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요골 원위부 전체를 침범한 거대세포종의 치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요골 원위부 전체를 침범한 거대세포종의 치료"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Treatment of Giant Cell Tumor Involving Distal Radius

Chung Soo Han, M.D., Duke Hwan Chung, M.D., Young Ho Lee, M.D., Seung Hwan Kim, M.D.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School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Introduction : In this report, we will report the clinical results, functional evaluation and complication after surgical treatment of giant cell tumor involving distal radius.

Materials and Methods : We have reviewed 9 cases.

They were 38 years old on average and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3 years and 11 months. Eight were initial lesion while the other one was local recurrence. As a method of treatment, intralesional curettage with cement filling were performed for treatment of one initial lesion, and wide resection and wrist reconstruction for treatment of eight cases including recurred lesion. Among those eight cases, ulnar transposition together with wrist arthro- desis were performed for one patient, and vascularized fibula graft for seven. We have followed up, both clini- cally and radiologically, recurrence of tumor and compli- cations of all the patients, and measured pain, range of motion, grasping power as a evaluation of function.

Results : None of the 9 cases showed evidences of local recurrence. In one case of intralesional curettage with cement filling, there was no postoperative pain, and a joint moved to the normal range of motion. In the other one case of ulnar transposition with wrist arthrodesis, there is no

postoperative pain either, but wrist had become ankylosed.

In one of the seven cases of vascularized fibula graft, volar subluxation of wrist developed and wrist arthrodesis was performed. It took 3 months on average for grafted bone union, and complications such as nonunion or fracture did not occurred. Range of motion averaged 25˚ in flexion, 36˚

in extension, and 14˚ in radial deviation, 15˚ in ulnar deviation and grasping power of 4 patients averaged 90%

of normal.

C o n c l u s i o n : The advantages of reconstruction using vascularized fibula graft also include maintenance of wrist function and rapid recovery of large bone defect. However, long operating hours, difficult operative technique includ- ing fibular harvest and possible complications such as subluxation and nonunion are disadvantages. Therefore, it should be essential for rehabilitation and prevention of recurrence to choose proper surgical methods according to various cases.

Key Words : Distal radius, Giant cell tumor

원위 요골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은 전체 거대세포 종의 약 1 0 %가량 차지하며 세번째로 호발하는 양성 종양으로서 조직학적, 방사선학적 소견과 크게 관계없 이 다양한 임상증상을 나타나게 된다. 완관절은 수부 의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구조물이며 일상생활 을 영위함에 있어서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부분으로서 완관절면의 광범위 절제술시 완관절의 재건이 바람직 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원위 요골에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의 치료시 관절면과 골성 조직이 비교적 잘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병소내 소파술이 적응증이 되 지만, 피질골의 파괴가 심하거나 잔여골의 양이 부족 한 경우, 관절면을 침범한 경우 광범위 변연 절제술이 필요하다. 광범위 변연 절제술 후 수부의 기능, 나이, VOLUME 6, NUMBER 2, DECEMBER 2001

요골 원위부 전체를 침범한 거대세포종의 치료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한정수・정덕환・이영호・김승환

통신저자 : 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 1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TEL : 02-958-8364, FAX : 02-964-3865 E-mail : CShan29@netsgo.com

(2)

환자의 요구도에 따라 골결손에 대한 재건술을 시행할 수 있으며 이의 재건 방법으로 절제 성형술, 종양 대 치물, 관절 고정술, 척골 전위술, 생비골 이식술 등이 있다. 각 수술 방법에 따라 적절한 적응증과 장단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저자들은 원위 요골부의 거대세포종 에 대하여 적절한 수술적 치료 후 획득한 기능 및 장 애 정도, 합병증에 대하여 평가하였으며, 특히 완관절 재건술에 이용된 생비골 이식술에 대하여 그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 대상

