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 ) 가구형태(독립변수)

Ⅳ. 연구 결과

3. 가구형태와 건강행위의 관련성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건강 상태 변인 및 정서적 지지 변인을 통제한 후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건강행위의 실천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자료 분석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가 구형태는 노인독거가구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건강행위는 긍정적 행태(건강증 진행위)로 통일하여 분석하였다.

가구 형태는 남성의 금연 실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여성의 금연 실 천에는 영향을 미쳤는데 노인독거가구에 비해 노인부부가구에서 금연 실천이 2.1 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OR=2.14, p=0.003), 다른 가구형태에서는 유의하지 않 았다(표 12). 남성은 가구형태가 비음주 실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여성 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노인독거가구에 비해 노인부부가구에서 비음주 실 천이 3.04배 높게 나타났다(OR=3.05, p<0.001). 한편, 가구형태는 남녀 노인 모 두에서 적정음주 실천에 영향을 미쳤다. 남성은 노인독거가구에 비해 자녀동거 노인가구의 적정음주 실천이 2.25배, 기타노인가구의 적정음주 실천이 2.96배 높게 나타났고(OR=2.25, p=0.001, OR=2.96, p<0.001), 여성은 노인독거가구에 비해 노인부부가구의 적정음주 실천이 2.30배 높았다(OR=2.30, p=0.006)(표 13).

영양관리는 가구형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는데, 남성은 노인독거가구에 비 해 노인부부가구 7.04배, 자녀동거가구 4.08배, 기타노인가구 4.31배 높게 나타 났고(OR=7.04, p<0.001, OR=4.08, p<0.001, OR=4.31, p<0.001), 여성은 노인독

인가구의 규칙적 운동 실천이 낮게 나타났고(OR=0.57, p=0.021), 여성은 노인독 거가구에 비해 노인부부가구, 자녀동거노인가구, 기타노인가구의 규칙적 운동 실천이 낮게 나타났다(OR=0.77, p=0.013, OR=0.70, p=0.005, OR=0.61, p=0.024).

반면 가구형태는 남성의 불규칙적 운동 실천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여 성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쳤는데, 노인독거가구에 비해 자녀동거노인가구에서 불규칙적 운동 실천이 낮게 나타났다(OR=0.73, p=0.032)(표 15).

가구형태는 건강행위 실천 항목 수에도 영향을 미쳤는데 남성은 노인독거가 구에 비해 자녀동거노인가구에서 4가지 건강행위 중 2항목의 건강행위 실천이 2.08배, 노인부부가구에서 2.58배 높았고(OR=2.08, p=0.007, OR=2.58, p<0.001), 여성은 노인독거가구에 비해 노인부부가구에서 2.61배 높게 나타났다(OR=2.61, p=0.029). 남성은 노인독거가구에 비해 노인부부가구, 자녀동거노인가구, 기타 노인가구가 3항목건강행위 실천이 2.59배, 2.53배, 3.02배 높았고(OR=2.59, p<0.001, OR=2.53, p<0.001, OR=3.02, p<0.001), 여성의 경우 노인독거가구에 비해 노인부부가구에서 8.84배 높게 나타났다(OR=8.84, p<0.001). 마지막으로 남성은 노인독거가구에 비해 노인부부가구, 자녀동거노인가구, 기타노인가구에 서 4항목 건강행위 실천이 3.25배, 3.16배, 3.38배 높았고(OR=3.25, p<0.001, OR=3.16 p<0.001, OR=3.38, p=0.003), 여성은 노인독거가구에 비해 노인부부가 구에서 9.88배 높게 나타났다(OR=9.88, p<0.001)(표16).

