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其他 學術分野 精神分析的 映畵理論의 諸類派

문서에서 1. 영화‘羅生門’ 의 줄거리 (페이지 27-30)

1950년대 까지 정신분석적 영화비평계의 주류는 임상진료를 통해 풍부한 경험을 가진 정통정신분석학파 분석가들과 정신과의사들이 이루고 있었다. 분석심리학파 (Jungian school) 이론에 영향받은 영화비평가도 소수 있었지만 이들은 대개 영화에 서 archtype양태를 찾으려는데에 주력했던 나머지 특별한 업적을 일구어 내지 못하였 다(Greenberg & Gobbard, 1990).

학술적인 영화이론과 영화비평의 중심은 1950년대와 1960년대 프랑스 영화학술 지‘영화 노트북’(Cahiers du cinema)이어서 여기를 통해 많은 인사가 배출되었다.

이들 대부분은 분석가가 아니며 단지 책으로서만 정신분석이론에 접해 본 인문과학분 야 인사들로서, 이들이 쓴 글이 1970년대에 영어로 번역되어 미국과 영국 영화비평계 에 큰 영향을 주었었다. 반면 이들을 보는 정신분석계의 눈은 곱지가 않아 툭하면 이들 의 결점을 들고 있다. 그 결점이란 이들의 이론이 피상적이고, 이론면에서 순박하며, 방 법론이 비과학적이고 또 채 정립되지 못하였고, 실제 영화내용과는 동 떨어진 것을 붙 잡고 횡설수설하며, 다른 인문과학분야 이론을 빌려와서는 제것 처럼 떠든다는 것이다.

이‘Cahiers’ 그룹은 뒤에 크게 맑시습(Marxism), Levy Strauss의 구조주의(St-ructuralism), 기호학(記號學, semiotics), 여권주의(feminism), 소위 Lacan학파이론 의 영향을 받아 잘개 쪼개지게 되었다. 이런 소집단 가운데 그래도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이 Lacan학파인데, 분석적 비평계와 정신분석계에서는 영화에 관한 Lacan의 이론 이 난해하고, 어느 한 용어를 경우에 따라 다른 의미로 쓸 때가 많아 애매하다고 말한 다. 이 분야 Lacan학파 수제자는 Christian Metz다. 그리고 한국서는 金鍾柱가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Lacan이 말하는‘거울단계’(mirror-stage),‘상상계’(the Ima-ginary),‘상징계’(the Symbolic),‘봉합’(suture)같은 몇가지 용어와 이론은 참고 할만 하기때문에 여기서 소개하겠다.

Lacan은 영화관람심리의 원형을 어린시절 생후 6~18개월 때 거울에 비친 자기 모 습을 보는 심리상황에서 찾는다. 이때의 아이는 자기 모습을 실제의 자기 생김새보다 더 그럴듯하게 보아 그것을‘통합된 자기 개념’(a unified self concept)의 원기(原基, anlage)로 경험한다. 그리고 이‘잘못 인식된 자기’에 대한 극도의 양가감정(ambi-valence)을 갖게 되는데, 이는 자기의 이상상(理想像)이 거거 있으니 사랑한다는 것 이고, 그러나 자기 몸 밖에 그것이 있으니 미워한다는 말이다. 이런 시기를 Lacan은 발달론적 입장에서‘거울단계’(mirror-stage)라 명명하였다. 그리고 이런‘잘못된

인식’이 생겨나는 것을 자기가 어머니와 더 없이 행복하게 합쳐 있다는 신생아의 대 양감(大洋感, oceanic sense)에 기초를 둔‘상상계’(想像界, the Imaginary)의 지배 를 받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어른이 되어 영화를 볼 때 사람들은 부지부식간에 자기가 마치 영화 주인공인 것처럼 빠져드는가 하면 한편으로는 그것을 보고 즐기는데에 열 중하는 양극현상을 경험하는데, 바로 그런 양극현상의 기원이 자기와 남을 구별 못하 는‘거울단계’, 에서 있던 양가감정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영화관객은 스스로를 노출증 환자(exhibitionist)와 관음증환자(vogeur)로 만들어 이 사이를 오가는 심리에 있다.