1 9 8 4년 4월부터 2 0 0 1년 3월까지 본원 정형괴과 에 입원하여 진단적 생검 또는 수술적 치료에 의해 병 리학적으로 요골 원위부에서 거대세포종으로 확진된 9 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자의 평균 연령은 3 8세 ( 1 6 ~ 7 1세)였다. 평균 추시기간은 최소 5개월에서 최 고 1 0년 1개월로 평균 3년 1 1개월이었다. 전체 9명 중 7명이 여성으로 남녀의 비는 2 : 7이었다. 모든 대상 환자들은 내원시 문진과 이학적 검사를 시행한 후 병소 부위의 전후면 및 측면 단순방사선사진을 촬영하였으 며 관절면 침범 및 침범성 종양여부 확인을 위해 5례에 서 자기공명영상촬영을 실시하였다. 또한 전이성 종양 및 타병소의 확인을 위하여 흉부 컴퓨터단층촬영과 함 께 핵의학검사를 시행하여 이를 확인하였다. 이학적 검 사상 주로 완관절의 동통 및 종창이나 운동장애의 소견 을 보이고 있었으며 평균이환기간은 3 8개월이였다 (Table 1). 거대세포종은 특징적인 방사선 소견을 가 지고 있으므로 병리학적인 조직생검의 결과전에 진단 이 가능하므로 침생검등의 시술없이 확정적 치료시 조 직생검을 동시에 시행하였다. 저자들은 거대세포종의 특징적인 방사선소견을 바탕으로 한 C a m p a n a c c i의

방사선학적 등급을 이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활동성 (Active) 2례, 공격성(Aggressive) 7례였으며, 초기 병소가 8례, 국소재발된 병소가 1례 였다(Table 1).

2. 치료 및 평가 방법

원위 요골 간단부에 2×2×1 cm 크기의 병소를 가 지고 있으나 완관절 연골의 침범이 없으며 피질골의 약 간의 팽대와 함께 얇아져있는 활동성 초기 병소 1례에 대하여 병소내 소파술 및 시멘트 충진술을 시행하였고 (Fig. 1) 재발된 병소를 포함한 관절연골을 침범하고 피질골 파괴가 심한 8례에서 광범위 절제술 및 완관절 재건술을 시행하였다. 그중 척골 전위술 및 완관절 고 정술 1례(Fig. 2), 생비골 이식술 7례(Fig. 3)였다 (Table 2). 모든 환자는 술후 3개월, 6개월, 1년의 간격으로 추시하였으며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 하여 종양의 재발과 합병증을 관찰하였으며 기능적 평 가는 최종추시시 동통, 각도기를 이용한 관절가동범위, d y n a m o m e t e r를 이용한 파악력을 평가하였다.

3. 생비골 이식술의 수술방법

전방 S형 절개로 요골을 노출시킨 후 굴근과 요골 동맥을 확인하고 2개의 배측 피부 정맥을 확인하고 보존한다. 방형 회내근과 원위요골을 주위 조직으로 부터 분리한 후 종양을 지닌 원위 요골을 15 cm 정 도의 길이로 방형 회내근, 골외막과 함께 제거한다.

그 다음 단계로서 비골을 후방연을 따라 노출시킨후, 외측슬와 신경과 분지를 확인하여 전방으로 제끼고, 비복근의 외측두를 내측으로 제낀다. 비골 동정맥을 비골로 가는 분지를 따라 주의 깊게 확인하고 보존한 다. 근육과 비골로부터 나오는 venae comitantes 를 확인하고 보존한 후, 전방 경골 혈관과 심부 비골 신경을 조심스럽게 보존하고 전방으로 제낀후 Gigli saw를 이용하여 비골을 절제한다(Fig. 5). 상부 경

Table 1. General datas on nine patients

Case Gender/Age Side Diagnosis Primary symptom Duration of illness (months) Ragne of motion (F-E-S-P)

1 F/29 Rt Primary Pain 17 40-0-60-45

2 M/37 Rt Primary Pain 48 10-60-50-70

3 F/32 Lt Primary Pain 12 80-70-70-60

4 F/72 Rt Primary LOM 3 0-0-0-0

5 F/17 Lt Recurred Pain 25 20-50-60-75

6 F/53 Lt Primary Pain 34 10-10-20-10

7 F/18 Lt Primary LOM 61 10-50-45-65

8 M/61 Rt Primary LOM 24 30-10-20-10

9 M/36 Lt Primary Pain 12 40-45-40-70

(F : Flexion, E : Extension, S : Supination, P : Pronation, LOM : limitation of motion Rt : right side, Lt : left side)