표 12. 금연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부부가구 1.04 0.75~1.44 2.14* 1.30~3.55

자녀동거노인가구 0.97 0.66~1.41 1.23 0.70~2.16

기타노인가구 1.47 0.88~2.46 0.67 0.31~1.43

연령

65-69세 1 1

70~74세 1.31* 1.08~1.58 1.00 0.59~1.69

75~79세 1.48* 1.18~1.85 0.67 0.39~1.14

80세이상 2.38* 1.74~3.24 0.86 0.48~1.56

소득분위

1분위 1 1

2분위 1.42** 1.16~1.74 1.20 0.74~1.92

3분위 1.66** 1.31~2.11 1.21 0.67~2.18

교육수준

무학 1 1

초졸 1.10 0.84~1.43 1.26 0.83~1.90

중졸 1.03 0.77~1.37 1.04 0.51~2.14

고졸 1.28 0.94~1.73 3.05 0.92~10.09

전문대졸이상 1.45* 1.02~2.05 3.64 0.44~30.0

종교 없음 1 1

있음 1.27* 1.09~1.48 1.30 0.91~1.86

건강요인

건강인식

나쁘다 1 1

그저 그렇다 0.80 0.64~1.00 1.17 0.70~1.85

건강하다 0.72* 0.59~0.88 0.810 0.52~1.23

만성질환 있음 1 1

없음 0.57** 0.48~0.70 0.83 0.42~1.64

일상생활도움여부 도움필요 1 1

완전자립 1.02 0.76~1.37 1.42 0.93~2.17

인지기능 저하 1 1

정상 1.23* 1.01~1.51 1.10 0.73~1.65

사회

표 13. 금주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부부가구 1.09 0.78~1.51 3.05** 1.73~5.38 1.49 0.95~2.34 2.30* 1.27~4.17 자녀동거노인

가구 1.31 0.90~1.91 1.88 0.95~3.71 2.25* 1.37~3.70 1.74 0.86~3.55 기타노인가구 1.32 0.79~2.21 2.46 0.70~8.62 2.96** 1.61~5.45 3.10 0.86~11.19

연령

65-69세 1 1 1 1

70~74세 1.38* 1.14~1.67 2.59** 1.52~4.41 1.46* 1.17~1.83 2.17* 1.25~3.78 75~79세 2.04** 1.63~2.57 2.41* 1.36~4.30 1.81** 1.38~2.37 1.37 0.75~2.52 80세이상 3.16** 2.33~4.29 4.29** 2.01~9.14 2.66** 1.85~3.82 2.32* 1.05~5.09 소득분위

1분위 1 1 1 1

2분위 1.28* 1.04~1.58 0.86 0.49~1.49 0.99 0.77~1.28 0.65 0.37~1.16 3분위 0.98 0.77~1.25 0.90 0.44~1.84 1.07 0.81~1.43 0.82 0.39~1.71

교육수준

무학 1 1 1 1

초졸 1.20 0.91~1.57 1.70* 1.03~2.81 0.93 0.66~1.30 1.16 0.69~1.95 중졸 1.29 0.95~1.74 2.29 0.92~5.70 1.17 0.82~1.68 1.72 0.67~4.39 고졸 1.20 0.88~1.64 1.22 0.53~2.79 1.23 0.85~1.77 0.68 0.28~1.63 전문대졸이상 1.95** 1.36~2.74 1.67 0.45~6.22 1.37 0.91~2.08 0.79 0.20~3.08

종교 없음 1 1 1 1

있음 1.59** 1.36~1.86 1.91* 1.25~2.92 1.21* 1.00~1.45 1.41 0.90~2.19

건강요인 건강인식

나쁘다 1 1 1 1

그저그렇다 0.50** 0.40~0.63 0.99 0.58~1.67 0.76* 0.58~0.98 1.27 0.73~2.21 건강하다 0.43** 0.35~0.52 0.78 0.48~1.28 0.68* 0.54~0.87 1.50 0.90~2.51

