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허혈성 심장질환(Ischemic heart disease)] - myocardium은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허혈성 심장질환(Ischemic heart disease)] - myocardium은"

Copied!
10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허혈성 심장질환(Ischemic heart disease)]

- myocardium은 coronary artery에서 혈액공급을 받는다. Coronary artery의 장애가 생기면 심근 에는 ischemia가 생기거나 경색이 생긴다.

- 관련질환: angina pectoris, myocardial infarction 등이며, CAD(coronary artery disease), CHD(coronary heart disease), IHD(ischemic heart disease) 등으로 말할 수 있다.

- 관상동맥의 blockage는 partial하고 temporary한 경우(angina pectoris)와 complete한 경우 (myocardial infarction)으로 나눌 수 있다.

1. incidence

- coronary artery 질환은 미국과 서유럽의 사망원인 제 1위이다.

2. risk factors

- 허혈성 심질환의 원인: 관상동맥 혈관이 좁아지게 하거나 막히게 하는 죽상경화증

- atherosclerosis는 lipid metabolism 장애로 혈관의 내층(intima)에 fat-containing substance가 있고 smooth muscle cell이 증식

- 환경: 북아메리카와 유럽 등에 사는 사람이 일본, 이태리 등의 발생율보다 7배 많음 . 도시인>농촌인

1) 개인이 조절할 수 없는 위험요인

- 유전적 요인: 특히 부모 중 한사람이 CAD이었던 남성은 40-59세 사이에 치명적 CAD 가능성 높음( ex: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우성유전으로 조기에 관상동맥경화증 발생)

- 연령: 40세 이후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 - 성별: 남성이 여성에 4배의 발생율

. oral pill 사용 여성이나 menopause가 빠른 여성은 CAD 가능성 더 높다.

- 인종: 흑인이 백인보다 CAD로 사망할 가능성이 높다.

2) 개인이 조절가능한 CAD 위험요인 - 흡연: 흡연자의 CAD 발생율이 2배 많음

. tar; carcinogen

. nicotine; epinephrine과 norepinephrine의 secretion 증가 . CO2; 피의 산소 운반능력의 감소

- hyperlipidemia(cholesterol + triglyceride 농도로 측정)

. 정상:콜레스테롤(200mg/dl↓), LDL(130mg/dl↓), HDL(60mg/dl↑) 중성지방(200mg/dl↓)

. 콜레스테롤; 동물조직에서 발견되는 sterol로서 triglycerides와 단백질과 결합된 phospholipid와 결합하여 혈중에 순환된다.

. HDL이 높은 사람(LDL에 비교하여)은 HDL 비율이 낮은 사람보다 CAD발생이 적음  운동, 저 콜레스테롤 식이를 하면 혈중 HDL이 높아진다.

- 고혈압: 45세 이상의 남성으로 BP가 140/90mmHg이상이거나 여성으로 BP가 160/95mmHg이상이 면  50%의 mortality 증가가 있음

- 운동부족, 비만, 당뇨병, 정신적 스트레스, CRP, 고지방식이, 호르몬대체요법

(2)

- 호모시스테인: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혈중농도가 높으면 관상동맥질환 나타날 수 있음 . 유전적 소인 작용, 후천적으로는 비타민 B6나 B12 부족한 젊은 사람에게 많음 . 엽산에 의해 분해되므로 비타민이 함유된 녹황색 채소나 과일 섭취하도록 함 3. 원인: 죽상경화증

4. 병태생리

* 동맥경화증의 병리

- 동맥경화증(arteriosclerosis): 동맥벽이 비후, 변형, 경화되는 만성혈관병변을 말하며 넓은 의미로 동맥이 경화되는 것을 모두 지칭

-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 동맥경화증의 결절형(nodular type). aorta, cerebral artery, coronary artery에 가장 흔히 나타나는 폐쇄성 동맥질환

. 죽상경화증의 진행과정은 동맥벽의 지방선조(fatty streak) -> 죽종(athroma) or 섬유성 융기 (fibrous plaque) -> 병소의 복합적인 변화(complicated lesion: calcification, ulceration, 혈전형 성, 내막출혈, 동맥류 형성) -> 측부순환(collateral circulation)

. 죽상경화증의 발생기전은 아직 확실치 않으나 지질대사의 이상설과 내피세포 상해설 - 중막경화증(Monkeberg’s sclerosis): 동맥의 중간층에 calcium 축적으로 석회화 발생

. femoral, tibial, radial, ulnar artery 등 중간크기의 특히 하지동맥에 잘 생김, ring formation이 있으나 내막이 원상대로 유지되어 별로 임상적인 문제가 없다.