(3)

비관절을 분리하고 비골 측부인대를 재건한다. 비골 동맥과 venae comitantes의 원위부를 묶고 자르 면 비골은 근위 혈관경을 제외하고 주위 조직으로부 터 분리된다. 지혈대를 풀어 비골의 혈행 상태를 확 인한 후 비골 동맥과 venae comitantes를 후경골 동맥, 슬와정맥의 분지부위에서 각각 잘라 비골을 분 리한다. 분리한 비골은 금속판과 나사못 또는 나사못 을 이용하여 요골에 고정한다(Fig. 6). 수근부는 K-

강선을 주상골로부터 비골로 삽입하여 고정하고 수근 전방관절낭 인대는 비골 하단에 부착한 후, 요골동맥 은 비골동맥의 근위단에 문합하고 수근부의 표재정맥 은 venae comitantes에 문합한다. 근위부는 직접 피부봉합이 가능하나 원위부는 피부이식이 필요하다.

Fig. 1. A, B. AP and lateral radiographs of giant cell tumor of distal radius, revealing osteolytic cystic lesion with cortical thinning.

C, D. Postoperative radiographs after intralesional curettage and cement filling.

A B C D

Fig. 2. A, B. The radiograph showing extensive, cystice lesion involving distal radius. C, D. postoperative radiograph after distal ulnar transposition after resection of tumor mass and distal radius.

A B C D

(4)

소파술 및 시멘트 충진술을 이용한 1례에서 술 후, 최종추시시까지도 동통은 호소하지 않았으며 정상적 인 관절가동범위를 보여 일상생활을 유지하는데 불편 함이 없었다. 척골 전위술 및 완관절 고정술을 시행한 1례에서도 술 후 동통은 없었으나 완관절의 완전강직 을 보였고 일상생활을 유지하는데는 큰 불편은 없었 지만 술후 5개월째 추시관찰중이므로 추후 평가가 필 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생비골 이식을 시행한 7례 중 6례에서는 동통 및 특이한 증상의 호소는 없었으며 1 례에서 술 후에도 동통이 지속되어 4개월 후 수근부 고정물 제거술( K강선)을 시행하였고 이후에도 동통

및 종창이 지속되고 술후 1년 7개월에 완관절의 전방 아탈구가 발생하여 완관절의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Fig. 4). 술후 종창과 동통은 소실되었으나 완관절 의 완전강직소견을 보였다. 생비골이식을 시행한 나 머지 6례의 평균 관절가동범위는 굴곡 2 5°, 신전 3 6°, 요측변위 1 4°, 척측변위 1 5°, 회외전 4 3°, 회 내전 5 4°로 측정되었고 전례에서 일상적 활동 및 작 업을 수행하는데에는 지장이 없었다(Table 3). 소파 술 및 시멘트 충진술을 이용한 1례, 광범위 절제술 및 완관절 재건술을 시한 8례에서 재발의 증거는 없었으 며 이식된 비골 유합은 평균 3개월( 2개월~ 3 . 8개월) 로 수근관절과의 불유합, 골절등의 합병증의 발생은 없었다. 4명에서 측정된 파악력은 정상측의 평균 9 0 %가량의 결과를 보였고 자각증세로 느끼는 수부 의 쇠양감등의 주관적인 증상도 없었다. 생비골 이식 Table 2. Radiologic findings and operative technique on nine patients

Case Invasion of articular cartilage Cortical destruction Invasion of soft tissue Campanicci grade Operative technique

1 + + + Aggressive VFG

2 + + – Aggressive VFG

3 – – – Active Curretage and

cement filling

4 + + + Aggressive Ulnar transposition

5 + + + Active VFG

6 + + – Aggressive VFG

7 + + + Aggressive VFG

8 + + + Aggressive VFG

9 + + + Aggressive VFG

(VFG : Vascularized Fibular Graft)

Fig. 3. A, B. Radiographs of Right distal radius revealing cystic lesion compatible with giant cell tumor. C, D. P o s t o p e r a t i v e radiograph of vascularized fibular graft for the replacement of distal radius.