만성질환 있음 1 1 1 1

없음 0.88 0.71~1.09 1.03 0.45~2.35 1.03 0.81~1.31 1.03 0.44~2.41 일상생활

도움여부

도움필요 1 1 1 1

완전자립 0.72* 0.53~0.98 0.86 0.45~1.67 1.79* 1.14~2.80 0.98 0.49~1.95

인지기능 저하 1 1 1 1

정상 1.03 0.84~1.26 1.17 0.73~1.89 1.40* 1.08~1.81 1.11 0.68~1.83

사회

월1회이상 0.94 0.61~1.44 0.46 0.10~2.01 1.63 0.88~3.01 0.42 0.09~1.92 주1회이상 1.25 0.84~1.84 0.65 0.16~2.65 2.43* 1.41~4.42 0.49 0.12~2.08 친구

연락빈도

분기 1회

이하 1 1 1 1

월1회이상 0.72* 0.57~0.92 0.85 0.44~1.64 0.70* 0.52~0.93 0.90 0.45~1.79 주1회이상 0.56** 0.45~0.71 0.91 0.51~1.63 0.56** 0.42~0.73 0.89 0.49~1.63

단체활동 미참여 1 1 1 1

참여 0.72** 0.61~0.85 0.51* 0.32~0.81 1.03 0.84~1.25 1.08 0.67~1.74 자녀수 (연속형) 0.93* 0.88~1.00 0.88 0.76~1.01 0.97 0.90~1.04 0.91 0.78~1.06 가까이 지내는 친구

수 (연속형) 0.99 0.96~1.01 0.93* 0.88~0.99 0.98 0.95~1.01 0.92* 0.86~0.98

기준 변수, *p<0.05, **p<0.001

표 14. 영양관리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기타노인가구 4.31** 2.43~7.63 1.40 0.95~2.06

연령

65-69세 1 1

70~74세 0.83 0.62~1.11 0.87 0.70~1.07

75~79세 0.74 0.54~1.02 0.99 0.78~1.24

80세이상 0.82 0.56~1.19 0.92 0.71~1.19

소득분위

1분위 1 1

2분위 1.12 0.86~1.45 1.37* 1.13~1.67

3분위 2.55 1.77~3.68 2.49** 1.91~3.23

교육수준

무학 1 1

초졸 1.08 0.77~1.50 0.92 0.77~1.10

중졸 1.10 0.75~1.60 0.72* 0.52~0.98

고졸 0.76 0.52~1.12 0.66* 0.47~0.92

전문대졸이상 2.31* 1.32~4.05 2.60* 1.06~6.34

종교 없음 1 1

있음 0.97 0.77~1.20 0.76* 0.63~0.90

건강요인

정상 1.09 0.84~1.41 1.29* 1.08~1.53

사회

표 15. 운동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부부가구 0.75 0.54~1.04 0.77* 0.63~0.95 0.81 0.52~1.27 0.89 0.71~1.11 자녀동거노인가구 0.82 0.57~1.19 0.70* 0.54~0.89 0.84 0.50~1.38 0.73* 0.55~0.97 기타노인가구 0.57* 0.35~0.92 0.61* 0.39~0.94 0.68 0.35~1.31 0.92 0.59~1.45

연령

65-69세 1 1 1 1

70~74세 1.31* 1.09~1.58 1.10 0.91~1.32 0.85 0.65~1.10 1.19 0.96~1.47 75~79세 1.28* 1.03~1.59 1.04 0.84~1.29 0.80 0.59~1.08 1.01 0.79~1.28 80세이상 1.52* 1.16~1.99 0.70* 0.54~0.91 0.78 0.53~1.15 0.87 0.66~1.16 소득분위

1분위 1 1 1 1

2분위 1.02 0.84~1.25 1.04 0.85~1.27 0.79 0.60~1.03 0.95 0.76~1.19 3분위 1.28* 1.02~1.61 1.36* 1.07~1.72 0.98 0.71~1.34 1.34* 1.03~1.75

교육수준

무학 1 1 1 1

초졸 1.32* 1.02~1.71 1.47** 1.23~1.76 1.23 0.84~1.80 0.99 0.82~1.20 중졸 1.60* 1.21~2.12 2.15** 1.63~2.82 1.74* 1.16~2.61 1.06 0.76~1.48 고졸 2.21** 1.65~2.97 1.95** 1.44~2.65 2.84** 1.88~4.30 1.18 0.83~1.69 전문대졸이

