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敎育情報化 現況

Ⅳ. 關聯部門 情報化 現況 및 最新情報技術 動向

1. 敎育情報化 現況

情報化社會를 능동적으로 대비하고 情報化社會에 적합한 인재양성 을 통하여 교육의 國際競爭力을 향상시키기 위한 敎育情報化를 추진 하기 위하여 1996년 7월 敎育部에 敎育情報管理局이 신설되었다.

情報化促進 10대 중점과제 중 현재 敎育部에서는 ‘정보사회 인재육 성을 위한 교육정보화 기반 구축’과 ‘지식기반 고도화를 위한 학술‧연 구정보 이용환경 조성’에 관한 ‘敎育情報化促進施行計劃(1996~2000)’

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가. 學校情報化 現況 1) 初‧中等學校

다가올 情報社會에 효율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하여 교육용 및 교사용 컴퓨터 보급, 교육정보자료의 개 발과 보급은 물론 교육을 통하여 초‧중등학교의 정보화를 추진하고 있다. 1995년 3월부터 지역간, 계층간의 교육격차를 해소하고자 강원 도 홍천군 내촌초등학교를 중심으로 遠隔敎育示範學校를 운영 중이 며, 무궁화위성 방송채널을 활용하여 1997년 8월부터 학교교육의 보 완 및 정상화 유도 그리고 교육의 균등화를 실현하고자 衛星敎育放送 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교육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교수법 및 학습방법과 행정절차 등을 조기에 정착시킬 수 있는 敎育情報化關 聯 法令 및 制度의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敎育情報資料의 개발 및 보급을 위하여 1996년 12월 한국교육방송원 의 부설기관으로 ‘멀티미디어교육지원센터(Korea Multimedia Education Center)'를 설립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1996년 9월 敎育情報綜合서비 스시스템 ‘에듀넷’을 개통하여 가상교육실시, 교육정보제공, 교육상담, 교육행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情報技術의 활용교육을 강화 하기 위하여 컴퓨터관련 교육과정을 강화하고, 정보교육 담당교원의 양성과 교원들을 대상으로 연수를 실시하고 있으며 1990년부터 1996 년까지 34만여 교원들 중 약 78%의 교원을 대상으로 情報化 硏修를 실시하였다.

2) 大學校

국내‧외 最新情報를 신속하게 제공함으로써 학술연구의 질을 향상

시키고, 학술정보 데이터베이스구축과 尖端情報通信支援體制의 구축 으로 대학의 정보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위하여 대학내 관련데 이터베이스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전산망을 구축하고 각급 학교 및 기관들간의 超高速情報通信網 연결을 추진하고 있다.

1996년말 현재 82개 대학이 광케이블(FDDI, 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과 비동기전송방식(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으로 전 산망을 구축하고 있다. 국가기간 5대전산망의 하나인 敎育電算網에 專用回線을 이용,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방식으로 연동하여 1996년말 현재 총162개 기관이 접속하고 있으며, T1급(통신속도: 1.5444 Mbps) 2개회선으로 교육전산망센터와 미국간의 해외망에 연결하고 있다.

1996년 12월 학술진흥재단 부설로 첨단학술정보센터를 설립하여 국 내‧외 최신 자료의 체계적인 수집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학술연구 수 준의 향상을 위한 素材情報를 제공하여 분야별로 특성화된 데이터베 이스구축 및 중복연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진행중인 연구에 관한 정 보제공의 역할과 기타 교육 및 훈련을 담당하고 있다.

나. 敎育情報化 活用 現況

1) 敎育情報 綜合서비스시스템: 에듀넷

1996년 9월 개통한 敎育情報綜合서비스시스템 ‘에듀넷'은 현재 교육 정보제공, 교육정보교환, 교육상담, 초고속통신, 교육행정지원, 사용자 관리 및 지원서비스 등 6개 유형 48개 분야의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구축되어 현재 약 9만 5천명이 가입하여 각기 필요한 敎育情報서비스 를 이용하고 있다. 敎育部는 학생들이 언제 어디서나 자신에게 필요 한 학습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에듀넷에서의 假想敎育(Cyber Education)

을 추진하고 있다.

假想敎育이란 에듀넷과 같은 假想空間에서 假想學校를 개설하고 전 자교과서 및 각종 교수‧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학생의 自 己主導的 학습을 말하는 것으로 쌍방향주문형학습(EOD, Education on Demand)시대를 구현할 새로운 교육형태로 각광받고 있다.

에듀넷을 통한 假想敎育은 현재 한국교육방송원부설 멀티미디어교 육지원센터에서 추진 중이며 가상학교 개설, 전자교단시스템 구축, 평 생교육정보서비스, 에듀넷 교육상담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 다 양한 민간개발 정보를 확보하고 관련 교육사이트와 연계하여 활용도 를 높여갈 계획이다.

假想敎育을 위하여 먼저 에듀넷에 假想學校를 개설하고, 단계적으 로 초‧중‧고등학교 전학년 電子敎科書를 개발하며, 에듀넷에 탑재 및 CD롬으로 제작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대학수학능 력평가 대비를 위한 영역별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하고 교과 별로 전자교과서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전자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할 것이다.

앞으로 에듀넷의 가입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일선 학교현장 뿐 아니라 학부모, 학생들의 활용이 높아져 假想空間을 통한 假想敎育이 확산되면, 학생이나 학부모의 교육수요가 實時間으로 충족될 수 있으 므로 교육관련 정보를 얻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획기적으로 줄 어들게 될 것이다. 또한 누구나 敎育關聯情報를 쉽게 찾고 공유할 수 있으므로 敎育情報의 공유도와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다.