A B C D

(5)

을 시행후 전례에서 최종추시시 확인된 방사선학적 소견상 생비골의 변형, 퇴행성 관절염성 변화, 국소재

발의 증거등의 소견은 보이고 있지 않았다.

원위요골에서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은 방사선학적 병 리조직학적 소견과 크게 관계없이 다양한 예후를 보이 는 질환으로서 원위대퇴골, 근위경골에 이어 세번째로 흔히 발생하는 종양이다3 , 6 , 8 , 1 3 ). 원위 요골에서 발생한 거대세포종의 치료에 있어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치료후 재발과 조기에 폐전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

이다6 , 1 9 ). 수술적 치료시 골구조가 유지되어있고 즉 피

질골의 파괴가 없으며 연골하골과 받침골 ( b o n e s t o c k )의 소실이 적고 관절면의 침범이 없을 때에는 단순 소파술 및 골이식술이 대표적인 치료이며 재발시 에도 반복적인 소파술의 적응증이 된다1 4 ). 하지만 단순 소파술의 치료를 받아야할 병변은 대개 환자는 무증상 인 경우가 많으며 환자가 내원할 정도의 증상을 가졌 을때는 상당한 병변의 진행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9 ). 따라서 진행된 병변을 치료시 적절한 절제술과 화학요 법으로 국소재발을 방지하는 것이 목표가 될것이며 적 절한 절제술은 광범위 절제술이나 변연절제술이 될 것 이다. Goldenberg 등8 )은 2 1 8례의 거대세포종중 소

Fig. 5.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blood supply to the proximal half of the fibula. PV, Popliteal artery; PT, posterior tibial artery;

PA, peroneal artery; NA, nutirient artery to fibula; MPB, muscular periosteal branches supplying the fibula. B. Freshly harvested specimen of proximal half of fibula with intact peroneal vascular pedicle. C. The fibula is fixed to the radius with cortical screws.

A B C

Fig. 4. Volar subluxation developed at Postoperative 19 months after vascularized fibular graft.

(6)

파술만으로 치료한 4 5례 중 3 5례, 소파술과 골이식술 을 시행한 9 1례 중 2 2례, 절제술만 시행한 4 4례 중 1 0례에서 재발하여 전체적인 국소재발율이 5 0 %였으 며 절단술을 시행한 1 0례에서는 재발이 없었다고 보 고하였고 Campanicci 등3 )과 Shifrin 등2 3 )의 저자 들에 의하여 병소내 소파술과 같은 수술법으로 치료시 상당히 높은 국소 재발율을 보고하고 있다. 이에 반해 여러저자들은 광범위 절제술 또는 변연절제술을 시행 하였고 M u r r a y1 4 )는 광범위 절제술로 치료한 1 8례 중 5례의 국소재발율과 함께 절단술을 시행한 예는 없 었음을 보고하였고, Sheth 등2 2 )은 일괄절제술로 치료 한 1 0례 중 재발이 없었음을 보고하여 원위요골의 골 구조가 손상되어있는 거대세포종의 경우 병소내 소파 술과 같은 방법보다는 광범위 절제술을 선택하는 것이 추천된다고 하였다. 본례에서도 8례에 대하여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함으로서 국소재발한 례는 없었고 문헌 고찰에서와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거대세포종의 고식 적인 치료방법으로서는 소파술후 골이식술 또는 시멘 트 충진술이 있다. 특히 시멘트 충진술의 경우 인접 관 절부위에 병소가 있는 경우나 체중부하 부위인 경우에 재발방지를 위해 많이 시술되고 있는 방법으로 빈 공 간을 채워주는 충진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발생되 는 열로 인해 잔존해있는 종양세포를 사멸시키는 역할 도 하게 된다1 6 , 2 0 )