3.00** 2.15~4.20 2.60** 1.69~4.01 3.33** 2.08~5.33 0.57 0.29~1.09

종교 없음 1 1 1 1

있음 1.07 0.92~1.24 0.94 0.80~1.11 1.13 0.92~1.39 1.20 0.99~1.46

건강요인 건강인식

나쁘다 1 1 1 1

그저그렇다 1.30* 1.06~1.60 1.37* 1.14~1.65 1.17 0.88~1.56 1.17 0.95~1.43 건강하다 1.61** 1.33~1.94 1.81** 1.51~2.17 1.27 0.98~1.66 1.54** 1.25~1.88

만성질환 있음 1 1 1 1

없음 0.81* 0.66~1.00 1.39* 1.06~1.83 0.83 0.62~1.11 0.51* 0.34~0.78 일상생활

도움필요

도움필요 1 1 1 1

완전자립 3.06** 2.25~4.15 1.50* 1.18~1.91 1.78* 1.21~2.62 1.50* 1.16~1.93

인지기능 저하 1 1 1 1

정상 1.41** 1.16~1.71 1.48** 1.25~1.76 1.13 0.86~1.48 1.43** 1.19~1.73

사회

월 1회이상 0.78 0.50~1.20 1.36 0.87~2.13 0.81 0.45~1.43 0.94 0.60~1.48 주 1회이상 0.92 0.62~1.37 1.28 0.85~1.93 0.77 0.45~1.31 0.86 0.58~1.29 친구

연락빈도

분기1회이하 1 1 1 1

월 1회이상 1.06 0.85~1.32 0.81 0.64~1.02 1.02 0.75~1.39 0.74* 0.57~0.97 주 1회이상 1.26* 1.02~1.55 1.15 0.94~1.40 1.15 0.86~1.53 1.27* 1.02~1.58

단체활동 미참여 1 1 1 1

참여 1.09 0.93~1.28 1.53** 1.30~1.80 0.77* 0.61~0.96 1.15 0.95~1.39 자녀수 연속형) 0.89** 0.84~0.94 0.94* 0.89~0.99 1.03 0.95~1.11 0.99 0.93~1.05

가까이 지내는

친구수(연속형) 1.03* 1.00~1.05 1.08** 1.05~1.11 1.02 0.99~1.06 1.03 0.99~1.07

기준 변수, *p<0.05, **p<0.001

표 16. 건강행위 실천 항목 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자녀동거노인가구 2.08* 1.22~3.52 1.35 0.62~3.03 2.53** 1.53~4.20 2.17 0.97~4.82 3.16** 1.74~5.73 2.19 0.96~5.01 기타노인가구 2.01 0.96~4.20 0.92 0.31~2.75 3.02* 1.51~6.01 1.23 0.42~3.62 3.38* 1.53~7.47 0.78 0.25~2.47 ( 65-69세연령)

70~74세 0.68* 0.51~0.92 1.23 0.61~2.51 1.19 0.89~1.58 1.22 0.60~2.44 1.51* 1.10~2.07 1.27 0.63~2.59 75~79세 1.18 0.82~1.71 1.34 0.63~2.84 1.49* 1.04~2.13 1.36 0.65~2.86 2.55** 1.73~3.77 1.40 0.65~2.99 80세이상 1.23 0.76~2.01 2.13 0.93~4.88 1.97* 1.23~3.15 1.62 0.71~3.66 5.00** 3.03~8.27 1.60 0.6823.74 ( 1분위소득분위) 2분위 0.73 0.53~1.01 1.00 0.51~1.99 1.11 0.81~1.51 1.40 0.71~2.74 1.28 0.90~1.81 1.37 0.68~2.74 3분위 1.00 0.67~1.49 0.90 0.35~2.285 1.43 0.97~2.09 2.18 0.87~5.47 1.97* 1.29~2.99 2.33 0.92~5.95