- 세동맥 경화증(arteriosclerosis): 직경 1mm 이하의 소동맥이나 세동맥이 장기간 고혈압이 진행됨 으로써 경화, 비후, 폐색되는 병변

5. 임상분류

- 안정형 협심증: stable angina

- 급성 관상동맥증후군(ACS, acute coronary syndrome)

① unstable angina

② acute MI

. NSTEMI(ST분절 미상승 심근경색증, Non-ST-elevated MI): unstable angina 환자 중 심근효 소치가 상승되면 이는 심근괴사의 증거이므로 이를 NSTEMI라 함, 보통 심내막하 손상

. STEMI(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ST-elevated MI): ST분절 상승은 보통 심근전층(심외막) 심근경색과 관련이 있으며 후에 이상Q파 출현

6. 협심증, angina pectoris 1) 정의

- 갑작스런 흉통을 특징으로 하는 임상증후군으로 관상동맥이 부분적으로 차단되어 심근의 요구 에 대해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여 허혈 상태가 되는 것, 가역적임

- 즉 일시적인 심근의 hypoxia에 의해 유발되는 통증 2) 형태

① 안정형 협심증(stable angina, effort angina): 허혈성 심질환의 초기단계에서 발생, 심한 신체 정신적 피로시에만 나타남. 대개 onset, duration, 통증의 강도 등이 안정되어 있다.

② 불안정형 협심증(Unstable angina, preinfarction angina, crescendo angina(4주 이내에 발생한

(3)

빈번한 협심증), intermittent coronary syndrome)

. 안정형 협심증과 급성심근경색증의 중간단계로 아주 위험한 협심증 . 예측할 수 없는 신체적, 정신적 피로에도 발생(수면 중에도 발생)

. 대개는 angina의 횟수, 기간, 강도가 점점 증가한다. 보통 20분 이상 지속되는 통증

. 백혈구 증가나 SGOT, CPK의 상승은 없으나 불안정협심증을 가진 대상자의 10-30%는 1년 이내에 심근경색증으로 이행함.

③ 이형성 협심증, 변이형 협심증(variant angina, Prinzmetals angina, 비특이성협심증) . 주로 휴식 때 나타나는데 동맥의 spasm이 주원인이다.

. unstable angina와 variant angina 구분은 어렵다.

. 흡연에 의해 악화되며 관상동맥질환 유무와 관계없이 발현 7. 급성 심근경색증 acute myocardial infarction, coronary occlusion

- 심근에 국소적으로 괴사가 생기는 것. 대개는 갑작스런 관상동맥 폐쇄에 의해 심근에 혈액공급 이 중단되었을 때 나타난다.

- MI attack이 반복되면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높아진다.

① 원인: 관상동맥이 죽상경화증으로 인해 혈전이 형성되어 그 결과 관상동맥이 완전히 폐 색됨으로써 그 이하의 심근이 괴사를 초래

② 종류

- Non-STEMI(ST 분절 미상승 심근경색증): NSTEMI와 UA는 둘다 플라그의 파열로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부분 폐색으로 혈류가 감소하지만 NSTENI는 UA와 달리 혈액지표의 변화와 지속적 인 ECG변화가 더 심하고 사망 위험이 높다

- STEMI(ST분절 상승 심근경색증): ST 분절 상승은 보통 전층심근경색과 관련이 있으며 후에 이상 Q파가 출현. 이상 Q파는 손상받은 근육기능의 영구적인 손상을 의미함. 만약 초기에 치 료되어 심내막하 세포손상만 있다면 이상Q파는 나타나지 않는다.