. 유사한 방법으로 냉동소작술 또는 화학적 소작술등이 있으나 감염, 병적골절등의 합병증 과 함께 현저한 재발율 감소는 기대하기 어렵다는 반 론이 제기되고 있다1 2 , 1 6 , 2 0 ). 광범위 절제술후 발생되는 골결손부 및 관절을 재건하기위해 제시되는 원칙적인 방법으로서는 크게 3가지로 대별될 수 있으며 첫째 장 골, 경골, 비골의 자가 피질해면골이식( A u t o g e n o u s cortico-cancellous bone graft)이 있으며, 둘째 동종골이식(Allograft bone transplants), 셋째 인

공관절성형술( E n d o p r o s t h e s i s )이 있다9 , 2 9 ). 이외에 Campanicci 등4 )에 의해 시행된 절제성형술( R e - section arthroplasty)이 있으나 수부에 상당한 척 골변이를 일으키며 기능의 소실이 심하여 더 이상 추 천되지 않는 방법이다. 원칙적인 3가지 방법들은 기능 적 재건에 필요한 장기적인 안정성 및 생존성등의 목 적에 따라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9 , 2 9 ). 자가골이 식은 골세포의 대부분이 사멸하여 잠행성 치환( c r e e - ping substitution)에 의해 생골로 대치되며 이를 위해 어느 정도의 고정이 필요하고 불유합이나 골절의 합병증을 가질 수 있다. 대개는 경골이나 장골에서 자 가골을 채취하여 요골의 원위부와 수근골사이의 결손 부을 채워준 후 관절고정술을 시행한다. 안정적인 완 관절을 이루게 되나 매우 제한된 관절운동범위와 이식 골의 골절과 공여부의 이환율이 높다. 동종골의 이식

4 , 5 , 1 1 , 1 6 )은 완관절의 기능 유지, 해부학적 회복, 큰 골결

손부위의 복구, 공여부의 이환율 소실등의 장점을 가 진다. 이러한 재건술은 S m i t h등2 4 )에 의해 처음 보고 되었으며 1 3 . 7개월 추시시 재발율과 동통없이 양호한 기능을 유지하고 있었다. 합병증으로서는 1례에서 전 방 아탈구가 발생하였다. 이외에도 1 9 7 9년 C a m p a - n i c c i4 )에 의하여 원위 요골의 연골육종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치료하여 좋은 결과를 보고하고 있고 S z a b o

2 6 ) 또한 3례의 거대세포종의 치료후 양호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동종골 이식은 비생존성 이식 으로 역시 잠행성 치환으로 생골로 대치되며 합병증으 로 이식골과 수여부골과의 불유합, 관절부의 함몰, 이 식골의 흡수, 골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식된 골의 결 손부의 크기에 따라 6 ~ 1 8개월의 장기간의 고정이 필

요하다2 9 ). 인공관절성형술은 위의 방법과 달리 생물학

적인 대치요법이 아니라 할지라도 조기 기능회복이 가 능하고 체중부하부위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 Table 3. Operative technique and functional evaluation on nine patients

(F : Flexion, E : Extension, S : Supination, P : Pronation, VFG : Vascularized Fibular Graft

Case Operative technique Duration of Range of motion Grip power

Complication follow up(months) (F-E-S-P) (involved/uninvolved side)

1 VFG 29 40-0-60-45 NC –

2 VFG 55 10-60-50-70 90% –

3 Curettage and

26 80-70-70-60 NC –

cement filling

4 Ulnar transposition 05 0-0-0-0 NC –

5 VFG 37 20-50-60-75 NC –

6 VFG 50 10-10-20-10 85% Volar subluxation

7 VFG 70 10-50-45-65 90% –

8 VFG 30 30-10-20-10 95% –

9 VFG 121 40-45-40-70 NC –

NC : not checked)

(7)

