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책임보험계약상 피해자의 직접청구권에 대해서는 ⅰ) 그 법적 성 질이 손해배상 청구권이라는 판례가 반복되고 있는데 이는 ⅱ) 책임 보험계약의 보험자는 피보험자의 손해배상채무를 (병존적으로) 인수 하였다는 의사표시(효과의사)의 의제가 그 논거를 한층 더 강하게 뒷 받침하고 있다. 필자는 ⅰ), ⅱ) 모두에 대해 반대의 견해를 지니고 있다. 앞에서 펼친 필자의 주장은 ⅰ)에 대한 반론도 있고 ⅱ)에 관 한 반박도 있다. 계약에 대한 국가제도(법률)와 그 해석은 사상의 표 현으로 경제의 흐름을 바꾸어 놓는다. 필자는 이 곳에서 의사해석의 원리, 외국의 입법례와 그 나라 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봄으로써 책임 보험계약상 피해자(제3자)의 직접청구권이 기대고 있는 외국의 예(특 히 독일 보험계약법), 효과의사의 의제(채무의 인수로 의제 등)가 오 류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영리보험에서뿐만 아니라 상호 연대의 사상 이 강한 상호보험회사의 경우를 보더라도 이는 같다. ‘한 사람은 만 인을 위하여, 만인은 한 사람을 위하여’ 라는 보험의 사상은 상호보 험에서 특히 강하다(Alfred Manes의 주장처럼). 상호보험에서 손해를 상호 보상한다든지, 연대사상에서 손해를 분담한다든지(손해보상이론 또는 상호연대이론 등 상호보험에 관한 이론) 하더라도71) 각 보험계

70) Warren J. Keegan/Mark C. Green, 최신석 외(역), Global Marketing, Sigma, 2011, 203면.

약자(피보험자)의 채무를 보험자가 인수한다는 주장은 없다.

필자는 가급적 성문법 규정과 의사해석의 원리에 어긋나지 않으려 노력하였으며 법경제학적 시도는 부수적인 論辨임을 밝힌다. 다만, 자유시장 경제의 발전을 위해 계약 당사자의 효과의사를 존중하고 상법의 개정이 이루어졌어도 그 취지를 논리적으로 비약시키는 해석 은 지양함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해석이 우리 사회의 풍요 와 기업의 발전(결과적으로 소비자의 보호와 만족의 달성), 일자리 창출에도 유용하다고 본다. 우리사회가 적절히 통합되고 화해하기 위 해서는 법치주의, 자유민주주의,72) 시장경제주의가 잘 정착하여 국민 의 경제생활을 풍요롭게 해야 할 것으로 믿는다. 중국의 개혁가였던 등소평은 “부유(풍요)한 것은 영광스러운 것”이라고 했다.73) 인류 역 사상 “사물(풍요와 번영)의 원인을 아는 것은 행복하다"(Felix qui potuit rerum cognoscere causas)”. 이는 적어도 우리나라의 법에서 성문법주의 기반위의 사적자치 존중의 해석으로 표현되어야 한다. 결 론적으로 대상 판결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책임보험계약상 피해자

71) G. A, Benkel, Der Versicherungsverein auf Gegenseitigkeit, C. H. Beck, 2002. SS. 44~47.

72) 어디나 자유주의와 민주주의는 도전을 받고 있다. 여러 이해관계로 쪼개진 사 회에서는 공통된 민주주의의 가치를 공유하기 어려울만치 어렵기도 하다(André Lecours/Luis Moreno, Nationalism and Democracy, Routledge, 2010, p. 38).

그리고 자유와 평등의 기본권이 拮抗하는 경우 더욱 그러하다(이 점에 관해서 는 Amatya Sen, Die Idee der Gerechtigkeit, C.H.Beck, 2012, SS. 318∼319 참 조). 우리가 자유를 소중히 여기는 까닭은 그 안에 우리 생애의 모든 것을 담 기 때문이다(Amatya Sen, 앞의 책, SS. 254∼255). 그리하여 어떤 정책을 펼 것인가는 쉽지 않다. 어쩌면 이는 민주주의의 영원한 과제로 남을지도 모른다 (David Salomon, Demokratie, PappyRossa, 2012, S. 127). 그러나, 아직 우리 사회는 양식있는 지식인의 노력과 법치주의 수호의 의지로 극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73) 펠프스,『대번영(Mass Flourishing)의 조건』, 열린 책들(2016), 455면.

(제3자)의 보험자에 대한 직접청구권은 피보험자의 피해자에 대한 배 상채무를 병존적으로 인수한 효과가 아니라 법정의 효과일 뿐이다.