③ 병태생리

- 괴사층의 병리적 소견: 바깥층의 허혈성변화(ischemia, T파 편평 및 역위, 가역적), 중간층의 심근상해(injury, ST분절 상승, 가역적), 내측의 괴사층(necrosis, 이상Q파, 비가역적)

- 심근경색부위의 형태학적 변화

. 첫 6시간 후 경색부위가 푸르스름해지고 부종 . 48시간 후 호중구가 조직을 침범해 괴사세포 제거 . 8-10일: 괴사조직의 가장자리에 과립조직 발생

. 2-3개월: 괴사조직은 결국 수축되며, 얇고 단단한 반흔으로 되어 심장기능은 현저히 저하 - 흔히 괴저가 나타나는 부위:

. 좌전하행가지 폐색: 좌심실 전벽 혹은 중격 심근경색 발생, 좌심실부전과 심실부정맥 초래, 모든 심근경색 대상자의 25%로 가장 높은 사망율을 보임

. 회선동맥 폐색: 후벽 심근경색, 측벽 심근경색, 동성부정맥 발생 . 우관상동맥 폐색: 하벽 심근경색 발생

8. 증상

(4)

1) 통증

① 안정형 협심증

- transient, paroxysmal, precordial pain이 왼쪽 가슴과 왼쪽 팔 안쪽에 있다.

- 지속시간: 안정형 협심증인 경우 2-3분, 불안정형 협심증: 15분 이내

- 악화요인: 심한 운동 후, 식사 후, 추운 날씨나 습한 기후에 노출시, 정신적인 흥분, 심한 스트 레스 등 과로-통증-휴식-완화로 진행

- SAVENS: Sudden onset, Anterior chest, Vague discomfort, Effort precipitation, Nitrate effective, Short duration

- 휴식하거나 NG와 같은 혈관확장제를 쓰면 제거되는 통증

② 불안정형 협심증: 15-20분 정도, 휴식시에서 발생, 휴식이나 NTG에 의해 완화 안됨

③ 심근경색증: 30분 이상 지속되는 흉통, 휴식이나 NTG로 감소 안되고 마약성진통제에 의해서 는 완화, 팔과 가슴, 배, 등, 턱에 방사

- 15-25%는 통증이 없이 식은땀, 구토, 설사로 나타남(노인, 당뇨 환자)

- 호흡곤란: 심장 수축력 저하로 심박출량 감소, 폐울혈로 진행되어 호흡곤란 호소 - 오심, 구토, 불안

- 백혈구 증가, CRP(+), 발열(발병 24시간 이내 38도 정도의 미열) 2) 심장 증상: PVC를 동반한 동성빈맥,

- UA나 MI인 경우: 심박출량 감소로 인한 차고 축축한 피부, 맥박 감소 및 맥박 소실 - 심부전 증상으로 S3, S4, 호흡곤란, 수포음, 천명음

- 노인이면서 당뇨 환자(심근경색 대상자의 15-25%)는 흉부통증이 없거나 약하고 대신 소화불 량이나 호흡곤란만을 호소

9. 진단

① 병력: attack 양상을 자세히 기록해야 함

② 증상: 흉통(sensation, location, radiation, duration, relief 사정), 저혈압과 shock 발생, 의식 상실 등

③ EKG

- angina 환자의 25-30%는 정상 EKG, angina 증상이 있을 때 EKG를 찍으면 문제가 있는 혈 관의 위치, 심근장애의 정도를 사정할 수 있다.

- 심근경색증시 초기단계시 ECG상 reversed T wave(심근허혈)의 변화  심내막하 손상인 경우 ST 분절 하강, 심외막까지 전층 손상시 ST 분절 상승(심근손상)  Q파의 출현(급성 심근경색증 후 첫 24-48시간 후에 괴사 발생, 이상 Q파의 기준은 폭이 0.04초 이상이며 깊 이는 R파의 1/4이상, 심근괴사로 인한 것으로 영구히 남는다)

④ 심초음파 검사: 심근벽 운동의 이상 유무, 경색 크기 정량화, 심근의 수축력 관찰 등

⑤ 운동부하검사(Exercise stress EKG): treadmill이나 bicycle exercise하면서 EKG함. Maximal heart rate의 85%에 도달할 때까지 exercise를 증가하면서 검사

양성: 흉통이 발생, ST 분절이 1mm 이상 상향 혹은 하향될 때, 수축기혈압이 20mmHg 전후로 변동이 있을 때 양성

(5)

⑥ 관상동맥조영술(Coronary angiography): 협심증 진단에 가장 확실한 검사로, cardiac cath때 와 같다. Coronary artery에 관한 정보를 가장 잘 얻을 수 있다. Catheter를 coronary artery까지 넣고 dye를 넣어 혈행장애가 있는 혈관을 찾는다.