다. 그러나 G o l d는 요골의 재발성 거대세포종의 치료 로서 아크릴 기구(acrylic prosthesis)을 사용하였 으나 술후 2년에 실패하게 되어 주관절하 절단술을 시 행하였으며7 ) Campanicci 등도 금속성 기구를 사용 하여 완관절 재건술을 시도하였으나 관절 강직과 함께 심한 동통으로 인해 실패하였다4 ). 따라서 인공관절로 서 관절재건술 시행시 장단점을 고려하고 골수내강의 확장, 피질골의 약화, 골절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 음을 염두에 두어 엄밀한 적응증을 적용하는 것이 필 요하다 하겠다. Wilson3 0 )은 원위요골부의 절제후 척 골위로 수근골의 중앙부를 이동시킨 후 관절사이의 공 간에 골이식을 시행하여 척골수근골 유합술을 시도하 였다. 이후 S e r a d g e2 1 )와 Bhan 등2 )에 의해 각각 2례 와 6례 시행하여 보고되었다. 이 술식의 장점은 혈액 공급을 보존시킬수 있고 자가골이식을 이용함으로 수 여부와 공여부의 이환율을 감소시키는데 방지하는 데 있으며 우수한 전완부의 내회전 외회전의 관절운동범 위를 가진다. 합병증으로서 지연유합, 불유합이 발생 하였고 추가적인 내고정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여러 가지 치료의 방법이 원위 요골 골결손을 해결하기 위 해 시도되었다. 이중에서 Lawson 등1 0 )여러저자들이 시행한 비혈관성 근위 비골 이식은 여러 장점에도 불 구하고 이식 비골이 무혈관성 부위에 위치하게 되어 골다공증, 점진적인 골흡수, 느린 골유합이 발생하게 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장기간의 고정에도 불구하고 잦은 피로골절, 변형, 불유합, 퇴행성 변화등이 발생하 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1 7 , 2 5 ).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 복하고자 여러 저자들에 의해 유리 혈관성 생비골 이 식술을 시도하였다1 , 1 8 ). 미세 수술 기법이 발전함에 따 라 1 9 7 5년 Taylor 등2 7 )에 의해 생비골을 이용하여 반대측 경골 결손부위를 재건한 것을 시초로 다양한 유리 혈관성 이식술이 시도되었고 그중 유리 생비골 이식은 혈액공급을 지속적으로 가지는 생골의 이식으 로 골세포가 생존해있으므로 이식골 및 수여부 사이의 면은 잠행성 치환으로 대치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 골 절 치유의 기전으로 회복된다1 5 , 2 8 ). 따라서 짧은 기간의 고정기간과 빠른 이식골의 유합 및 비대를 보일 수 있 다. 일반적으로 비골이식은 비골 근위부와 요골의 관 절면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비교적 양호한 완관절의 관절운동범위가 유지될 수 있으며 방사선 사 진상 관절간격의 협소함을 보이기는 하지만 거의 동통 을 호소하지 않는다.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서는 완관절 인대재건의 실패로 인한 전방 아탈구가 발생할 수 있으며 퇴행성 변화로 인한 동통의 발생, 지연 유합 이 있다. 또한 이러한 술식을 사용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서 첫째 상당히 긴 수술시간과 어려운 수 술적 수기가 요구되며, 둘째 술전 혈관조영술을 통한

철저한 검사가 필요하며, 셋째 비골동정맥이 상당히 낮은 부위에서 분지할 경우 영양동맥이 비골에 들어가 는 부위도 낮아지게 되므로 비골채취시 길게 채취되어 고식적인 방법과는 달리 원위요골 또한 비골의 길이에 맞게 필요이상 길게 절제되어야 하며 또한 긴 피부절 개선이 필요하게 된다1 8 ). 본례에서는 원위요골에 발생 한 거대세포종의 치료로서 8례에서 광범위 절제술과 함께 완관절 재건술을 시행하였으며 그 중 1례는 척골 전위술을 7례에서 생비골 이식술을 시행하였다. 문헌 고찰에서와 같이 1례에서 관절 전방 아탈구가 발생하 였으며 척골 전위술에서 제한된 관절 가동범위를 보이 고 있으나 재수술을 요할 정도의 심각한 합병증은 발 생되지 않았으며 만족할 만한 일상생활유지로 인해 성 공적인 치료법이라 사료된다.

