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A Concept Analysis on the Resilience of Married Immigrant Women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유연성(Resilience) 개념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A Concept Analysis on the Resilience of Married Immigrant Women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유연성(Resilience) 개념분석"

Copied!
8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유연성(Resilience) 개념분석

최 연 희1· 박 지 은2

1경북대학교 간호대학 교수

2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전임강사

A Concept Analysis on the Resilience of Married Immigrant Women

Choi, Yeon Hee

1

· Park, Ji Eun

2

1

Professor, College of Nursing,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

Full-time lecture, College of Nursing, Taegu Science University

Purpose: This study is aimed at organizing the vague concept of the resilience and presenting the clear defini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meaning and properties of the resilience.

Methods: This study uses Walker and Avant’s (2005) method of concept analysis as a framework to analyze the concept of the resilience. Result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1) self-efficacy 2) self-esteem 3) communication skills 4) hope (optimism) 5) social support were identified as properties of the resilience. The area of the resilience are divided into personal, family, and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preceding elements include disorders, anxiety, depression, aggression, antisociality, death, illness, divorce, unemployment, family conflict, bullying, school violence, peer relationship, experience of hazardous environments and dysfunctional communities. Through self-efficacy, self-esteem, communication skills, hope (optimism), social support and interaction between family members, the results of the increased self-efficacy and self-esteem as well as improved sociality, academic performance and adaptability can be deduced. Conclusion: The concept of resilience is considered to be the core concept that can be applied in a variety of nursing areas in addition to issues related to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is regard, the exact understanding of resilience elements that subjects have in each nursing area can lead to devising interventions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the subjects.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conduct a research for development of tools used to measure the resilience of married immigrant women.

Key Words: Married immigrant women, Resilience, Concept analysis

1. 연구의 필요성

개념은 지식 생성 및 전달 수단이 되고 학문적 의사소

통을 자극하며, 과학적 이론 구축의 기본 단위로 연구와 이론개발의 기초를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자신의 생각을 누군가에게 이해시키려고 할 때, 또는 아주 새로운 어떤 것을 정의하려고 할 때 그 개념이 정의되어 있지 않으면 의사소통 즉, 서술 및 설명에 곤란을 겪게 된다. 개념은

주요어: 결혼이주여성, 적응유연성, 개념분석 Address reprint requests to : Park, Ji Eun

College of Nursing, Taegu Science University, 47 Youngsong-ro, Buk-gu, Daegu, 702-723, Korea Tel : 82-10-****-****, E-m ail : Park-jieun@hanm ail.net

(2)

이론을 구축하기 위한 벽돌 즉, 지적인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개념은 어떠한 현상에 대한 지적인 이미지로서, 어 떤 사물이나 활동에 대하여 마음속에 떠오르는 생각 혹은 구상과 같은 것이다. 개념은 언어를 통해 표현되며, 다른 사람들과 자신의 생각에 대해 의사소통하는 데 이용된다 (Walker & Avant, 2005).

하나의 개념이 이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그 개념의 사용자들간에 높은 간주관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높은 간주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개념 분석이라는 접근방법이 활용되는 바, 이는 이미 개발된 개념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개념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 는 정신적 활동을 의미한다(Koo, 1998). 또한 개념은 이 론의 기본 구성요소로서 개념개발은 이론개발의 필수적인 과정이다. 개념개발의 궁극적인 목적은 그 현상에 맞는 개념이 제대로 붙여졌는지 명료화시키는 것으로서, 인간 의 행위에 의미있는 것을 서술, 설명하고 또한 간호의 관 심있는 현상을 서술하기 위함이다. 개념들을 분명하게 서 술하면 서로간의 관계를 알 수 있고 의사소통이 쉽게 된 다(Yang, 1995).

최근 우리사회의 국제결혼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 히 1990년대 이후 한국의 남성들은 동남아시아, 러시아 등지의 외국인 아내를 맞이하는 현상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2010년 한국의 국제결혼은 총 혼인 건수의 10.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중 한국 남자와 외국인 여자 의 국제결혼이 76.8%에 도달하고 있다(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1).