⑦ 심근조사(myocardial scintigram)

- Thallium-201 심근스캔: 경색 발생 후 초기 수시간 내에 경색부위에 냉점

- Technetium-tagged Pyrophosphate(99mTc): 경색된 심근부위에 흡수되어 온점으로 나타나 지만 발병 24시간 후에 반응이 시작되어 초기 진단으로는 사용 못함

⑧ 전자빔 컴퓨터 단층촬영(electron beam computed tomography: EBCT): 증상이 나타나기 전 에 관상동맥 혈전이나 칼슘 침착 등 혈관구조의 비정상을 확인할 수 있는 비침습적인 검 사

⑨ 효소 검사: Creatine phosphokinase(CPK), CK-MB(creatine kinase MB), LDH(lactic dehydrogenase), SGOT, 트로포닌 T or I(troponin T or I, 최근 새로운 진단지표)

Serum enzyme 증가시작 최대치 정상화

CK-MB(2-8IU/L) SGOT(8-30IU/L) LDH(49-140IU/L) Myoglobin Troponin

3-12시간 8-12시간 24-48시간 2시간 3-12시간

24시간 16-36시간 3-6일 3-15시간 24-48시간

2-3일 3-4일 10-14일 35시간 2주

⑩ 기타 혈액검사: 혈청 지질, CRP, 백혈구 검사, 알부민 코발트 결합검사(albumin cobalt- binding test: ACB)상병리검사: 혈청지질, CRP, 심장효소검사 등

10. 치료

1) 통증 사정: 통증 사정하고 흉통 완화를 위해 MONA(Morphine, oxygen, nitroglycerin, aspirin) 2) 약물치료: 중재의 목표는 급성 attack의 제거, 더 이상의 attack 예방

① 혈관확장제(질산염 제제, Nitrates제)

▪ NTG: 혈관확장제 중 1867년 이후 계속 사용됨.

- SL로 주면 1-2분에 효과가 나타남. Acute setting에서 IV(trigril)나 분무용으로 줄 수 있다.

- NTG는 혈관확장과 동시에 BP를 낮춘다  cardiac workload를 줄임

▪ patch형의 NTG: 피부에 접착시키면 직접 혈중에 흡수되어 24시간 지속적으로 혈관 확장  심근에 혈액과 산소공급

▪ Nitroglycerin 연고제: 피부에 바르면 4-6시간 유효. 야간성 협심증에 사용

▪ NTG 부작용: 반응성 빈맥, 저혈압, 두통, 얼굴 홍조, 실신, 뇌경색

② morphine sulfate: 급성 흉통, 불안, 공포 완화 위해 사용, 부작용으로 호흡감소, 저혈압, 서맥, 심한 구토 등 해독제로는 naloxone 0.2-0.8mg 투여

③ 교감신경차단제(ß-adrenergic blocker): Metoprolol, Propranolol(inderal)

- 카테콜라민의 부정맥 유발효과를 막고 혈압과 맥박수, 심실의 수축력을 저하시킴으로써 심근 의 산소요구량을 감소시킨다.

(6)

④ calcium channel blocker(칼슘길항제): nifedipine, verapamil, diltiazem

- smooth muscle의 수축에 관여하는 칼슘 통로를 차단함으로써 수축력 억제

- 부작용: 칼슘통로차단제는 말초동맥 확장 작용으로 두통, 저혈압, 현기증, 안면홍조

⑤ 항혈소판제: aspirin(1일 투여량 80-325mg): 일생동안 투여 - 아스피린 부작용이 있는 사람은 Ticlopidine(250-500mg/day)

- 최근 아스피린보다 더 효과적인 glycoprotein(GP)Ⅱb/Ⅲb 억제제의 효능이 보고됨(대표적 약물 은 clopidogrel: 혈소판 수용체에 ADP 결합을 선택적으로 막아 혈소판 응집 방해)

⑥ Thrombin 억제제: heparin(antithrombin Ⅲ 활성화하여 thrombin과 다른 활성화된 응고인자 억 제)

⑦ ACE 억제제(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혈관을 확장시켜 심장의 부담을 완화하고 심실의 구휼율 증가, 전벽부 경색, 과거심근경색 혹은 심부전(좌심실 구휼율 40% 미만)이 있는 경우 효과적.