원위 요골에서 발생하는 거대세포종의 치료에 있어 골성구조가 비교적 잘 유지되어 있는 종괴의 경우 소 파술 및 골이시술, 시멘트 충진술의 좋은 적응증이 되나 국소 재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면밀한 추시 관찰 이 필요하며 척골 전위술 및 완관절 고정술은 술후 동통이 없고 안정성을 줄 수 있으나 관절 운동 범위 의 감소가 발생한다. 생비골 이식을 사용한 관절 재 건술은 원위 요골과 유사한 모양의 비골을 사용함으 로서 해부학적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완관절 기 능의 보존 및 큰 골결손 회복의 신속함등의 장점이 있다. 단점으로 긴 절개선, 긴 수술시간, 어려운 수술 적 수기, 아탈구, 불유합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위험 이 있다. 따라서 적응증에 따라 적절한 수술적 방법 을 선택하는 것은 재활과 재발 방지를 위해 필수적이 라 사료된다.

REFERENCES

01) Bajee J and Gang RK : Bone reconstruction with a free vascularized fibular graft after giant cell tumour resection.

J Hand Surg, 18-B:565-567, 1993.

02) BhanS and Biyani A : Ulnar translocation after excision of giant cell tumour of distal radius. J Hand Surg, 15-B:496- 500, 1990.

03) Campanicci, Baldini N, Boriani S and Sudanese A : Giant cell tumor of bone. J Bone Joint Surg, 69-A:106-114, 1 9 8 7 .

04) Campanicci M, Laus M and Boriani S : Resection of the

(8)

distal end of the radius. Italian H Orthop and Traumat, 5:

145-152, 1979.

05) Campbell CJ and Akbarnia BA : Giant cell tumor of the radius treated by massive resection and tibial bone graft. J Bone Joint Surg, 57-A:982-986, 1975.

06) Dahlin DC, Cupps RE and Johnson EW Jr : Giant-cell tumor, a study of 195 cases. Cancer, 25:1061-1070, 1970.

07) Gold AM : Use of a prosthesis for the distal portion of the radius following resection of a recurrent giant-cell tumor (follow-up note). J Bone Joint Surg, 47-A:216-218, 1965.

08) Goldenberg RR, Campbell CJ and Bonfiglio M : Giant- Cell Tumor of Bone. An Analysis of Two Hundred and Eighteen Cases. J Bone Joint Surg, 52-A:619-664, 1970.

09) Kocher MS, Gebhardt MC and Mankin HJ : Recon- struction of the distal aspect of the radius with Use of an Osteoarticular Allograft after Excision of a Skeletal Tumor.

J Bone Joint Surg, 80-A:407-419, 1998.

10) Lawson TL : Fibular Transplant for Osteoclastoma of the Radius. J Bone Joint Surg, 34-B:74-76, 1952.

11) Mankin HJ, Fogelson FS, Thrasher AZ and Jaffer F : Massive resection and allograft transplantation in the treat- ment of malignant bone tumors. N Engl J Med, 294:1247- 55, 1976.

12) Marcove RC, Weiss LD, Vaghaiwlla M, Pearso R and Huvos A : Cryosurgery in the Treatment of Giant Cell Tumor of Bone. A Case Report of 52 Consecutive Cases.

Cancer, 41:957-969, 1978.

13) McDonald DJ, Sim FH, McLeod RA and Dahlin DC : Giant-cell tumor of bone. J Bone Joint Surg, 68-A:235- 242, 1986.

14) Murray JA and Schlafly B : Giant-cell tumors in the distal end of the radius: Treatment by resection and fibular autograft interpositional arthrodesis. J Bone Joint Surg, 68-A:687-694, 1986.

15) Ostrup LT : The free, living bone graft - an experimental study. Linkoping University Medical Dissertations, 1975.

