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한국보건의료기술평가학회 > 학회지 > 장애인 건강권 보장과 커뮤니티 기반의 재활체육을 위한 제언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한국보건의료기술평가학회 > 학회지 > 장애인 건강권 보장과 커뮤니티 기반의 재활체육을 위한 제언"

Copied!
3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http://www.kahta.or.kr 139 우리나라 장애인 인구는 2017년 기준 약 267만 명이며 이

중 재가장애인은 약 258만 명으로 알려져 있다.1) 재가장애인 의 다수(2017년 기준 82.3%)는 1년에 1회 이상 치료, 재활, 기 타 건강관리 목적으로 정기적 진료를 받고 있어 일상생활에 서 건강관리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장애인의 58.1%가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느끼고 18.4%가 1년 동안 2주 이상 높은 정도의 슬픔이나 절망감을 느끼는 것으로 알 려져 있다. 또한, 만 65세 이상 연령군과 50~64세 연령군이 각각 전체 장애인 인구 집단의 46.6%와 30.3%로 높은 비율을 차지해 국가인구구조의 고령화 및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고 려한 국가의 장애인건강증진 정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와 요구에 발맞춰 정부는 2015년 12월 장애인 건강권법을 제정하여 장애인의 잔존기능 회복과 유 지라는 신체적 가치와 더불어 심리적, 사회적 가치를 가지는 재활체육을 법률적으로 보장하고 있다.2) 이는 장애인의 재활 체육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효과를 체득할 수 있는 중요한 건

강 행동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하루 30분 이 상의 빠른 걷기는 수명을 연장하고 혈압 저하, 혈당 조절, 골 밀도 향상, 체중 감량에 도움이 된다. 또한, 정기적인 운동참 여는 자신감 증가, 주관적 삶의 질 향상, 불안, 우울, 외로움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3) 그러나 장애인의 운동참여 는 전체 국민의 운동참여율과 비교할 경우 현저하게 낮은 것 이 현실이다. 장애인의 정기적인 운동참여율은 2018년 23.8%4) 로 전체 국민의 유산소 운동 지표율(47.8%)5)의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다. 장애인의 주변 체육시설에 대한 인지도는 낮으 며(50.0%),4) 장애인복지기관의 장애인 체육시설 이용률도 2.2%로 매우 낮은 실정이다.1) 국가가 명문화한 장애인 건강 권법의 실현은 아직도 긴 여정이 남아 있는 듯하다.

영국의 경우 재활체육을 통해 장애인의 건강권을 보장하는 정책이 다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영국 정부는 Chief Med- ical Officer의 운동 가이드라인을 제정해 1주일에 2회 이상 근력과 균형 운동, 150분 이상 중강도 운동을 장애인에게 권

Proposal for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Sport Policy in Individuals with a Disability

Saengryeol Park and In-Hwan Oh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장애인 건강권 보장과 커뮤니티 기반의 재활체육을 위한 제언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박 생 렬·오 인 환

Received November 20, 2019 Revised December 6, 2019 Accepted December 12, 2019 Address for Correspondence:

In-Hwan Oh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26 Kyungheedae-ro,

Dongdaemun-gu, Seoul 02447, Korea Tel: +82-2-961-2254

Fax: +82-2-969-0792

E-mail: parenchyme@gmail.com

Objectives: Rehabilitation sport is an increasingly important area in community living individuals with a disability for their health. This paper attempts to address current issues and further direc- tions of rehabilitation sport promotion in South Korea. Methods: We reviewed reports from a number of national surveys and literature in individuals with a disability. Results: In South Korea, individuals with a disability showed low rates of rehabilitation sport participation although rehabili- tation sport is beneficial for physical and mental health. To increase rehabilitation sport, five sugges- tions were made: 1) making community-based programs, 2) building or renovating exercise facili- ties to provide better access, 3) developing integrated equipment for rehabilitation sport, 4) structuring an exercise feedback system using IT, and 5) continuous research in rehabilitation sport. Conclu- sion: Ensuring appropriate policies and supporting rehabilitation sport should be a priority for health in individuals with a disability.

Key Words Exercise · Disabled persons · Health promotion.

J Health Tech Assess 2019;7(2):139-141 ISSN 2288-5811 Copyright © 2019 The Korean Association for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Letter to the editor

JoHTA

(2)

Right to Health of Individuals with a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Sport

140 J Health Tech Assess 2019;7(2):139-141

장하여 운동참여를 통한 건강증진을 독려하고 있다. National Health Service는 버스나 전철을 이용할 경우 한 정거장 전 에 내려서 걷기, 텔레비전 앞에서 운동하기, 엑서게임(exer- game) 등 일상생활에서 참여하는 운동을 강조하였다. 특히,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통합적 운동참여를 위한 노력을 멈추 지 않고 있는데 ‘STEP’ 모형을 기반으로 장애인 친화적 운동 공간(Space)을 확보하고, 수행 가능한 운동규칙(Task)을 적 용하며, 장애별 운동장비(Equipment)를 운용하고 장애의 정 도를 고려하여 운동참여자(People)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다. 즉, 재활체육의 증진을 위해 다각화된 접근방 법이 필요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저자들은 국내외 상황을 고려하여 국내 재활체육의 증 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커뮤니티 기반의 재활체육 재정립이 필요하다. 의료진의 직접적인 진료와 치료가 적용 되는 재활치료와 달리 재활체육에 참여하는 장애인은 커뮤 니티에서 물리적, 심리적 한계에 맞닥뜨릴 것이다. 한계를 극 복하기 위해 장애인이 실제 커뮤니티 구성으로서 스스로 참 여하는 정책 개발이 수반되어야 한다.3) 구체적으로는 장애인 이 처한 거주지별, 사회경제적 요인별 차이를 고려한 정책적 합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재활체육을 위한 지속가능한 근거기반을 구축하고 장애 요소는 발견하여 제거해야 한다.