⑧ 지질저하제

- HMG-CoA reductase 억제제(lovastatin, pravastatin): 간내의 콜레스테롤 농도 감소

- 음이온 교환수지(cholestyramine): 장내 담즙산과 콜레스테롤이 결합하여 대변으로 배설함으 로써 콜레스테롤 소모 증가시킴

- 니코틴산 유도체

⑨ 기타 항부정맥제(MI 후에 올 수 있는 부정맥 예방), 변연화제(stool softner), 3) Angina risk를 줄이기 위한 교육

- NTG 복용에 대한 주의사항

- 너무 anxiety가 심하면 상담을 하고 약한 정온제도 사용가능 - 체중과다인 경우 체중감소 프로그램 실시

- 저열량, 저콜레스테롤 식이, 고섬유식이 권장, 가스형성 식품 피한다 - coronary circulation을 좋게 하도록 운동을 규칙적으로 수행

- 즉시 흡연 중단할 것(passive smoking도 피함)-흡연시 carbon hemoglobin이 증가하여 공급되는 산소의 양이 줄어든다.

- 너무 과도한 활동을 하는 사람은 angina attack이 없을 정도로 작업활동을 줄이거나 자주 휴식 을 갖는다.

4) 심근경색증의 시기적 분류

: 초급성기(증상발현 후 6시간 이내), 급성기(6시간-3일), 회복기(3일-퇴원시)

* 초급성기는 심근괴사가 진행되고 있어 심근경색의 크기를 어느 정도 축소시킬 수 있는 시기로, 3-4시간이 시간적 한계임: 환자후송과 응급의료, 혈전용해제 투여, 응급 PTCA, 응급 CABG 등

① 환자 후송과 응급의료

- 심장성 돌연사(심장발작 후 1시간 이내의 사망) 예방을 위해 의료응급체계 확립 필요 - 응급실 도착 환자: 진통제나 NTG 투여, 산소공급, 심전도와 흉부 X선 촬영, 응급검사

② 혈전용해요법: STEMI에서 사용, plasminogen을 plasmin으로 활성화하여 fibrin 분해 - urokinase(UK)

(7)

. 단백분해물로서 사람의 소변에서 분리하거나 조직배양된 태아 신세포에서 생산 . 부작용이 적고 항원성이 없어 반복투여 가능

- t-PA(tissue plasminogen activator)

. 혈관내막에서 생성되는 혈청 단백분해 효소로서 사람의 흑색종세포(melanoma cells)의 조직 배양액에서 분리하여 생산하거나 유전공학적으로 대량합성

- streptokinase(SK): 베타용혈성 연쇄상구균에서 추출한 단백.

. 가격은 저렴하나 항원성이 있기 때문에 발열, 담마진, 피부발진 등의 부작용 - 혈전용해제 투여 방법

. 관상동맥 주입법(intracoronary injection: IC): 심도자를 통해 관상동맥으로 직접 주입하는 방 법으로, 효과는 좋으나 조영술에 따른 위험이 높고 소요시간이 길며 비싸다

. 정맥 주입: 치료시간 단축, 간편

- 혈전용해제 투여의 합병증으로 출혈 경향으로 출혈성 경향이 있는 환자는 제외됨 - 보조요법: heparin(2차 혈전 형성 예방 위해), aspirin(항혈소판 제제)

- Glycopretein Ⅱb/Ⅲa 억제제인 abciximab(Reopro) IV투여: 섬유소원이 혈전부위의 혈소판에 부 착되는 것을 방지(PTCA 실시전이나 실시 후, 또는 섬유소용해제와 함께 투여)

③ 일차 관상동맥 중재술(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PCI)나 관상동맥 우회술(CABG)

▶ 경피적 관상동맥 성형술 Percutaneous Transluminar Coronary Angioplasty)

*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CI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 catheter를 좁아진 coronary artery로 넣어 풍선을 부풀림으로 그 부분의 혈관을 확장시키는 방법. 안되면 실제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 경대퇴동맥 관동맥 중재술(transfemoral coronary intervention; TFI): 대퇴동맥 천자 - 경요골동맥 관동맥 중재술(transradial coronary intervention; TRI): 요골동맥 천자 - 성공율 90%, 6개월 내 재협착되는 경우가 30%

- stent의 삽입도 시도할 수 있다.

