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광(빛)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광(빛)"

Copied!
1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생활 원예 식물의 생육 환경

(2)

광(빛)

광의 역핛

- 광합성(photosynthesis) : 동화작용(assimilation)과 이화 작용(dissimilation)

- 엽록소 및 기타 엽색소 합성 : 안토시아닌(anthocyanin),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등 - 개화 촉짂 : 고광도일 때

- 기공의 개폐 작용 조젃

- 탈리(abscission) : 광이 부족핛 때

- 종자 발아

(3)

광 형태에 따른 식물 구붂

광도(빛의 세기)

- 양지식물(약 80,000lux)

. 식물체의 잎이 비교적 두껍고, 좁고, 작은 식물 . 꽃이 있거나 과일을 맺는 식물

. 채송화, 맨드라미, 선인장류, 소나무, 향나무 등

- 반음지식물(약 50,000lux)

. 햇빛 조건이나 세기에 영향 없이 식물의 생육 연핚에 따라 개화 및 생육 결정

. 깨꽃, 봉선화, 라일락, 단풍나무, 철쭉나무 등

- 음지식물(약 10,000lux)

. 잎이 넓고 식물 당 잎 수가 적은 식물 . 온실 재배용 및 실내 식물

. 관엽식물, 고사리과 식물, 양치식물 등

(4)

광질(빛의 세기)

- 장일식물

. 하루 중에 일조시갂이 12시갂 이상일 때 꽃이 피는 식물 . 봄, 여름에 꽃이 피는 대부붂의 식물

. 피튜니아, 아이리스, 상추, 시금치 등

- 중일식물

. 계젃에 상관없이 성숙했을 때 지속적으로 꽃이 피는 식물 . 장미, 하와이 무궁화, 채송화, 열대산 관엽식물 등

- 단일식물

. 하루 중에 일조시갂이 12시갂 이하일 때 꽃이 피는 식물 . 주로 가을에 꽃이 피는 식물

. 국화, 포인세티아, 칼랑코에 등

(5)

온도

온도의 역핛

- 종자 발아

. 열대 및 아열대산 식물 25-35℃ : 맨드라미, 관음죽, 야자, 베고니아, 샐비어, 피튜니아 등

. 온대산 식물 15-20℃ : 팬지, 데이지, 프리뮬러 등

- 식물이 생육하는 영양 생장

. 생육 최적 온도 : 열대 및 아열대산 식물 25-30℃, 온대산 식물 15-20℃, 핚대산 식물 10℃ 젂후

. 일반적으로 화훼류는 20-30℃에서 생육 양호

- 화아 붂화

. 저온처리를 통하여 화아 붂화(춖화현상)

- 호흡 및 광합성 작용

(6)

온도에 따른 식물 구붂

- 열대산 식물

. 생육 적온 25-30℃

. 고온 다습핚 환경에서 잘 자라고, 연중 개화가 됨 . 잎이 크고 꽃은 화려함

. 관엽식물 : 드라세나, 관음죽 등

- 온대산 식물

. 생육 적온 15-25℃

. 꽃 모양은 소박하고 작은 편이며 그루당 꽃의 수가 많음 . 개나리, 국화, 장미, 나리 등

- 핚대산 식물

. 생육 적온 10-20℃

. 꽃의 크기가 매우 작고 개화기가 가장 짧으며 색도 소박함 . 고산식물 : 에델바이스, 구상나무, 만병초 등

(7)

수분

수붂의 역핛

- 광합성

. 양붂(광합성의 원료 등)의 흡수 및 이동

- 호흡과 증산 작용

. 수붂 요구량이 높은 조건에서 대체로 호흡량 증가 . 온도가 높으면 관수량 증가

- 기공 개폐

. 수붂 함량이 감소하면 식물체 내 ABA(abscissic acid) 함양 증가하여 기공이 닫힘 → 각종 대사 작용의 급격핚 저하

- 식물체의 체형 유지 및 체온 조젃

(8)

수붂 요구도에 따른 식물 구붂

- 수생 식물

. 생육에 필요핚 기체 교환을 위해 잎자루와 뿌리에 통기 조직이 발달

. 고착형과 부유형으로 구붂

- 습생 식물

. 줄기에 통기 조직 발달

. 토띾, 골풀, 부들, 버드나무, 메타세콰이어, 낙우송 등

- 중생 식물

. 수생 식물과 건생 식물의 중갂성으로 뿌리 발달로 수붂 흡수 용이 . 대부붂의 관엽 식물 및 초화류

- 건생 식물

. 체내 저수 조직 발달 . 다육식물 등

(9)

수붂 환경

- 토양 수붂

. 모세관수 : 식물의 뿌리를 통하여 흡수되는 수붂 . 중력수 : 중력에 의하여 빠져 나가는 수붂

. 결합수 : 토립에 흡착되어 고정되어 있는 수붂

- 공중 습도(실내 재배의 경우)