이는 국내 결혼시장의 변화로 인해 국내에서 신부감 찾기 에 실패한 한국남성들이 외국인 신부를 찾는 경향이 증가 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혼이주여성의 증가는 한국 사 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자녀를 낳아 기르고, 한국의 국적 을 가지고 규범과 문화를 수용하고 적응해가는 과정이 더 욱 많이 요구되는 사회 구성원의 수가 증가함을 말하는 것으로 우리사회의 관심과 연구의 영역이 되고 있다 (Hong, 2000).

우리 사회에서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관심의 초점은 ‘적 응’에 모아진다고 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이주 당사자의 한국사회, 좁게는 거주하는 지역사회에서의 적응이 가장 큰 이슈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지금까지 국내연구 역시 이들의 한국사회 ‘적응’문제가 가장 중요한 주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적응의 문제는 특히 결혼이주여성에 관한 연구의 주요한 흐름을 형성한다. 결혼이주여성은 한 국인 남성과 가족을 구성하고 자녀를 출산·양육하며 국

내에 영구거주하기 때문에 이들의 적응문제가 사회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Yim, 2009). 그러나 결혼이주 여성은 사회·문화적 적응 문제, 언어 문제, 경제적 문제, 지원체계부족 등으로 인해 다양한 신체적 정신적 건강문 제를 가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적절한 건강관리를 수행 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Jeong & Lee, 2010).

또한 최근에 진행되었던 많은 연구들에서는 결혼이주여 성들이 가족 안에서의 갈등을 극복하고 한국에서 결혼생 활을 유지하고 적응하면서 살 수 있도록 한 힘이 무엇인 지에 대해 살피는 연구는 부재한 상황이다. 또한 문제중 심적인 것이 아닌 긍정적인 관점, 강점을 강조하는 관점 은 문제해결과 성장을 위한 가족들의 잠재력을 확신하고, 고통받는 가족을 도전받고 있는 가족으로 보는 관점을 말 하며, 이러한 관점에 기반한 레질리언스는 역경으로부터 다시 일어나 강해지고 자원을 더욱 풍부하게 할 수 있는 능력(Walsh & Routh, 1998)으로서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새로운 관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의 접근은 이들 결혼이주여성들을 사회적 낙인으로부터 보호하며, 이들에 대한 새로운 개입의 방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결혼 이주여성들이 그들의 어려움을 극복하는데 활용한 강점과 긍정적인 측면이 무엇인지를 이해할 수 있다면, 결혼이주 여성들이 경험하고 있는 문제들에 대한 새로운 대안을 찾 을 수 잇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새로운 대안을 찾기위한 선행작업으로서 결혼이주여성들에 대한 새로운 관점에서 의 이해가 필요하다.

레질리언스는 모든 인간은 어려움이나 스트레스 상황에 처해 있을때 이를 이겨낼 수 있는 긍정적인 힘과 강점을 지니고 있다는 전제에서 나온 개념으로 스트레스나 위기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스트레스 이전의 적응수준 으로 복귀할 수 있는 힘이나 능력이다(Luthar, Cicchetti,

& Becker, 2000). 또한 적응유연성(resilience)이란 생의 과 정 가운데 어려운 상황이나 역경, 스트레스, 고통을 성장 의 경험으로 전환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능력을 말한다 (Polk, 1997). 이 개념은 초기에는 발달심리학 분야에서 많이 이루어지게 되었지만, 최근에는 간호학에서도 질병 의 예방이나 건강증진과 관련되어 관심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발달심리학이나 교육학, 사회복지학의 분

야에서는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어지고 있으며, 간호학

에서도 다양하게 연구가 진행되어오고 있으나 이 개념을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외국에서조차도 이 개념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어지고 있고,

더욱이 우리말로 이 용어를 대변할 수 있는 것을 찾기

(3)

어렵기 때문에 외국의 용어를 우리가 이해하고 이를 연구 에 적용하거나 활용하고자 할 때에는 그 개념자체로서의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우선 되어야 할 것이다 (Kim & Yoo, 2010).

따라서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유연성의 개념분 석을 통한 속성을 파악하고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함으로 써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증진시켜 줄 수 있는 간호중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적응유연성의 의미와 속성을 파악하 여 이를 분석함으로써 적응유연성에 대한 모호한 개념을 정리하고 이해를 도우며 정의를 명확히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적응유연성의 개념을 분석하기 위한 방 법으로 Walker와 Avant (2005)의 개념분석 절차를 이용하 고자 하며, 구체적인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적응유연성 개념의 사용범위를 확인한다.