*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coronary stent placement): PCI로 확장된 혈관에 재협착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망(stent)을 씌워 확장병소를 지지해주는 중재방법

* 관상동맥 레이저 풍선 성형술(laser balloon angioplasty): 레이저 이용 방법

* 죽종절제술(directional atherectomy): 관상동맥내 죽종자체를 잘게 깍아 적출해내거나 유화 (emulsification)시키는 방법

- 병변이 복잡하고 석회침착이 심하여 풍선이나 스텐트 시술이 어려운 환자에게 시행 - 재협착률이 높고 혈관 천공 및 색전 위험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음

▶ CABG(관상동맥우회술,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 복재정맥이나 내유(내흉)동맥의 일부를 이용하여 혈류를 open하려는 수술

- 적용 대상: 좌주관상동맥이 50% 이상 협착 있거나, 좌우 관상동맥의 혈관 3개에 70% 이상 협 착이 있는 경우, 협착 부위가 긴 경우, 심장기능이 감소되어 있는 경우 실시

④ 외부 맞박동장치(enhanced external counterpulsation, EECP): 심근 혈류 증가 위함

⑤ 순환보조장치

(8)

- 대동맥순환 보조펌프(intra-aortic balloon pump): 대동맥 내 풍선펌프

. 풍선이 부착된 카테터를 대퇴동맥을 통해 하행대동맥 내에 삽입함, 이는 체외에 있는 펌프기 와 연결됨. 심장의 이완기에는 해리움 가스 주입, 수축기에는 풍선 허탈 시킴

. 좌심실의 혈액분출을 도와주고 관상동맥 관류를 증가시킴 - 경피적 심폐보조장치(percutaneous cardiopulmonary support: PCPS)

. 쇼크나 심정지와 같은 상황에서 말초동맥과 정맥을 통해 카테터를 삽입하고 심폐기능을 도와 주는 보조장치.

. 심장수술에 사용하는 체외순환장치(CPB)로 되어있으나 응급상황과 장기간 사용 가능 - 체외막 산화기(extra corporeal membrane oxygenator: ECMO)

. 산소와 이산화탄소 가스 배출과 같은 폐의 기능을 도와주는 장치

11. 급성기 중재의 원칙

① 급성 MI는 즉시 중재가 필요

② 통증 경감, shock 교정, 불안과 공포의 감소

③ 절대안정, 산소공급(2-4L/min via nasal prong, 2-3일 공급)

④ 정맥 수액 공급

⑤ 계속적 심장관찰

⑥ 첫 48시간의 생명유지가 critical

12. MI환자의 CCU(coronary care unit) 관리

① CCU 생기고 사망률이 25%  10%로 감소

② CCU에서의 관찰, 응급시 즉시 대처

③ 반좌위, 24-36시간 절대 침상안정, 말초혈관에 혈전증 예방 위해 발가락이나 발운동, heparin(5000unit)을 8시간마다 투여

④ 변완화제 사용, 최면, 수면제 사용, 산소공급

⑤ 활력징후 측정: BP가 중요(수축기압 90mmHg미만, 또는 전에 비해 30mmHg 이상 하강은 위 험)

⑥ EKG monitoring: 부정맥(서맥, 빈맥 등), 위험증상: PVC

⑦ I/O: oliguria 관찰(유치도뇨관 삽입)

⑧ IV fluid, clear liquid diet for 48hrs

⑨ 진통제 사용(NTG를 SL or morphine sulfate 2-4mg IV): IM은 혈청 CPK를 상승시켜 심근경색 증 진단에 혼동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한다

⑩ 좌심실부전증 및 저관류상태: 이뇨제, 혈관확장제, digitalis 제제, ß흥분제 투여

13. MI 합병증의 치료와 간호

- 심근경색증 환자의 50%는 발작 후 2주 이내에 합병증 발생 1) 부정맥

(9)

- 심근경색증 환자의 가장 흔한 사망원인은 발병 첫 1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심실성 빈맥, 심실세 동(40-50%)

- 원인: 심근의 심한 허혈 부위나 손상부위에서 ectopic rhythm을 낸다. 손상된 심근이 전도계 장애를 가져오기도 한다(PVC가 가장 흔함).

- PVC가 1분 동안 5회 이상, 여러 모양으로 출현, 3개 이상 연이어 나타나는 경우 ventricular tachycardia, ventricular fibrillation, heart block와 같은 것의 발생가능성이 높다.