16) Parrish FF : Treatment of Bone Tumors by Total excision and Replacement with Massive Autogenous and Homo- genous Grafts. J Bone Joint Surg, 48-A:968-90, 1966.

17) Pho RWH and Balachandran N : Reversed proximal fibular graft in replacement of massive resection of lower

end of radius in giant cell tumour. Paper presented at the 7th Singapore Orthopaedic Meeting, 1978.

18) Pho RWH : Malignant giant-cell tumor of the distal end of the radius treated by a free vascularized fibular trans- plant. J Bone Joint Surg, 63-A:877-884, 1981.

19) Rock MG, Tritchard DJ and Unni KK : Metastases from Histologically Benign Giant-Cell Tumor of Bone. J Bone Joint Surg, 66-A:269-274, 1984.

20) Schajowicz FL : Giant Cell Tumor(Osteoclastoma). A Pathological and Histological study. J Bone Joint Surg, 43-A:1-29, 1961.

21) Seradge H : Distal ulnar translocation in the treatment of giant-cell tumors of the distal end of the radius. J Bone Joint Surg, 64-A:67-73, 1982.

22) Sheth DS, Healey JH, Sobel M, Lane JM and Marcove R C : Giant cell tumor of the distal radius. J Hand Surg, 20A:432-440, 1995.

23) Shifrin LZ : Giant Cell Tumor of Bone. Clin Orthop, 82:59-66, 1972.

24) Smith RJ and Mankin HJ : Allograft replacement of distal radius for giant cell tumor. J Hand Surg, 2:299-309, 1977.

25) Stewart MJ and Richardson TR : Giant-cell tumor of bone. J of Bone Joint Surg, 34-A, 372-386, 1952.

26) Szabo RM, Thorson EP and Raskin JR : Allograft replacement with distal radioulnar joint fusion and ulnar osteotomy for treatment of giant cell tumors of the distal radius. J Hand Surg, 15-A:929-933, 1990.

27) Taylor GI, Miller GDH and Ham FJ : The free vascula- rized bone graft.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55:

533-544, 1975.

28) Tschopp JH : Microsurgical neuro-vascular anastomoses for transplantation of composite bone and muscle grafts- and experimental study, Berlin,Heidelberg,New York, Springer-Verlag, 1976.

29) Weiland AJ, Kleinert HE, Kutz JE and Daniel RK : Free vascularized bone grafts in surgery of the upper extremity. J Hand Surg, 4:129-144, 1979.

30) Wilson PD Jr : A clinical study of the biomechanical behavior of massive bone transplants used to reconstruct large bone defects. Clin Orthop, 87:81-109, 1972.

수치

Table 1. General datas on nine patients
Fig. 1. A, B. AP and lateral radiographs of giant cell tumor of distal radius, revealing osteolytic cystic lesion with cortical thinning.
Fig. 3. A, B. Radiographs of Right distal radius revealing cystic lesion compatible with giant cell tumor
Fig. 4. Volar subluxation developed at Postoperative 19 months after vascularized fibular graft.

참조

관련 문서

In this study, a fine Ce 3 Al 11 phase catalyst was synthesized by mechanochemical reaction and the influence of the catalyst on the NaAlH 4 hydrogen storage properties

Subjects with a smoking period of 1 to 3 years had a high smoking cessation success rate (p=0.024), and the lower the average daily smoking amount, the higher the

The average surface area from which the dental artificial plaque was removed using the standard manual toothbrushes was 116.41 ㎟ and using the slim bristle toothbrushes it

Fluorescence from initial carious lesion of teeth illuminated by an LED light was observed through barrier filter and the number of teeth showing lesion,

The average tensile strength value before heat treatment of PLA output was 9.67 N/㎟, and the average tensile strength value after heat treatment was 24.17 N/㎟, which

Second, The cause for learning disabilities showed the high percentage of biological elements just like the research ten years ago while there were also lots

The method was analyzed in terms of appearance, music, and method of map, with six types of ultra-high quality textbooks published over the past five

As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ncreased, the score for leisure satisfaction was high, and as the external mo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