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齒科專攻醫 修練敎育 現況

Ⅲ. 齒科醫師 養成‧供給 現況과 改善方向

2. 齒科專攻醫 修練敎育 現況

가. 齒科 專攻醫 修練敎育 實態

치과전문의 자격 취득을 위한 齒科 專攻醫 修練敎育 課程은 1962년 수립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첫 치과전문의 자격시험이 시행되지 못 한 채 무기한 연기되어 현재까지 齒科 專攻醫 修練敎育 課程은 齒科 專門醫 資格 인정을 위한 법적 근거없이 운영되어 왔다.

1997년 현재, 치과 전공의 수련교육은 60개 의료기관(11개 치과대학 병원, 49개 의과대학부속병원 및 종합병원내 치과)에서 실시되고 있으 며 수련기간은 대체로 ’구강외과’(4년)를 제외하고 일반 임상수련(인 턴)과정을 포함하여 3년이며 일부 수련기관에서는 ‘교정과’와 ‘구강악 안면방사선과’의 수련기간을 4년으로 하는 경우가 있다.

최근 3년간 齒科 專攻醫 修練敎育 課程 履修 現況을 보면〈表 Ⅲ-4〉

와 같다. 치과의사 면허취득 후 활동현황은 크게 전공의 수련교육 과 정을 이수하는 경우, 곧바로 진료를 행하는 경우, 그리고 軍服務(또는 공중보건의)로 대별되었다.

동 표에서 치과대학 졸업후 수련교육 과정을 이수하는 비율은 1995 년 치과의사 면허취득자의 34.1%, 1996년 35.3%, 1997년 26.0%이다.

修練敎育 課程 履修없이 곧바로 진료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은 1995년 19.2%, 1996년 20.8%, 1997년 36.8%이다. 1997년의 경우, 전년도에 비 하여 곧바로 진료활동에 참여하는 비율이 높게 나타난 이유는 外國 修學 인력의 경우 국내 齒科 專攻醫 修練機關과 연계가 없어 치과의 사 면허취득 후 곧바로 진료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表 Ⅲ-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1997년에 외국수학 인력의 합격자가 전년도에 비하 여 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表 Ⅲ-4〉 齒科醫師 免許取得後 修練敎育 課程 履修現況 (1995~1997年)

(단위: %) 수련과정

이수

수련과정 미이수

군복무‧

공중보건의

계 (총면허취득자수)

1995 34.1 19.2 46.7 100.0( 745)

1996 35.3 20.8 43.9 100.0( 691)

1997 26.0 36.8 37.2 100.0(1,027)

資料: 대한치과의사협회 내부자료, 1997.

치과 전문과목은 1962년 이후 分科化되어 진행되어 왔으나 1982 년 「專門醫의 수련 및 자격인정에 관한 규정」을 개정하여 구강외과, 치주과, 보철과, 교정과, 소아치과 등의 5개 전문과목으로 명시, 규정 되었다. 1995년에는 기존 5개 專門科와 치과보존과, 구강병리과, 구강 내과, 예방치과, 구강악안면방사선과 등으로 세분화되어 현재 치과 전 문과목은 10개 科目化되었다.

〈表 Ⅲ-5〉에서 1997년 전문과목별 專攻醫 任用現況 및 修練課程 履 修現況을 보면 레지던트 1년차의 경우 ‘구강외과’가 20.5%로 가장 많 으며 그 다음이 ‘교정과’로 19.2%, ‘보철과’ 17.9%로 나타났다. ‘보철 과’와 ‘교정과’는 현 醫療保險酬價體系에서 비급여 진료항목이 대부분 을 차지하고 있는 전문과목이다. 현재 전문과목별 치과전공의 정원 및 책정기준은 수련기관별로 표준화되지 못한 상태에서 임의적으로 책정되어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專攻醫 定員이 특정 診療科에 편중될 수 있는 소지를 가지고 있다고 보겠다.

동 표에서 修練年次別 履修者 現況을 보면 치과대학 졸업 후 전공 의 첫과정인 인턴임용자는 396명이나 레지던트 2년 課程을 이수하는 者는 211명에 불과하여 이수과정 중 절반정도는 중도에 포기하는 경 우가 많음을 발견할 수 있다. 1996년의 경우 역시 인턴임용자는 338

명이었으나 레지던트 2년 課程을 이수하는 者는 210명에 불과하여(대

장 많으며 그 다음이 ‘보철과’로 18.8%, ‘교정과’ 16.1%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