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설 Ⅰ〕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스 트레스요인 별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은 이미 앞의 상관분석 <표 4-39>에서 선형관계를 통한 각 변수별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여기서는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명히 분석하 기 위해 각 요인들의 평균점수(<표 4-20>)을 기준으로 낮은 집단과 높은 집 단으로 나누어 t-test를 실시하여 평균값이 낮은 집단의 스트레스양의 평균값 과 높은 집단의 스트레스 양의 평균값을 비교하여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가설 Ⅰ-1) 직무스트레스는 직무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표 4-4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업무량 평균이 낮은 집단의 스트레스 양의 평균값은 2.8283, 업무량 평균이 높은 집단의 스트레스 양의 평균값은 3.1680으

로 분석돼 업무량이 적은 집단이 스트레스도 적으며 업무량이 많은 집단이 스 트레스의 양도 큼을 알 수 있다. 또한 업무량 평균이 높은 집단의 스트레스 양 의 평균값은 3.1680, 잡무량 평균값이 높은 집단의 스트레스 양의 평균값은 3.2480으로 잡무량이 더 스트레스에 많은 영향을 주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42> 직무요인과 스트레스양의 관계 분석

종속변수 독립변수 평 균

자유도 t-value Sig.T

소 대

스트레스 의 양

업무량 2.8283 3.1680 412 -4.950 .000 잡무량 2.6667 3.2480 412 -8.847 .000

가설 Ⅰ-2) 직무스트레스는 조직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모든 요인이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고 있으나 <표 4-43>에 나타난 바와 같 이 평균값이 낮은 집단이 평균값이 높은 집단보다 스트레스를 적게 받고 있으 며,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크기별로 보면 역할갈등에 따른 스트레스 양의 평 균값은 3.3020, 관료적 구조 3.2775, 장래성 3.1619 순으로 스트레스에 더 영향 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43> 조직요인과 스트레스양의 관계 분석

종속변수 독립변수 평 균

자유도 t-value Sig.T

소 대

스트레스 의 양

보상성 2.8160 3.1600 412 -4.982 .000 장래성 2.8174 3.1619 412 -4.997 .000 직업안정성 2.9193 3.1013 412 -2.606 .009 역할갈등 2.8180 3.3020 412 -7.144 .000 관료적 구조 2.7640 3.2775 412 -7.812 .000

가설 Ⅰ-3) 직무스트레스는 환경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환경요인에서도 <표 4-4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학부모와의 관계, 학생과의 관계, 사회적 인정 순으로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모든 요소에서 환경요인의 평균값이 높은 집단이 스트레스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표 4-44> 환경요인과 스트레스양의 관계 분석

종속변수 독립변수 평 균

자유도 t-value Sig.T

소 대

스트레스 의 양

학생과의 관계 2.7387 3.2935 412 -8.552 .000 학부모와의 관계 2.7628 3.3059 412 -8.309 .000 관련기관과의 관계 2.8141 3.1368 412 -4.578 .000 사회적 인정 2.8179 3.1674 412 -5.086 .000

〔가설 Ⅱ〕 직무스트레스양의 크기에 따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를 것이다.

직무스트레스 양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이미 앞의 상관분석 <표 4-39>에서 선형관계를 통해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여기서는 <표 4-21>에 나타낸 직무스트레스 양의 평균값을 기준으로 평균 보다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으로 나누고 T-test를 실시한 결과 <표 4-45>에 서 보는 바와 같이 유의도 0.000수준에서 스트레스의 양이 큰 집단이 작은 집 단 보다 이직의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양의 차이가 이직의도 에 영향을 미친다.

<표 4-45> 스트레스의 양 평균과 이직의도간의 관계 분석

구 분 스트레스의 양 평균

자유도 t-value Sig.T

소 대

이직의도 2.8160 3.1600 412 -5.59 .000

〔가설 Ⅲ〕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스트레스 요 인별로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가설Ⅰ에서 이미 각 요인별로 평균보다 낮은 집단이 평균보다 높은 집단보 다 스트레스의 양이 적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여기서는 각 요인별로 평균값<

표 4-14>을 기준으로 평균값보다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을 비교하여 이직의 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가설 Ⅲ-1)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요인별로 다 르게 나타날 것이다.

<표 4-4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업무량이 적은 집단보다 업무량이 많은 집 단이, 잡무량이 적은 집단보다 잡무량이 많은 집단이 이직의도가 높으며, 잡무 량이 많은 집단보다 업무량이 많은 집단이 이직의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다 시 말하면 잡무량 보다 업무량이 이직의도에 더 많은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4-46> 직무요인과 이직의도간의 관계 분석

종속변수 독립변수 평 균

자유도 t-value Sig.T

소 대

이직의도

업무요인 2.5649 2.8237 412 -3.398 .001 잡무요인 2.5645 2.8008 412 -3.050 .002

가설 Ⅲ-2)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조직요인별로 다 르게 나타날 것이다.