2) 적응유연성 개념의 정확한 속성을 정의한다.

3) 적응유연성 개념의 모델사례를 제시한다.

4) 적응유연성 개념의 추가적 사례를 제시한다.

5) 적응유연성 개념의 선행요인과 결과를 확인한다.

6) 적응유연성 개념의 경험적 준거를 결정한다.

본 론

1. 적응유연성 개념의 사용범위

1) 사전적 정의

적응유연성 개념의 사전적 정의를 살펴보면 Webster Dictionary (2004)에서는 resilience를 되튀기다는 뜻인 동 사 resilire에 명사형 어미 ence를 붙여 튀어오르는 행위, 외부의 압력에 의해 변형된 물체가 이전의 크기와 모양으 로 되돌아가는 능력, 탄력의 한계를 초과하지 않은 압력 의 범위내에서 탄성체가 회복할 수 있는 잠재적인 에너지

로 정의하고 resilient를 사람에게 사용할 때는 허약함 또 는 우울 후에 용기 또는 활기를 얻기 쉬움으로 정의하였 다. 즉, 변화나 역경에 대하여 의연하게 적응하는 능력 또 는 이전 상태로 회복하는 능력을 의미한다고 정의하였다.

Oxford Dictionary (2009)에서는 사람에게 쓰일 때 질 병, 우울, 충격, 역경으로부터 빨리 회복하는 힘으로 정의 하였다.

이상의 사전적 정의를 종합할 때 resilience는 무생물과 생물에서 같이 쓰여지고 있으며 사람에게 쓰여질 때는 모 두 질병, 충격, 우울, 역경으로부터 빨리 회복하고 적응하 는 힘으로 기술되고 있다.

2) 문헌적 정의

적응유연성에 대한 학자들의 개념 정의를 보면, Garmezy (1993)는 위험한 환경에 처한 아동의 개인적 특 징으로 모욕을 당한 후 적응행동을 회복하고 유지하는 능 력이라고 하였으나, McCubbin (1988)은 이 개념을 가족이 위기의 상황에 저항하도록 돕는 가족의 특징적인 면으로 정의하였다. Wagnild와 Young (1993)는 변화와 불행을 성 공적으로 대응하는 능력으로 정의하였고, Mastrn (2001)는 몇몇 사람에게만 나타나는 특수한 속성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이 고위험 환경, 스트레스 상황에 적응하는 과정에 서 발휘할 수 있는 보편적인 적응기제라고 하였다.

Olson, Bond, Burns, Vella-Brodick, & Saeyer (2003)은 적응유연성을 인생을 살아가는 동안 위험과 해로운 사건 의 영향을 바꾸도록 작용하는 개인의 내·외적인 보호과 정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역동적인 과정으로 개념화하였 으며, Walsh (2003)는 적응유연성은 스트레스가 높은 삶 의 변화로부터 오는 충격을 중재하는 개인, 가족, 사회적 상호작용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Fanagy, Steele, M., Steele, H., Higgit, & Target (1993)은 적응유연성을 ‘어려 운 조건하에서의 정상적인 발달’로 기술하고 있다.

Mandeco와 Peery (2000)은 개인의 불행한 인생경험에도

불구하고 성공할 수 있는 적응적이고, 스트레스에 저항하

는 개인적인 자질이라고 하였고, Rew와 Horner (2003)는

개인의 역량에 대한 신념과 개인의 적응을 강화하는 자신

과 삶의 수용이라 하였고, Magalit (2004)은 적응유연성을

역경을 거치면서 겪게 되는 긍정적 적응의 역동적인 과정

이라고 하였고, Gillespie, chabcyer, wallis & Grimbeek

(2007)은 적응유연성의 속성을 자기효능감, 희망, 대응기

제라고 정의하였으며, 적응유연성의 결과는 통합, 조절

능력, 적응과 성장이라고 하였다.