그 직접청구권은 손해배상 청구권의 성질을 지니는 것도 아니고 보 험금 청구권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대법원의 태도에 반대한다.

❙ abstract ❙

Legal nature of direct claim of third party under liability insurance contract

- Supreme Court 2017.10.26 2015 Da 42599 -

Chun, Woo Hyun

There are several issues in this case, but this study focuses on the legal nature of direct claims of third parties in liability insurance.

How this is viewed will affect the duration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and the contents of the protest against a third party by the insurer. The theory of the right of claim for damages see that the insurer collectively has taken over the indemnity duty of the insured. Thus, the insurer and the insured bear the same debt and is called a solidarity debt. On the contrary, the theory of the right of claim for insurance money insists that the direct claim is only a claim for insurance money against the insurer. And the theory insists that the direct claim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right to claim damages for the assailant(the insured). Some decisions of our court are based on the former, and others are based on thd latter. In recent years, as in this case, the decisions are mainly based on the theory of former. It is very questionable whether the insurer has taken over the indemnity liability of the insured person.

So is that the insurer's debt to the victim is a indemnity liability.

The theory of the right of claim for indemnity insists that the liability insurance should protect the victim (third party) as much

as possible. However, this efforts should not be over. It should not interpret the direct claim beyond the legal regulations. Even if the importance of the protection of victims is more emphasized in liability insurance, it should stop at a reasonable limit. Victim protection is sufficient to allow him to claim directly to the insurer. Beyond this, it is the surplus of interpretation.

In addition, it is questionable if it meets global standards. The theory of the right of claim for indemnity insists that there are the same cases abroad(especially Germany), but it is not. In German compulsory liability insurance, there is no legal contents or the theory of the German scholar that the insurer has taken over the obligation of the insured person. But for exceptional cases, it is different from us in that they don't even permit direct claims of the victim in voluntary liability insurance. In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and Japan, direct claims themselves are either very limited or disallowed. The interpretation of the liability insurer's intention as having taken over the insured's debt is completely wrong. This has problems in the theories of civil law. The Commercial Act has no such contents of presumption or treating.

Under the liability insurance contract, I can not agree that the insurer has concurrently taken the indemnity duties of the insured person. And the direct claim of the victim is not a claim for damages and should be regarded as a claim for insurance money. I oppose the Supreme Court's opinion on this point.

❙ 참고문헌 ❙

<국내문헌>

단행본

고평석,『책임보험계약법론』, 삼지원(1990).

강위두·임재호, 『상법강의(하)』, 형설출판사(2004).

곽윤직,『채권총론』, 박영사(1994).

곽윤직,『채권각론』, 박영사(1996).

김동훈,『상법개설』, 한국외대출판부(2009).

김상용,『채권총론』, 화산미디어(2010).

김성태,『보험법강론』, 법문사(2001).

김용한,『채권총론』, 박영사(1988).

김일중·김두얼,『법경제학』, 도서출판 해남(2011).

김정호,『상법강의(하)』, 법문사(2005).

김홍기,『상법강의』, 박영사(2018).

김화진,『상법강의』, 박영사(2016).

박세민,『보험법』, 박영사(2017).

손주찬,『상법(하)』, 박영사(2005).

안강현,『기업법』, 박영사(2015).

양승규,『보험법』, 삼지원(2002).

이기수·최병규·김인현,『보험해상법』, 박영사(2015).

이태재,『채권총론』, 진명출판사(1981).

임용수,『보험법』, 법률정보센타(2016).

정경영,『상법학 강의』, 박영사(2007).

정동윤,『상법(하)』, 법문사(2011).

정동윤 등,『주석상법: 보험(Ⅱ)』, 한국사법행정학회(2015).

정찬형,『상법강의(하)』, 박영사(2008).

채이식,『상법강의(하)』, 박영사(2003).

최기원,『보험법』, 박영사(1998).

최기원,『상법학신론(하)』, 박영사(2012).

펠프스,『대번영(Mass Flourishing)의 조건』, 열린 책들(2016).

논 문

강재철, “책임보험과 피해자인 제3자”, 해상·보험법에 관한 제문제 (하), 법원행정처(1991).

권기훈, “책임보험계약에 있어서 제3자의 직접청구권”, 아주법학(제12 권 제1호), (2008. 6.).

김동훈, “책임보험에 있어서 피해자의 직접청구권”, 오늘의 법률(1998.

11. 15).

김성태, “직접청구권의 성질과 시효”, 상사판례연구(제2권), (1996).

김성태, “직접청구권의 본질”, 보험법연구(제1권), (1995).

김은경, “자동차책임보험법상 피해자의 법적 지위-피해자의 직접청구 권과 자동차손해배상 보장기금에 대한 청구권에 대하여-”, 상 사법연구(제19권 제1호), (2000).

