위요인과 자아정체 감 간에도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지지와 자아정체감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다고 보고한 전영호(1992), 김효숙(2003), 김정남, 권윤희(2002), 최지은(2010)의 연구 결과를 지지하며,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이억범(2004)의 연구와 노인을 대상으 로 한 유은사(2014)의 연구결과와도 일치한다. 이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및 의미 있는 가족구성원의 지지는 심리적 안정감과 신뢰감을 향상시키고 정신건 강과 사회적 관계 능력을 증진하여 핵심발달과업인 자아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남녀 중학생이 지각한 가족지지가 자아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칭찬과 존중 그리고 인정 등 자율적이고 따뜻한 긍정적인 분위기는 여중생의

대인관계의 매개역할은 남녀 성 차이가 있음을 확인한 것에 의의가 있다.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는 의미 있는 타인 즉 자신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다양한 형태의 지원을 변함없이 일관성 있게 제공 해 주며 유사성을 많이 공유하는 사람으로서 영향력을 주고받는 상호의존적 관계를 맺고 있는 친구, 또래, 교사 등 주요 주변인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중학생 시기의 청소년들은 주변인들의 눈을 통해서 자신을 가늠하고 자신에 대한 타인의 의견과 평가를 통해 인정받기를 희망하는 발달적 특징으로 인해 친구와 또래 및 교사 등과의 관계 맺기 즉 대인관계의 형성 및 유지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즉 청소년기에 획득된다는 덕목과 강점인 충실성과 성실이 학교 등에서 주로 만나게 되는 친구와 또래, 교사 및 의미 있는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발달되며 핵심과업인 자아정체감이 형성되어 간다. 그리고 Freud의 청소년기 심리성적 발달단계 즉 생식기에 해당되는 시 기로, 초기청소년기는 잠복되어 있던 성적에너지(리비도)가 되살아나는 시기이 고 사춘기를 경험하며 2차 성징이 나타나며 리비도의 대상이 동성친구에서 또 래의 이성친구로 옮겨하는 시기이다. 아울러 사회, 문화적으로 그 역할에서의 다양성이 존재하며 대인관계 범위가 확장되어 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중학생의 자아정체감은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와 심리성 적 발달단계에 따른 성취와 위기, 극복과 좌절 등의 경험과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되고 친구와 또래 및 의미 있는 주요 타인과의 관계를 통하여 형성되어 간다는 점과 함께 중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를 남 녀 성차로 구별해 본 점에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가족지지와 자아정체감 간의 관계, 가족지지와 대인관계 간의 관계, 대 인관계와 자아정체감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시도해 봄으로써 청소년기 중 학생의 대인관계에 대한 남녀 성차와 자아정체감 형성에 관한 연구에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