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

에 영향을 미치는지 진단한다.

〔그림 3-1〕 가족 갈등의 생태학적 원인 진단

[그림 3-1]은 생태학적 관점에서 진단한 가족 갈등의 원인을 개괄적으 로 제시한다. 이 모델은 가족체계와 환경을 설명하기 위해 Gross et al.(1980)이 개발한 모델을 가족 갈등의 원인을 진단하기 위해 연구자가 변형한 것이다. [그림 3-1]에서 환경은 개인 수준, 가족 수준, 사회 수준 의 동심원으로 구성되며, 가족 수준에서 뻗어 나간 우측 상단의 원은 가 족 갈등을 개념화한다. 본 연구에서 가족 갈등은 제2장 1절에서 정리한 바와 같이 가족관계 갈등과 가족기능 갈등으로 나뉜다. 가족관계 갈등에 는 부부 갈등, 가족 내 세대 갈등, 형제자매 갈등이 포함되며, 가족기능 갈등에는 부모-성인자녀 부양(노부모 부양 관련 갈등, 성인자녀 지원 관 련 갈등) 및 상속 갈등과 일-가족 갈등이 포함된다. 일-가족 갈등은 가족 외부의 일과 가족 내부라는 두 체계 간에 발생하는 갈등이라는 점에서 가 족갈등의 원 경계에 위치하도록 하였다.

[그림 3-1] 우측 상단의 원에서 가족관계 갈등과 가족기능 갈등은 분리 되어 있지만,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유기적인 관계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 하여 점선으로 구분하고 서로 화살표를 주고받도록 하였다. 또한, 우측 상단 원 안의 다섯 가지 유형의 가족 갈등은 상대적으로 관련이 있는 유 형을 가깝게 배치하였다. 가족기능 갈등 중 부모-성인자녀 부양 및 상속 갈등은 가족관계 갈등 중 세대 갈등 및 형제자매 갈등과 연결되므로 이 두 가지를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였다. 가족기능 갈등 중 일-가족 갈등은 어린 자녀를 돌보는 부부의 역할 갈등을 핵심으로 하므로 가족관계 갈등 중 부부 갈등과 가깝게 배치하였다.

[그림 3-1]의 개인 수준, 가족 수준, 사회 수준의 동심원 안에는 가족 갈등의 중요한 원인으로 진단한 요인을 제시하였다. 가족관계 갈등과 가 족기능 갈등이 서로 맞물려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갈등의 원인 역시 두 가지를 구분하지 않고 같은 동심원을 사용하였다. 첫째, 가족 갈등의 개

인 수준 원인으로는 생애단계 특성, 성격 특성 및 정신건강 문제, 낮은 자 아분화를 포함하였다. 둘째, 가족 수준 원인으로는 생활사건(가족생활의 급격한 변화), 경제적 문제, 가족 내 차이와 불일치, 부정적 상호작용 및 상호작용 부족, 부정적 원가족 경험 및 역기능적 양육태도, 불공평한 관 계 및 분배를 포함하였다. 셋째, 사회 수준 원인으로는 비민주적 젠더관 계, 압축적 근대화로 인한 세대 차이, 사회적 양가성(상충하는 규범의 혼 재), 가족의 의미 변화(감정적 과부하, 도구화, 물신화), 인구구조의 변화 (저출산, 고령화), 정책 및 제도의 미흡을 포함하였다. 개인, 가족, 사회 수준의 원인은 다른 수준의 원인과 연결되어 있거나 상호작용할 수 있으 므로 각 수준 사이에 영향을 주고받는다는 의미로 화살표를 넣었다. 또한 그림에 제시한 원인 이외에도 가족 갈등을 유발하는 다양한 요인이 존재 할 수 있으므로 동심원 안에 충분한 여백을 두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