김인현, “한국과 미국의 선주책임상호보험에서의 직접청구권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한국해법학회지(제28권 제1호), (2006).

문병일, “보험자에 대한 직접청구권의 법적 성질”, 한국해법학회지(제 32권 제2호), (2010. 11.).

박세민, “책임보험상의 직접청구권을 둘러싼 법적 논점에 관한 고찰”, 안암법학(제27호), (2008).

박영준, “선주책임상호보험(P & I Insurance)의 법적 성질”, 중앙대 법학논문집(제30권 제2호), (2006).

박영준, “책임보험의 직접청구권의 법적성질”, 안암법학(제18호), (2004).

백지수, “해상책임보험에서의 직접청구권과 제3자 권리법에 관한 연 구”, 한국해법학회지(제40권 제1호), (2018. 5.).

서돈각, “자동차 손해배상 책임보험법상의 피해자의 직접청구권에 관 한 약간의 문제”, 법학의 제문제, 유민 홍진기 선생 화갑기념

논문집(1997).

서영화, “해상의 책임보험과 피해자의 직접청구권”, 한국해법학회지 (제28권 제1호), (2006. 4.).

이광복, “책임보험에 있어서 피해자의 직접청구권”, 법학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1996. 2.).

이연갑, “책임보험에 있어서 직접청구권과 상계의 효력”, 민사판례연 구(제24권), (2002).

임충희, “자동차책임보험에서의 피해자의 직접청구권에 대한 고찰”, 보험학회지(제37집), (1991).

장경환, “자동차손해배상책임보험에서의 직접청구권의 성질과 손해배 상청구권의 혼동”, 경희법학(제38권 제1호), (2003. 3.).

장덕조, “피해자 직접청구권과 피보험자 보험금청구권과의 관계”, 상 사법연구(제26권 제4호), (2008).

정경영, “피해자의 보험금 직접청구권”, 상사법연구(제18권 제2호), (1999. 10.).

정준영, “보험금 직접청구권의 법적 성질과 관련 법률문제”, 민사판례 연구(제29권), 박영사(2007).

정진옥, “직접청구권의 소멸시효와 기산점”, 상사판례연구(제7집), (1996.

4.).

최준선·김종호, “책임보험에 있어서 제3자에 대한 직접청구권”, 성균 관법학(제13권 제2호), (2001).

황경학, “피해자의 직접청구권에 관한 소고”, 인천법조(제2집), (1995).

<외국문헌>

岡田豊基, 現代保險法, 中央經濟社, 2010.

近見正彦, 海上保險史硏究, 有斐閣, 1997.

今井 薰 外, 保險海商法, 三省堂, 1994.

金澤 理 外, 新保險法と保險契約法理の新たな展開, ぎょせい, 2009.

大谷孝一, フランス海上保險契約史硏究, 成文堂, 1999.

潘 阿憲, 保險法槪說, 中央經濟社, 2010.

本間照光, 保險の社會學, 勁草書房, 2010.

西島梅治, 責任保險法 硏究, 同文舘, 1968.

石田 滿, 保險契約法の基本問題, 一粒社 1977.

小暮雅一, 保險の數學, 保險每日新聞社, 2010.

鈴木辰紀,, 新保險論, 成文堂, 2005.

田村詢之輔·平出慶道, 保險法·海商法, 靑林書院, 2003.

竹濱 修 外, 保險法改正の論点, 法律文化社, 2009.

Amatya Sen, Die Idee der Gerechtigkeit, C.H.Beck, 2012.

André Lecours/Luis Moreno, Nationalism and Democracy, Routledge, 2010.

Howard Benett, The law of marine insurance, 2nd ed., Oxford, 2006.

Leo P. Martinez/John W. Whelan, Insurance law, Thomson, 2006.

Malcolm Clarke, Policies and perceptions of insurance law in the twenty-first century, Oxford, 2006.

J. Birds, Modern Insurance Law, Sweet & Maxwell, 2007.

J. Lowry/P. Rawlings, Doctrines and Principles on Insurance Law, 2nd ed., Hart, 2005.

Malcolm A. Clarke, Policies and perceptions of insurance law in the twenty-first century, Oxford, 2006.

Oppenheimer Mercuro, Law and economics, M.E.Sharpe, 2005.

Paul Krugman/Robin Wells, 김재영·박대근·전병헌(역), Economics, 4th ed., Worth, 2015.

R. E .Keeton/Alan I. Widiss, Insurance Law, West, 1988.

Richand A. Mann & Barry S. Roberts, Business Law, 13th ed., West, 2006.

Warren J. Keegan & Mark C. Green, 최신석 외(역), Global Marketing,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