어린아이는 커가면서 말을 하게 되는데, 이로서 그는‘상징체계’(象徵體系, sym-bolic stage)에 들어선다. 또 이런 언어구사능력이 튼튼히 토대를 잡는 시기가 바로 에디프스기(oedipal stage)와 일치하기 때문에‘상징체계’, 에디프스 콤플렉스, 언어 체계(the order of language)간에는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상상기’(想像期, the Imaginary stage) 생성된 영상(images)은 아이 머리속에 그대로 잔존하며,‘상징계’

(象徵界, the symbolic)가 이제 이들 영상을 조정하며 또 그 영상에서 의미를 뽑아낸 다. 영화를 자세히 보면 거기에 나오는 여성들은 우리가 현실에서 보는 그런 여성들이 아니라 청순하거나 가련하거나, 아니면 성적 매력에 넘쳐 있어 남성들을 자극하거나, 또 아니면 무섭거나 추잡하게 나온다. 즉 자기 문제에 사로잡힌 상태에 있는 남성들이 보고싶어하는대로의 여성들이 영화 주인공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고, 특히 성적(性的) 대상으로서 나오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관객인 남성들은 이를 즐기면서도 거세불안 (castration anxiety)을 경험하는데, 이런 현상이 실은 관객 자신들 어린시절의 상징 체계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봉합’(suture)이란 꼬맨다는 의학용어에서 따온 말로서, 필름을 짜르거나 편집하 는데서 생기는 자연적인 영화이야기 속 공백을 관객 스스로가 카메라에 비친 애매모 호한 그 어떤 영상을 자기 식으로 해석해 의미를 부친 것을 가지고‘꼬매서’ 메운다는 것을 뜻한다. 마치 임상심리검사의 하나인 TAT검사(主題統覺檢査, Thematic apper-ception test)에 나오는 모호한 그림을 보고 피검사자 스스로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것에 비유할만한 현상이다. 관객은 필림에서는 없는 것을 있다고 보고, 또 현실세계에 서는 그런 사람이 없는 영화 속 인물을 마치 실존했거나 실존하는 인물로 본다. 심지 어는 주인공을 자기 자신으로도 본다. 즉‘부재’(不在)를‘존재’(存在)로 받아드린다 는 것인데, 이 모든 것의 근본이 위에서 말한 바 처럼‘거울단계’ 심리에 있다는 것이 다(Greenberg & Gabbard 1990;金鍾柱 1995).

좌우간 Lacan식 정신분석적 영화비평은 독특한 용어가 많은데다 남성만을 관객으 로 치부해 툭하면 나오는‘거세’와‘물품음난화’(fetishization)소리에 대다수 정신분 석가들은 편협하고 난해하다고 고개를 젓는다. 金鍾柱(1995)의 논문도 알기쉽게 영 화 한 둘을 예(例)로 들지않아 이해가 어렵다.

References

金尙俊(1996). 프로이트와 영화를 본다면. 서울:집현전, pp.30-44.

金聖坤(1994). 김성곤 교수의 영화에세이. 서울:열음사, pp.299-303.

金鍾柱(1995). 男性의 症候로서의 女性:Jacques Lacan의 영화이론을 중심으로. 임 상예술, 8(1):73-84.

비워터 T, 소벅 T(?). Film criticism. 이영관외 역, 영화비평의 이해. 서울:영화언 어, 1994

趙斗英(1985). 臨床行動科學, 서울:一潮閣, pp.333-334.

趙斗英(1997). 映畵 피아노의 分析. 1997년 4월 25일, 제주시에서 개최된 대한신경 정신의학회 춘계학술대회 구연발표.

Althofer, B.(1994). The piano, or Wuthering Heights revisited, or reparation and civili-zation through the eyes of the(girl) child, Psychoanal. Rev., 81(2):339-342.

Benton, R.J.(1995). The return of the projected:some thoughts on paranoia and a recent trend in horror films-Psychoanal. Rev., 82(6):903-931.

Brenner, C.(1976). Psychoanalytic Technique and Psychic Conflict. New York:IUP, pp.160-161.

Freud, S.(1916). Some Character-types Met with in Psycho-analytic Work. S.E., London:

Hogarth. 1957(16):325-331.

Gabbard, G.O.(1997). The psychoanalyst at the movies. Int. J. Psycho-Anal., 78:

429-434.

Greenberg, H.R & Gabbard, K.(1990). Reel significations:an anatomy of psycho-analytic film criticism. Psychoanal. Rev., 77(1):89-110.

McEwen, D.(1987). Hitchcock;an analytic movie review. Psychoanal. Rev., 74(3):

401-409

Peterson, C.A.(1991). Pornography and the primal scene:a report the voyage to brobdingnag. Psychoanalytic Review., 78(3):411-424.

Schneider, I.(1977). Images of the mind:psychiatry in the commercial film. Amer J Psychiatry, 134(6):613-620.

Schneider, I.(1987). The theory and practice of movie psychiatry. Amer J Psychiatry.

144(8):996-1002.

Wolfenstein, M & Leites, N.(1950). Movies;a psychological study. Glencoe, Illinois, Free Press, pp.175-242.

ABSTRACT

문서에서 1. 영화‘羅生門’ 의 줄거리 (페이지 27-30)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