성공적인 커뮤니티 기반의 재활체육 정책은 불규칙적 체육 참여자와 운동 의지는 있으나 운동을 하지 않는 장애인을 규 칙적인 운동참여자로 변화시키는 데 일조할 것이다.4)

둘째, 장애인의 접근성과 사용성을 고려한 재활체육 시설 의 구축 및 개조가 절실하다. 실내 체육시설의 경우 턱이 없 는 출입구, 승강기, 장애인 전용 샤워실 등의 시설 구축이 필 수적이다. 실외 체육을 위해 비장애인이 무심코 다녔던 인도 도 현재보다 장애인 친화적으로 변형되어야 한다. 구체적으 로는 보도블록 정비,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공원로 넓히기, 밝은 가로등 설치, 교통 소음 감소, 길거리 벤치 설치 등이 필 요하다. 또한, 장애체육시설에 대한 인증제도를 도입하여 재 정적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장애인의 재활체육에 친화적인 커뮤니티를 빠르게 구축하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재활체육을 위한 통합적 운동 장비가 설치되어야 한 다. 체육시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트레드밀은 하지장애인의 경우 사용할 수 없고 휠체어 사용자에게 적합한 휠체어 에르 고미터나 암 에르고미터는 일반적인 체육시설에서 구입하기 에는 고가의 장비다. 더욱이 시각장애인이나 지적장애인의 경우 운동장비를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하며 운동 장 비를 사용하는 중에 사고의 위험에 처하기도 한다. 즉, 다양 한 장애 유형을 포괄할 수 있는 표준화되고 안전성한 재활체 육 장비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새로이 개발되는 재활체육장

비는 건강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유산소운동, 근력운 동, 그리고 균형 유지 운동을 포함한 ‘전신운동기구(full body workout equipment)’로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장애인이 쉽 게 운동할 수 있도록 단순하고 재미있어야 한다. 재활치료 과 정에서 사용되는 장애인에게 이미 익숙한 장비를 국산화하 거나 보급형으로 재개발해서 커뮤니티에 공급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IT 기술을 사용한 모니터링 및 피드백 시스템 구축 이 필요하다. 다수의 운동참여 프로그램은 참여의 지속이라 는 관점에서 많은 한계에 직면하게 된다. 특히, 재활 기관에 서 커뮤니티로 복귀하는 장애인의 경우 자신감 유지가 필수 적이며,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이나 이동의 어려움으로 인한 재활체육 중단을 극복해야 한다. IT 기술은 장애인의 운동량 을 측정하고 개인의 운동량에 기반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 는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 또한, 축적된 빅데이터를 정 제하고 가공하여 AI 같은 최신 기법을 활용한다면 장애인의 지속적인 운동참여를 유도하고 이로 인한 긍정적인 신체적, 심리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재활체육을 위한 전문가 집단의 지속적인 연구가 수반되어야 한다. 성공적인 재활체육을 위해서는 체육시설 의 물리적 접근성, 운동장비, 개인의 건강상태, 사회경제적 배경 등 다각적인 요인과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효율적이며 저비용으로 수행된 과학적 연구의 결과는 재활 체육 정책이 실제 커뮤니티에 깊게 뿌리를 내릴 수 있는 근 간이 될 것이다. 먼저, 재활체육을 위한 보급형 장비의 개발, 주요 장애별 운동프로그램 개발, 접근성 개선방안 및 동기부 여 방안 개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국내 장애인을 위한 한 국형 재활체육 가이드라인도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 어, 걷기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에 권장되는 운동형태지 만 하지장애인의 경우 현실적으로 적합한 운동이 될 수 없다.

주요 장애별로 권장되는 재활체육 가이드라인은 장애인의 운동목표 설정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새롭게 제정된 장애인 건강권법은 267만 장애인의 재활체 육을 위한 근간이 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 나라의 국제적 위상, 국민 수준을 고려할 때 법의 제정이 늦 은 감도 있다. 정부의 재활체육 증진정책이 장애인에게 더욱 많은 배려와 지원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 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A8032280).

REFERENCES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National survey on persons

(3)

S Park and IH Oh

http://www.kahta.or.kr 141

with disabilities.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8.

2) 한국장애인개발원. 장애인 재활체육 서비스체계 개선방안 연구.

서울: 한국장애인개발원;2016.

3) Jaarsma EA, Smith B. Promoting physical activity for disabled peo- ple who are ready to become physically active: a systematic review.

Psychol Sport Exerc 2018;37:205-223.

4) 대한장애인체육회. 장애인 생활체육 실태조사. 서울: 대한장애인 체육회;2018.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jong: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7.

참조

관련 문서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Korean firms that are increasingly going abroad to do business to consider how they can transfer ethical management

In this regard, this paper attempts to prove its legitimacy as to why the Difference Principle and Neutralizing Luck, which have not been sufficiently

In this circumstance, this report attempts to suggest legislative improv- ement scheme of the current public finance law in Korea facing the problem of the issues of low

In order to evaluate an organization from the safety viewpoin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organizational factors in a systematic fashion.. In thi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experience of falling in some local elderly people using the 2013

This paper proposes a perspective of political economy to explore important issues on regulation studies, focusing on the case of tobacco control in South Korea.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health care delivery and financing in Korea and proposes policy measures and legal rules for regulatory reform to improve

It is impossible to change the voltage across a capacitor by a finite amount in zero time, for this requires an infinite current through the capacitor.. (A capacitor res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