교육수준(무학)

초졸 0.80 0.54~1.19 1.46 0.79~2.70 0.79 0.54~1.17 1.32 0.72~2.43 1.69* 1.04~2.74 2.12* 1.13~3.97 중졸 0.86 0.55~1.35 0.70 0.28~1.78 0.82 0.53~1.26 .46 0.19~1.15 2.08* 1.22~3.52 1.16 0.46~2.93 고졸 1.03 0.64~1.66 4.79 0.58~39.55 1.15 0.73~1.83 3.31 0.40~27.11 2.49* 1.43~4.34 6.24 0.75~51.62 전문대졸이상 0.55* 0.31~0.96 0.60 0.04~9.31 0.99 0.58~1.67 1.16 0.08~16.00 3.37** 1.84~6.17 3.83 0.28~52.82 (없음종교) 있음 1.26 0.98~1.61 1.38 0.82~2.31 1.51* 1.19~1.91 1.27 0.76~2.11 1.65** 1.27~2.14 1.06 0.63~1.81

건강요인

(나쁘다건강인식) 그저 그렇다 0.78 0.55~1.10 1.01 0.53~1.92 0.83 0.59~1.16 1.56 0.83~2.92 0.84 0.58~1.21 2.16* 1.13~4.12 건강하다 0.84 0.61~1.16 1.08 0.55~2.14 0.75 0.55~1.02 1.85 0.94~3.61 0.93 0.66~1.30 2.91* 1.47~5.78 만성질환(있음) 없음 0.98 0.70~1.35 0.44 0.16~1.23 0.83 0.60~1.14 0.61 0.23~1.64 0.65* 0.46~0.93 1.03 0.38~2.79 일상생활도움

(도움필요) 완전자립 1.55* 1.02~2.34 1.29 0.72~2.31 1.53* 1.03~2.27 1.83* 1.03~3.29 4.61** 2.74~7.78 2.61* 1.39~4.91 인지기능(저하) 정상 1.17 0.86~1.57 0.98 0.55~1.76 1.76** 1.31~2.36 1.20 0.68~2.14 1.55* 1.12~2.16 1.70 0.94~3.07

비동거자녀와

연락빈도 월 1회 이상 0.88 0.46~1.67 1.04 0.42~2.61 0.98 0.52~1.86 2.59* 1.03~6.54 0.82 0.40~1.67 2.34 0.85~6.42 주 1회 이상 1.04 0.58~1.89 1.63 0.73~3.67 1.44 0.80~2.61 4.88** 2.14~11.09 1.31 0.68~2.51 4.34* 1.76~10.67

Ⅳ. 고 찰

본 연구에서 남성과 여성 노인의 흡연은 상당한 차이를 보였는데, 남성 노인 의 24%가 흡연을 하였으며, 여성 노인의 3%가 흡연을 하였다. 이러한 남녀 흡연차이는 OECD통계에도 나타나는데 우리나라 남성 흡연율은 40.8%인 반면 여성 흡연율은 5.2%를 차지했다(보건복지부, 2011). 가구형태별 금연 실천의 두드러진 특징은 노인독거가구에서 금연 실천이 가장 높게 나타난 점으로, 이 는 유배우자노인이 무배우자노인에 비해 금연 실천이 높게 나타난 기존 연구 (김진구, 2011)와는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이를 다시 남녀별로 분석해 보면, 남성은 노인독거가구에 비해 나머지 가구유형에서 금연 실천이 높았고, 여성 은 노인부부가구와 기타노인가구에서 금연 실천이 높았다. 가구형태가 금연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남성은 가구형태가 금연 실천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여성은 노인독거가구에 비해 노인부부가구에서 금연 실천이 2.1배 높게 나타 났다(OR=2.143, p=0.03). 본 연구에서 가구형태는 여성의 흡연을 낮추는 중요 한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나, 남자와 여자 모두 독신가구형태는 흡연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김영주(2009)의 연구와는 차이가 있었고, 기타 가족동거노인에 비해 독거노인의 여성흡연율이 1.40배 높게 나타난 김혜경과 배상수 (2004)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흡연율이 높았던 남 성독거노인의 흡연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 져야겠고, 여성 노인은 독거노인가구에 비해 노인부부가구의 금연 실천이 2배 이상 높은바 여성 독거노인의 흡연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고 본다.

