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수업 결과 분석

3. 가설의 검증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수업에 있어서, 특히 학습부진학생에게 우세한 신체-운 동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음악적 지능, 공간적 지능을 적용한 활동을 통한 수업 은 영어성적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 실험집 단의 영어성적 변화는 기존의 학습자의 능력이라 생각됐던 언어적 지능, 논리-수 학적 지능을 중시하는 수업을 실시한 통제집단인 관광외국어과와 관광골프관리 과의 영어성적 변화에 비하여 긍정적인 상승효과가 있었다. 영어교과 부진학생들 에게 그들의 우세지능 영역에 맞춘 교수학습을 구안하여 적용하였을 때,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3장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이 성립되는 것이다.

즉, 실험집단의 중간고사 점수와 기말고사 점수의 변화(△ X)는 관광골프관리 과의 성적변화(△ X) 보다 그 변화량이 크다는 것은 실험집단과 관광골프관리 과의 기초 통계량 분석결과를 통해 알 수 있다. 즉, △X실 = 49.61-58.93 = - 9.32 >

X골 = 31.91-25.78 =6.13 이므로 가설은 채택될 수 있다.

하지만 실험집단인 경우, 정규시간에만 수업이 이루어진 통제집단과 비교하였 을 때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활동위주의 특별보충 수업 시간이라는 추가적인

수업이 이루어졌다. 다만,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수업시간 수가 일치하지 않 았음을 밝힌다. 또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를 분석하여 학습향상의 정도를 측정하 였고, 기존의 단일화된 평가방식을 통한 자료의 분석에 그 한계가 있음을 밝혀둔 다.

이러한 한계를 통하여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교수법의 개발과 대안적인 평가 가 요구된다. 학습자 개개인에게 적합한 지능을 토대로 한 효과적인 학습전략은 학습자들로부터 보다 많은 참여와 학습동기, 학습에의 자신감을 부여할 것이다.

기존의 평가 또한 학습자들의 진정한 이해를 드러내기에 그 성격과 방법이 제한 적이다. 이러한 접에서 다중지능이론이 적용되는 교실에서의 평가는 지필고사 중 심의 평가방법에서 벗어나야 한다. 학습결과물 뿐만 아니라 과정까지도 중시되는 프로젝트평가, 포트폴리오평가, 수행평가 등의 대안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Ⅴ. 결론

이전까지의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모든 학생을 언어적 지능영역과 논리-수학 적 지능역역에 국한시켜 같은 내용을 같은 방식으로 공부하며 같은 방식으로 평 가해 왔다. 하지만 각각의 학습자는 겉모습이 다른 만큼 각기 다른 성격과 능력 을 가진다. 그런데 이전의 교육자들은 이러한 점을 무시하여 언어적 능력, 논리-수학적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에만 초점을 맞추었다. 학습부진의 책임은 우선적으 로 학습자에게 있지만, 학습을 지도하는 교사에게도 학습부진에 대해 많은 책임 이 있다. 학습부진학생들은 전통적 개념의 지능 발달을 촉진시키는 학습방법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학습부진학생들은 보통 혹은 그 이상의 지능을 가지고 있다 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학습부진학생의 학습활동을 신장시키기 위해 그들 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이를 고려한 수업의 설계가 무엇보다 우선시 된다. 학습 자들을 지도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용에 다중지능이론은 한 해결점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기존의 단편적인 지식으로 학습자의 능력을 판단하는 것은 학생들의 학습의 질적 성취를 저해할 뿐만 아니라 관심, 흥미 분야의 성취의욕을 약화시킨다.

2000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학습자 중심의 개별화 수업을 지향하고, 이에 따라 각 지방 교육청에서도 기초학습부진 학생 및 교과 학습부진학생에 대한 지도를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학생들의 능 력을 단일한 지능으로 측정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잠재적 지능에 따른 독 특한 학습양식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이를 영어교육에 연계 시킨다면 학습자 들의 학습동기의 고취는 물론 학력향상에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 영어교과 학습부진학생 영어교과 지도에 있어 전통적으로 학생들의 능력으로 여겨지는 언어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을 신장 시키는데서 탈피하였다. 학습부진학생들에게 우세하게 나타나는 특정 다중지능이 론을 적용한 수업을 통해, 그들에게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에 대하여 고찰해 보 았다. 기존에 지능의 종형 곡선 이론에 비판을 가한 Gardner(1983)의 이론을 적