<표 4-47>에 보는 바와 같이 직업안정성 요인만 제외하고 0.000의 유의수 준으로 모든 조직요인에서 스트레스의 양이 적은 집단보다 스트레스의 양이 많은 집단이 이직의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역할갈등요인이 평균 값이 2.9448로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그 다음은 보상성, 장 래성의 순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표 4-47> 조직요인과 이직의도간의 관계 분석

종속변수 독립변수 평 균

자유도 t-value Sig.T

소 대

이직의도

보상성 2.4803 2.8743 412 -5.235 .000 장래성 2.4880 2.8718 412 -5.099 .000 직업안정성 2.6305 2.7765 412 -1.904 .058 역할갈등 2.5444 2.9448 412 -5.269 .000 관료적 구조 2.6090 2.8075 412 -2.599 .010

가설 Ⅲ-3)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환경요인별로 다 르게 나타날 것이다.

<표 4-4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 요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모든 환경요인에서 스트레스의 양이 적은 집단보다 스트레스의 양이 많은 집 단이 이직의도에 더 큰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환경요인에서는 사회 적 인정, 학부모와의 관계, 학생과의 관계 순으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고 있 다.

<표 4-48> 환경요인과 이직의도간의 관계 분석

종속변수 독립변수 평 균

자유도 t-value Sig.T

소 대

이직의도

학생과의 관계 2.5579 2.8562 412 -3.948 .000 학부모와의 관계 2.5439 2.8947 412 -4.662 .000 관련기관과의 관계 2.6677 2.7283 412 -.768 .443 사회적 인정 2.5109 2.8601 412 -4.626 .000

위의 가설 검증에서 분석한 것을 종합하면 결국 각 요인이 평균값 보다 높 은 집단이 직무스트레스의 양도 크며 직무스트레스의 양이 큰 집단이 이직의 도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즉,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주고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영향을 준다.

제 5 장 결 론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1. 연구결과의 요약

조직구성원들이 받는 스트레스가 많아지고 또 이로 인하여 야기되는 여러 가지 부작용은 구성원들이 조직목표를 향해 그들의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는데 장애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학교조직의 스트레스 속성에 대한 이해와 이의 적 절한 관리는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학교조직에서 직무스트레스의 요인을 규명하고 이러한 요인이 직무스트레스 에 영향을 주는가 또한 직무스트레스가 스트레스 요인 별로 이직의도에 영향 을 미치는가를 본 연구는 그간의 직무스트레스 연구성과를 종합․분석하여 연 구모형 및 가설을 제시하고 이를 분석․검증하는 내용으로 이루어 졌다.

1) 직무스트레스요인에 대한 스트레스 지각정도

첫째, 직무요인을 업무요인과 잡무요인으로 나누고 이를 또다시 평균값을 기 준으로 직무량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직무량 평균 이 낮은 집단이 직무스트레스 인지도가 낮았으며, 직무량 평균이 높은 집단이 직무스트레스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업무량과 잡무량에 대한 스트레스 인지 도는 잡무량이 더 스트레스를 많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특성에 서도 담임교사가 비담임교사에 비해 잡무스트레스 인지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 으며, 사립교사 보다 공립교사가, 고등학교 교사보다 중학교교사가, 5∼20년 경 력교사가 잡무로 인해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20년 경력교사들이 담임을 주로 맡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주업무 인 수업시수 보다 각종 공문서 작성 및 장부작성 등 잡무처리가 많음을 시사

하고 있다.

둘째, 조직요인은 보상성, 장래성, 직업안정성, 역할갈등, 관료적 구조 등 네 요인 모두 평균값보다 높은 집단이 직무스트레스 인지도가 높았으며, 이 중 역 할갈등요인이 가장 직무스트레스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에게 사 회의 높은 도덕성 요구와 현실사이에 괴리감을 느끼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여자교사는 관료적 구조에서만 남자교사 보다 스트레스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 으며, 남자교사는 보상성, 장래성에서 스트레스 인지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남자교사는 장래성에서 높은 스트레스 인지도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진급 등에 불만족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환경요인: 학생과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관련기관과의 관계 등 세 요인 모두 평균값 보다 높은 집단이 직무스트레스 인지도가 높았으며, 이 중 학생과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순으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학생 과 학부모들의 다양한 요구에 교사들이 어려움을 껶고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 다. 특히 경력별인지도 분석에서 학생과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부모와의 관계에서는 5∼20년 사이 경력교사가 높은 스트레스 인

셋째, 환경요인: 학생과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관련기관과의 관계 등 세 요인 모두 평균값 보다 높은 집단이 직무스트레스 인지도가 높았으며, 이 중 학생과의 관계, 학부모와의 관계 순으로 인지도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학생 과 학부모들의 다양한 요구에 교사들이 어려움을 껶고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 다. 특히 경력별인지도 분석에서 학생과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부모와의 관계에서는 5∼20년 사이 경력교사가 높은 스트레스 인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