- 중재: 심장 monitor한 후 의사에게 알리고 lidocaine 정맥주사 2) cardiogenic shock

- MI에서 펌프기능 장애로 shock에 의한 사망은 9%

- 원인: 심한 통증과 심근의 수축력 저하

- 사정: 수축기 혈압 저하(80mmHg 이하), 발한, 맥박 증가, 찬 피부

- 중재: 혈관수축제(vasopressor): dopamine, aramine 투여, 고농도의 산소 흡입, 담요를 덮어줌 3) 심부전 및 폐수종

- MI후에 어느 정도의 심부전과 폐부종이 있는 것이 보통 - 사정: 호흡곤란, orthopnea

- 예방: 저염식, 수분섭취 제한

- 중재: 휴식, 약물(morphine sulfate, digitalis) 4) 폐색전(pul. embolism)

- MI환자의 10-20%에서 발생

- 다리나 골반의 정맥에 휴식 중 생긴 phlebitis가 폐동맥에 이동하는 2차 발생이 쉽다.

- 원인: 장기간의 침상안정

- 사정: 흉통, 호흡곤란, 빈맥, 기침, pul rales, cyanosis, 다리정맥에 혈전이 있는 경우 통증과 부 종이 있다.

- 예방: 다리와 팔을 자주 움직이게 한다. 탄력붕대나 탄력스타킹 적용,

- 중재: 항응고제(heparin), 산소 투여, 폐동맥 색전 적출술(pul. artery embolectomy)

5) 심근괴사로 인한 합병증: 드물게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괴사 부위가 유연해져서 갑자기 심실파 열, 유두근파열, 심실중격파열, 심실동맥류 등

6) 드레슬러 증후군(Dressler syndrome): MI 4-6주후 발열현상과 삼출물을 동반한 심외막염으로 괴 사된 심근에 항원-항체 반응으로 생김. 심장의 통증, 발열, 마찰음 발생, 치료는 corticosteroid 사용

14. MI후의 재활 1) 환자 재활의 목표

- 신체활동을 점차적으로 증가 - 관상동맥 질환에 대한 교육 - 재발 위험요소를 피한다

2) MI 후 일반적인 활동수준의 증가

(10)

- 첫 24시간: 절대안정

- 입원 후 5일 쯤: CCU에서 병실로 이동

- 제 2주쯤: 간호사의 감독하에 복도에서 간단한 보행. 2주-3주 후에 퇴원 - 제 3주 후 장기계획: 금연, 부부관계: 6-8주후 허용. 활동은 점진적으로 증가 3) 심장질환과 운동

- 규칙적 운동은 심근의 효율을 높여 CAD가 생길 가능성을 줄인다.

- 운동의 이득: 혈압 저하, 우울 감소, 혈중 catecholamine 저하, HDL 증가 - 심장과 폐에 운동을 하게 하는 것: 걷기, 달리기, 수영, 줄넘기, 자전거 타기 - 운동의 순서: warm up exercise, aerobic exercise, cool down exercise

15. 예후

- 급성심근경색증으로 사망한 환자의 약 50%가 병원도착 전에 사망 - 합병증의 가능성은 6-12주 후에 사라진다.

- 합병증 발생이 증가하는 경우: 고연령, 다른 심혈관질환 존재, 저혈압(특히 수축기 혈압이 55mmHg이면 사망률이 증가)

- 첫 MI에서 완전히 회복한 사람도 50%는 5년 내에 사망한다. 10년 내 사망률이 75%임

참조

관련 문서

In our study of 52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undergoing several mea- surements of studied parameters, we observ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heart

대표적으로 숙변성 궤양(stercoral ulcer), 고립성 직장 궤양 증후군(solitary rectal ulcer syndrome), 허혈성 직장 궤양 (ischemic rectal ulcer), 방사선 유발 직장

Background :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CABG) surgery has been a main treatment modality of ischemic heart disease since Sabiston reported the first

심 장 근육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협착이 일어나 흉통 증상이 발생하는 협심증, 심근경색에 대한 진단, 중재시술 치료 및 연구가 나의 주된

하지만 심근경색으로 생긴 허혈성 심근증(ischemic cardiomyopathy) 환자의 대부분에서는 지속성 심실빈맥 이 발생하는 경우가 드물어 심실빈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다른

Epicardial adipose tissue thickness as a predictor of coronary artery disease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The median EAT thickne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Meta-analysis could not be performed i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63 RCTs that examined exercise- based CR in patients with coronary syndrome due to th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statins and new onset diabetes mellitus (NODM) in patients with ischemic heart disease (IHD) utiliz- ing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