용하여 학습부진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지능이 학습자들의 단일한 능력으로 절대적인 것이 아님을 보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개성을 존중하여 수업 을 진행했을 때, 학습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필자는 영어교과 부진학생을 대상으로 다중지능검사를 통하여 우세 지능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우세지능을 위주로 하여 교수학습활동을 실시했을 경 우, 어떻게 영어성적의 변화를 가져왔는지 알아보았다. 학습자 변인과 환경적 요 인으로 인하여 학습에 장애를 느끼는 영어교과 학습부진학생을 대상으로 다중지 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학습능력이 뛰어난 학생들에 비하여 언어 지능과 논리-수 학적 지능은 다소 떨어지나 신체-운동적 지능, 대인관계 지능, 음악적 지능이 상 대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이들 지능에 맞는 교수학습 자료 를 개발했으며, 20차시에 걸쳐 활동 중심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적이 떨어진 통제군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습부진학생들의 성적이 향상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수업을 했을 때가 기존 방식의 수업 을 했을 때보다 학습자들의 학업성취에도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학업성취도를 높여주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와 더불어, 본 논문 연구를 통해 구체적으로 학생들의 능력으로 간 주되는 언어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중심의 수업이 지능 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 은 집단에 똑같이 적용되었을 때, 전통적인 수업 방식은 지능이 높은 집단에 비 교적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현재까지 이어지는 과거의 수 업 방식이 기존의 지능이 낮은 학생들보다는 상대적으로 지능이 우수한 학생에 게 더 유리하다. 이는 전통적인 교수학습 활동에서 탈피하여 제7차 교육과정에서 주장하는 학습자 개인의 차이를 인정하고 학습자의 학습능력 수준과 요구에 대 응하는 수준별 교육과정을 실시하는 것의 타당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다중지능이론이 시사하는 바는 단순히 과거의 수업방식을 따르고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그대로 현장에 적용하는 것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단 일한 지능 이외에 학습자들 개인이 지니는 지능을 존중하고, 그들의 적성, 소질, 능력에 맞게 교수학습을 재구성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각 지능에 맞는 다양한 수업방법에 대한 연구와 요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함을 뜻한다. 모든 사람들 은 다양한 지능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 중에 어느 지능이 더 발달되어 있고 덜

발달되어 있는가는 개인마다 다르다. 그러므로 학습부진학생의 경우에도 개개인 의 자신의 독특한 지능을 갖고 있으며 지능은 고정적인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 중지능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면 여러 가지 지능을 어느 정도까지는 발달시킬 수 있으며, 이는 학업성취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지능발달에는 결정 적 시기가 있으므로 학생시절에 지능발달의 최적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중요 하다. 따라서 교사는 교실에서 다양한 교수전략을 사용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지 능이 충분히 계발되도록 교육해야 할 필요가 있다.

참 고 문 헌

교육인적자원부(2001), 중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료(Ⅲ),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 의 실제, 교육과정자료 81.

김동인(1999), “학습부진아 교육에 관한 교육심리학의 역할과 과제”, 「교육심리연구」

13(2)

김명숙(2004), “학습부진아의 원인과 지도방법”, 경상남도성주교육청.

김명희 외(1996), “중학생의 다중지능 분석”, 「교육논총」12권, 한양대학교, pp.151-185 김선 외(2002), 「학습부진아의 이해와 교육」, 서울: 학지사.

김성찬(2006),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영어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관 동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 논문.

김종훈(2002), “학습자 중심 영어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언어연구」18(2), 한국현대언 어학회, pp.59-77.

__________(2005),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영어 교수학습 활동“, 「언어학연구10(2), 제주국제언 어학회, p.175-194.

문용린 외(2001), 「다중지능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중고생을 위한 다중지능검사개 발」, 서울: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문용린 외(2005),「백범 김구의 지적 계발과정 탐색 - 한 위인의 다중지능 분석 보고 서」, 경기: 집문당.

박경숙 역(1988), Ayres, A.J., 「학습부진아와 자폐아의 치료」, 서울: (주)샘터사.

박효정(1999), “다중지능이론과 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탐색”, The Journal of Korea Education, 한국교육.

심재숙(2003),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영어과 학습부진아 지도 방안” 경상대학교 교육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신영진(2006),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영어 학습부진아 지도방안” 경남대학교 교육대학 원 석사학위 논문.

임병빈 외(2007), High School English, 서울: (주)장원교육

_________(2007), High School English: Teacher's Guide, 서울: (주)장원교육

임정민(2003),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영어수업의 연구” 한국교원대학원 석사학

임정민(2003),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중학교 영어수업의 연구” 한국교원대학원 석사학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