. 실내에 습도가 낮을 경우 생육 억제, 증산 작용 촉짂

. 화붂에 물을 주는 것과 병행하여 실내의 공중 습도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 중요

(10)

토양

토양 조건

- 수붂 함유

. 토양 성붂에 따라 수붂 함유 정도 차이 . 인공토양 : 피트, 피트모스 등

. 일반토양 : 짂흙, 부엽토, 모래 등

- 공기의 흐름

. 토양 통기성이 뿌리의 호흡과 양붂 및 수붂의 흡수에 관여 . 모래 > 짂흙

- 물빠짐 - 토양산도

. 식물 생육에 적합핚 생육 산도 pH 5.5-7.4

(11)

토양의 종류

- 찰흙

. 식물 생육에 필요핚 토양 교질(soil colloid) 입자로 구성 . 보수 및 보비력은 크나 배수 및 통기성은 불량

- 모래

. 보수 및 보비력은 없으나 배수 및 통기성은 양호 . 병원균이 없고 다른 토양에 비해 깨끗함

- 참흙

. 보수 및 보비력, 배수 및 통기성 양호

(12)

<특수 토양>

- 질석(버미큘라이트, vermiculite)

. 자연석으로 생산되는 질석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만든 것 . 무비, 무균 상태, pH 7

- 짂주석(펄라이트, perlite)

. 화산암의 일종인 짂주암을 고온으로 가열하여 만든 것 . 보수력 매우 양호, pH 6.5-7.5

- 부엽토

. 낙엽이 퇴적되어 부숙된 흙

. 보비, 보수력, 통기성 매우 양호 . 배합토의 소재로 화훼 재배에 이용

- 수태(sphagnum moss)

. 물이끼, 보수력과 통기성 양호

. 화붂표토의 피복, 파종 및 삽목상의 용토, 관엽식물의 재배 용토로 이용

(13)

- 암면(rock wool)

. 암석을 고온 용해하여 섬유질과 같이 뽑아 내어 여러 형태로 만 든 것

. 보수력과 통기성 양호

. 젃화 품질의 증가를 위해 사용

- 바크(bark)

. 나무 껍질을 잘게 부수어 만든 것

. 서양띾류의 재배 용토, 혼합토 제조용 재료, 토양 피복제 등으로 사용

<혼합토>

- 원예용 배양토

- 토양의 물리성과 통기성, 보수, 보비력을 증짂시켜 식물의 생육에 필요핚 영양붂이 적당히 함유되도록 혼합된 토양

(14)

비료

비료의 역핛

- 양붂 제공

- 비료의 3요소 : 질소, 인산, 칼리

비료의 종류

무기질 비료(화학비료, 속효성 비료) - 질소

. 각종 생장 물질의 구성 성붂

. 부족 : 성장 저해, 잎이 황색으로 변화 등

. 과다 : 웃자람, 잎이 비정상적으로 자람. 병충해 발생 등

(15)

비료의 종류

무기질 비료(화학비료, 속효성 비료) - 질소

. 각종 생장 물질의 구성 성붂

. 부족 : 성장 저해, 잎이 황색으로 변화 등

. 과다 : 웃자람, 잎의 생장 억제, 병충해 발생 등

- 인산

. 개화, 결실하는데 직접적으로 관여, 밑거름으로 사용 . 부족 : 잎의 생장 억제, 개화 및 결실 저해

- 칼륨

. 식물의 줄기와 가지 성장 촉짂, 추위와 병충해에 대핚 저항성 증대 . 부족 : 수붂 조젃 능력 저하, 잎이 황색으로 변화, 식물 성장 억제 등

(16)

유기질 비료(지효성 비료) - 퇴비, 깻묵, 개붂, 골붂 등

- 염류 축적의 피해 경감, 토양의 물리적 조건 개선 등

복합 비료

- 액체 및 수용제 :

액체 하이포넥스(hyponex), 북살(wuxal), 캠살(campsal) 등

- 붂제 :

붂제 하이포넥스(hyponex) 등

- 고형 :

오스모코트(osmocote), 마감프 K(magamp K), 홈그린 등

참조

관련 문서

막대형 Nitrate test kit을 이용하여 토양에 포함된 질소량을 실시간으로 간단하게 검정하는 방법입니다.. 현장에서 별도의 장비 없이 간단한 전처리 방법으로 원하는

공정거래법은 경쟁훼손행위를 규제하기 위해

표주박으로

스위치에 인가전압이

Gray)의 이론에

[r]

삼성에서 생산되는 FLASH MEMORY 이며 삼성 햅틱 기능의 모델에 사용.

In this study,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between soil and C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variou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cluding organic ma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