2) 大學 등에 의한 敎育情報化

假想學校는 에듀넷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기관에서 개 설할 수 있으며, 현재 삼성데이터시스템이 지원하고 서울대학교 사범

대학이 개발중인 인터넷 스쿨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인터넷 스쿨은 매년 약 10억원씩 1996년부터 2001년까지 55억원을 투자하여 고등학교의 14개 교과목을 웹페이지 형식으로 개발하고 학 습평가자료, 학습질문방, 상담, 전자게시판 등을 운영하여 학생, 학부 모, 교사등 누구나 필요한 학습자료를 얻고 통신망을 통한 自己主導 學習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유니텔을 통하여 서비스될 인터 넷 스쿨은 올해 고등학교 국어, 지리, 수학, 생물, 물리과목을 示範 서 비스할 예정이다.

인터넷을 통한 학습자료 제공 사례로서는 지난 6월 10에 개통한 공 주대학교의 공통과학 사이트(http://science.kongju.ac.kr), 한국교육개발원 의 MALSM(http://malsm.solvit.co.kr/malsm/), 서울시 과학교육원 사이트 (http://www.sise.or.kr)를 비롯하여 여러 대학과 연구기관들이 학습자료 를 인터넷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외국의 경우에도 미국의 NASA를 비 롯한 대학, 연구기관 등은 물론 개인의 홈페이지에서도 다양한 학습 자료를 얻을 수 있다.

최근에는 몇 개의 PC통신회사나 CD타이틀 개발회사들을 중심으로 온라인 개별학습 프로그램이나, 인터넷 假想學校가 개설되어 있으며 敎育部가 제도적 준비를 끝냄으로써 1998년부터는 ‘假想大學(Cyber University)’이 개교될 것으로 보여 通信網을 통한 학사학위 취득이 가 능한 시대가 되었다.

다. 敎育情報化를 위한 情報技術 活用方案 1) 인터넷의 敎育的 活用方案

인터넷의 敎育的 活用方案을 살펴보면, 크게 인터넷의 커뮤니케이 션 道具的인 側面을 주로 교육에 활용한 방안과 인터넷이 접속할 수

있는 엄청난 양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는 방안, 그리고 이 두 가지를 모두 적절히 활용한 방안 등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커뮤니케이션 道具的 活用은 주로 교실과 교실, 학교와 학교를 연 결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이 다. 이 경우 많은 부분의 학습은 오프라인(off-line)에서 이루어지며, 학 생들은 오프라인 학습의 과정이나 결과를 인터넷 통신을 이용하여 다 른 학교나 다른 학급의 학생들이나 전문가들과 함께 토론하고 공유하 는 형식을 취한다.

웹 사이트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방식은 기존 수 업활동의 보충으로 학습자료를 제공하거나, 새로운 학습내용의 도입 및 습득을 위한 시뮬레이션학습 등이 이에 해당한다. 한편 이 두 가 지 방안을 연계한 방안은 완전한 코스를 온라인에서 遠隔으로 제공하 여 학습자가 기존의 교육기관과의 연계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假想學校 또는 假想大學과 같은 遠隔敎育 형태 이다. 다음에서는 각 범주에 해당하는 사례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가) 커뮤니케이션 道具로서의 活用

인터넷의 강력한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교육에 창의적으로 도입한 많은 프로그램들이 이미 선진국의 초‧중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시행되 고 있다. 다음에 이 사례들을 살펴보자.

글로벌 스쿨하우스 프로젝트(Global Schoolhouse Project)와 키즈넷 프 로젝트(Kids Net Project)

美國 과학재단이 후원하는 글로벌 스쿨하우스 프로젝트는 ‘CD-See Me’라는 라이브 비디오를 이용하여 美國과 英國의 5학년에서 8학년 학생들을 연결하여 공동으로 환경연구를 수행하였다.

미네소타 학교 인터넷(InfoMNs) 프로젝트

美國의 많은 주에서 고등학교에서의 인터넷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가 미네소타 주의 ‘미네소타 학교들을 위한 인터넷(InfoMNs, Internet for Minnesota's School)’ 프로젝트이다. 예를 들어 이 주의 이건고등학교는 인터넷에 동시에 250명이 접속 가능한 인프라를 갖춘 ‘未來學習’의 전형적인 디자인을 구현하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인터넷 기능은 電子郵便이며, 이 학교의 학습 과정에서는 상업 과목에서 외국어, 과학 및 실과 과목에 이르기까지 두루 인터넷을 硏究 道具로 활용하고 있다. 한편 교사들을 위한 중요 한 인터넷 자원으로 K-12까지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친숙한 방식으로

美國의 많은 주에서 고등학교에서의 인터넷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사례가 미네소타 주의 ‘미네소타 학교들을 위한 인터넷(InfoMNs, Internet for Minnesota's School)’ 프로젝트이다. 예를 들어 이 주의 이건고등학교는 인터넷에 동시에 250명이 접속 가능한 인프라를 갖춘 ‘未來學習’의 전형적인 디자인을 구현하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인터넷 기능은 電子郵便이며, 이 학교의 학습 과정에서는 상업 과목에서 외국어, 과학 및 실과 과목에 이르기까지 두루 인터넷을 硏究 道具로 활용하고 있다. 한편 교사들을 위한 중요 한 인터넷 자원으로 K-12까지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친숙한 방식으로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