(4)

properties of resilience

external factors self-efficacy

self-esteem communication skills hope (optimism)

Internal factors social support

Table 1. Properties of Resilience

Park (1998)은 동일한 위험상황에서도 효과적으로 적응 하고 회복하는 능력이라 하였고, Kang (2006)은 불행이나 어려움 속에서 본래의 기능으로 회복하는 적응수준이라 하였고, Kim (2012)는 외상과 문화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정상수준의 기능을 유지하며 살아가는 개인내적 특성, 대 처양상 및 보호요인이라 하였고, Kim (2009)은 적응과 발 달을 위협하는 역경이나 위협에도 불구하고 성공적으로 적응하여 유능성을 유지하는 것이라 하였고, Lee와 Jo (2006)는 개인내적 특성과 외적 보호요인이 상호작용하여 위험요인들을 중재하여 긍정적으로 적응해 나가도록 돕는 과정적 능력이라 하였다.

적응유연성은 다시 돌아오는 경향, 회복력, 탄성력 등 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연구자에 따라 ‘적응유연성’, ‘탄력 성’, ‘회복력’, ‘유연성’, ‘resilience’등으로 칭해지고 있다 (Jung, 2007). 간호학 분야에서는 회복력, 복원력으로 정 의되어지기도 하지만 이러한 용어는 인간의 심리사회적인 면을 나타내기에는 부족함이 있어, 극복력이라는 용어가 제시되기도 하였다(Kim ,2010). 그러나 회복력, 복원력, 극복력은 어떤 역경에 의해 상태가 변화되었다가 원상태 로 회복하고자 하는 의미로 비교적 명백한 위협이 있을 때 사용하는 경우가 흔한 반면, 통상적으로 스트레스에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는 개인의 지속적인 능력을 일컫는 데 있어서는 포괄적인 개념인 적응유연성이 적합하기 때 문에(Song, Lim & Nam, 2006), 최근 들어서는 간호학, 심리학, 사회복지학, 교육학 분야에서도 적응유연성이라는 용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Kang, 2006; Song, Lim &

Nam, 2006).

2. 적응유연성 개념의 속성

이상의 문헌고찰 결과를 토대로 적응유연성 개념의 정 의에서 적응유연성의 속성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Table 1).

1) 자기효능감(Self-Efficacy)

어떤 어려운 일을 맡더라도 충분히 잘해낼 수 있다는 자기 자신에 대한 확신

2) 자아존중감(Self-esteem)

자신의 가치나 중요성에 대한 자신의 평가적 태도 3) 의사소통기술

둘 또는 그 이상의 사람들 사이에서 사실, 생각, 의견 또는 행동에 변화를 일으키게 하는 일련의 행동

4) 희망(낙관주의)

앞으로 잘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앞일에 대하여 어떤 기대를 가지고 바람

5) 사회적지지

상호호혜적인 특성을 지닌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사회적 환경이나 사회적 관계의 특성에 따라 영향

3. 사례

1) 모델사례

모델사례는 개념의 모든 중요한 속성을 포함하고 있으 며 어떤 다른 개념의 속성은 포함하고 있지 않는 사례로 서 사람들이 정확하게 그 개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필수 적인 양상이 무엇인지를 보여준다(Walker & Avant, 2005).

23세된 누엔***는 베트남 여성으로서 한국의 농촌 총

각과 결혼한 결혼이주여성이다. 결혼하여 시댁의 부모와

한 집에서 살고 있는데, 임신을 하였으나 의사소통이 잘

안되고, 문화적 차이로 식사도 잘 못하고 있으나 도망갈

(5)

우려가 있다며 한글교실 수업 연계도 안하고 일체 바깥 출입을 금지시키고 있어, 마을 이장댁에서 보건소에 전화 로 가정방문 신청을 하였다.

그 후 보건소에서 방문한 간호사가 지금 상황이 어렵 고 힘들겠지만 충분히 잘 이겨낼수 있다고 자기 자신에 대한 확신을 시켜주었다(자기효능감). 계속된 방문간호사 의 피드백으로 누엔***은 점점 자신이 가치있는 존재이 고, 자기 자신을 능력있는 존재로 인식하기 시작했다(자 아존중감). 그후 센터에서 운영하는 한글교실에 적극 참 여하여(사회적지지) 가족과의 의사소통도 원할히 하고, 그 에 따른 의사소통 기술도 배우고 있다. 또한 더 이상 침 묵하지 않고 일이 생길 때 마다 가족들과 같이 상의하고, 풀어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의사소통). 누엔***은 가 족의지지 속에서 순조롭게 출산할 것이라는 믿음과 태어 날 아기와의 행복한 생활을 꿈꾸며 희망적이며 긍정적으 로 잘 적응해 나가고 있다(희망, 낙관주의).