남성 노인의 과음주는 전체의 33%, 여성노인의 과음주는 전체의 2%로 음주 역시 기존연구(조유향, 2009)와 마찬가지로 성별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여성노인은 남성노인에 비해 비음주와 적정음주가 높고, 과음주가 낮았다. 가

구형태별로 남성의 과음주율은 노인부부가구에서 높게 나타났고, 여성은 노인 독거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노인가구형태가 비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 면, 남성은 가구형태가 비음주 실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여성은 노인독 거가구에 비해 노인부부가구에서 비음주가 높게 나타났는데(OR=3.05, p<0.001) 이는 배우자유무와 자녀동거유무가 음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연 구(김진구, 2011; 이상매, 최수일, 2012)와 차이가 있고, 혼자 사는 여성이 다인 가구에 비해 과음주율이 1.8배 높았던 김영주(2009)의 연구와는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한편 노인가구형태가 적정음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남성은 노 인독거가구에 비해 자녀동거노인가구와 기타노인가구에서 적정음주가 높게 나 타났으며(OR=2.25, p=0.001, OR=2.96, p<0.001), 여성은 노인독거가구에 비해 노인부부가구에서 적정음주가 높게 나타났다(OR=2.30, p=0.006). 본 연구 결과 를 토대로 여성에 비해 월등히 높은 남성의 음주율을 낮추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겠고, 여성은 노인독거가구의 높은 과음주율을 낮추기 위한 노 력과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음주는 피할 수 없다면 적당하게 마 시는 것도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인데, 음주에 대한 기존의 연구 는 음주여부를 단순히 ‘음주함’, ‘안함'으로 이분화한 연구가 대부분으로(김영 주, 2009; 이정찬 등, 2010; 김진구, 2011) 이는 적정음주를 고려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음주여부를 ’비음주‘, ’적정음주‘, 그리고 ’과음주‘로 구분하여 가구형태별 음주 행태를 좀 더 자세하게 분석할 수 있었고, 가구형태별로 29~30%에 해당하는 남성 과음주군을 적정 음주군으로 유도하는 적극적인 노 력이 필요하리라 본다.

영양관리는 남녀 모두 다른 가구형태에 비해 노인독거가구에서 유의하게 낮

나타났다(p<0.001). 이정찬 등(2010)의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이 가족독거노인에 비해 아침식사를 하는 비율이 0.37배로 낮게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 영양관 리는 질병에 따른 음식조절여부, 하루식사1~2번, 과일, 채소유제품 거의 먹지 않음, 치아가 약하여 음식을 못 먹음, 돈이 없어서 음식을 못 사 먹음, 거의 매번 혼자 식사, 의도하지 않은 체중변화의 7가지 항목을 점수화하여 분류하 였기에 결과를 비교할 수 없으나, 독거노인이 동거노인에 비해 영양관리 위험 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노인독거가구가 다른 가구유형에 비해 영양관리가

나타났다(p<0.001). 이정찬 등(2010)의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이 가족독거노인에 비해 아침식사를 하는 비율이 0.37배로 낮게 나타났는데, 본 연구에서 영양관 리는 질병에 따른 음식조절여부, 하루식사1~2번, 과일, 채소유제품 거의 먹지 않음, 치아가 약하여 음식을 못 먹음, 돈이 없어서 음식을 못 사 먹음, 거의 매번 혼자 식사, 의도하지 않은 체중변화의 7가지 항목을 점수화하여 분류하 였기에 결과를 비교할 수 없으나, 독거노인이 동거노인에 비해 영양관리 위험 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노인독거가구가 다른 가구유형에 비해 영양관리가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