2) 경계사례

경계사례는 인접사례로 개념의 중요한 속성 모두를 포 함하지 않고 개념 속성의 일부만을 포함하는 개념사용의 실례인데(Walker & Avant, 2005), 이 예를 통해서 왜 모 델사례가 될 수 없는가를 보여주고, 실제 개념의 명확하 고 중요한 속성을 확인하는데 도움을 준다.

11세된 초등학교 4학년인 A는 지난 달 전학을 왔다.

그런데 최근 A는 학교에 가기 싫다는 말을 많이 하고 있 다. A의 어머니가 왜 학교에 가기 싫으냐고 묻자, 학교생 활이 아직 낯설고, 친구들도 많이 사귀지 못하고, 공부에 흥미도 없어, 학교에 가기 싫다고 말한다.

그러자 어머니는 A와의 잦은 대화로 A가 좀더 학교생 활을 잘 할 수 있도록 해 주었다(의사소통). 그러자 A가 점점 학교에 가기 싫다는 말이 줄어들고, 학교생활을 잘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믿음을 가지게 되었고 희망적으로 변하고 있다(희망, 낙관주의).

3) 관련사례

관련사례는 분석하는 개념과 아주 유사하지만 자세히 검토하면 차이가 있는 관련되는 개념에 대한 사례이다 (Walker & Avant, 2005). 즉, 주개념과 아주 유사하지만 자세히 검토해보면 주개념과는 다른 경우이다.

28세된 링링***은 중국여성으로 결혼이주 여성이다.

현재 한국 생활에 빨리 적응을 하기 위하여 여러 프로그 램에 참여하고 있다. 프로그램에 적응을 잘하고 적극적으 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이긴 하나, 프로그램에서 만난 같 은 중국인 여성과는 서로 다투는 일이 많다.

4) 반대사례

반대사례는 정의된 속성과 반대되고, 그 개념이 분명히 아닌 것을 나타내는 사례이다(Walker & Avant, 2005). 우 리는 어떤 상황을 설명할 때 반대상황을 설명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는 반대 설명이 더욱 이해를 쉽게 하기 때문이다.

31세된 리에**는 일본 여성으로서 한국에 유학을 왔다 가 한국인 남성을 만나 결혼을 하여 한국에 살고 있다.

한국생활에 적응하기 위하여 주위 사람들에게서 한국적응 프로그램(요리, 한글교실 등)에 참여하기를 권유받았으나, 무시하며 참석을 하지 않는다.

4. 선행요인과 결과의 확인

선행요인은 개념의 발생 전에 일어나는 사건이나 일들 을 말하며, 결과는 그 개념의 결과로 발생한 일이나 사건 을 의미한다(Walker & Avant, 2005). 이 두 단계는 개념 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회적 맥락에서 고려할 만한 관 점을 제시할 수도 있으며, 개념의 속성을 한층 더 정련하 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Figure 1).

(1) 선행요인

① 개인요인 : 본인의 장애, 본인의 질병, 발육상태, 공격성, 비사교성, 우울 등

② 가족요인 : 부모의 자녀학대, 교육수준, 경제활동, 가족구조, 죽음, 이혼 등

③ 사회환경요인 : 왕따, 학교폭력, 유해환경경험, 역 기능적 지역사회 등

(2) 결과

① 사회성 향상

② 학업수행능력 향상

③ 사회능력 향상

④ 적응력 향상

(6)

Antecedents

⦁self-efficacy

⦁self-esteem

⦁communication skills

⦁hope(optimism)

⦁social support

⦁interaction between family members

⦁increased self-efficacy

⦁increased self-esteem

⦁improved sociality

⦁improved academic performance

⦁improved adaptability

⦁personal factors ( disorders, anxiety, depression,

aggression, antisociality)

⦁family factors (death, illness, divorce, unemployment, family conflict)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bullying, school violence, peer

relationship, experience of hazardous environments, dysfunctional communities)

Properties of

resilience Consequences

5. 경험적 준거

개념분석의 마지막 단계인 경험적 준거는 개념의 속성 이 실제 현장에서 존재함을 보여주는 것이다(Walker &

Avant, 2005). 개념이 추상적일 때 그 개념을 실제 현장 에서 구체적으로 관찰할 수 있고 측정할 수 있는 지시물 또는 참조물이 있어야 한다. 실제 현장의 구체적 지적을 통해 그 개념이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게 해준다. 한 개 념이 가진 관찰할 수 있는 특성을 지적하는 것은 언어를 사실에 연결짓게 하므로 그 뜻을 정확하게 전달해준다.

Kim(2010)은 10~15세의 천식, 당뇨 등으로 진단받은 만성질환아 202명을 대상으로 만성질환아의 극복력 척도 를 개발하였다. 총 32문항의 4점 척도로서, 긍정적 자기 이해 10문항, 대처양상 특성(자립성과 자원동원성) 12문 항, 대인관계 특성(긍정적 가족관계 인지와 친밀성) 10문 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적응유연성 신념체계(resiliency belief system)는 Jew가 개발한 것을 수정하였는데, 12가지 적응유연성 요소를 다 음 3가지 영역으로 나누었다. 기술습득에 대한 적극성 (active skill acquisition), 미래지향성(future orientation), 독 립성/위기대처능력(independent/risk taking)의 전체 45문항 으로 구성되어 있고 6점 척도로 45∼270점의 점수범위를 지니고 있다.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적응유연성 척도에는 Wagnild와 Young (1993)이 개발한 도구가 있다. Wagnild와 Young의 적응유연성 척도는 성인 여성의 적응유연성을 측정하는

척도로서 총 26개 문항, 7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개 인적 유능감(personal competence), 자기에 대한 수용 (acceptance of self), 삶에 대한 수용(acceptance of life)으 로 구성되어 있다.

결론 및 제언

적응유연성(resilience)이란 생의 과정 가운데 어려운 상 황이나 역경, 스트레스, 고통을 성장의 경험으로 전환하 고 앞으로 나아가는 능력을 말하는데, 최근 간호학에서도 다양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적응유연성에 관한 명 확한 개념이 없어. 본 연구를 통해 적응유연성 현상을 명 확하게 정의하고 우리나라의 상황에서 관찰되어지는 적응 유연성 속성과 정의를 확인함으로써 간호 대상자의 적응 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증진시켜 줄 수 있는 간호중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적응유연성이라는 개념은 결혼이주여성뿐만 아니라 다

양한 간호영역에서 적용될 수 있는 핵심개념이다. 따라서

각 간호영역에서 대상자들이 갖는 적응유연성의 요소를

정확히 이해한다면 대상자의 적응유연성을 강화시키는 중

재를 고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결혼이주여성의 적응

유연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개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

(7)

References

Fanagy, P., Steele, M., Steele, H., Higgit, A., & Target, M. (1993). The theory and practice of resilienc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5(2), 231-257.

Garmezy, N. (1993).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Psychiatry, 56, 127-136.

Gillespie, B. M., Chaboyer, W., Wallis, M., Wallis, M.,

& Grimbeek, P.(2007), Resilience in the operating room : developing and testing of a resilience model.

Journal of Avanced Nursing, 59(4), 427-438.

Hong, K. H. (2000). The gender politics of migration viewd through marriages between chosun-jock women and korean m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Jeong, N. O., & Lee, M. H. (2010). Predictive model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women who immigrate for marri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695-704.

Jung, I. S. (2007). The effect of resilience enhanc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chool adjustment and stress coping 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ang, S. K. (2006).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variables related to Adolescents Resilience. Journal of Adolescents Welfare. 8(2). 49-68.

Kim, D. Hee., & Yoo, I. Y. (2010).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measure resilience in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236-246.

Kim, H. A. (2012). Validation of a resilience scale for north korean youth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Psychology Association. 9(1). 25-46.

Kim, S. G.(2009). The Moderating Effect of Protective Factors on School Resilience of Korean Adolescents in Poverty. Journal of Korean youth studies. 16(10), 103-123.

Koo, O. H. (1998). An analysis of the concept Empower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37-46.

Korea National Statistics Office. (2011). Marriage rate for

Korean men and foreign women; Population movement study. Seoul

Lee, H. R., & Jo, H. (2006). A validation study of Resilience scale in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8(2). 353-371.

Luthar, S. S., Cicchetti, D., & Becker, B. (2000).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71, 543-562.

Magalit, M. (2004). Second-generation research on resilience : Social-emotional aspect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Learning Disabilities Research and Practice, 19(1), 45-48.

Mandleco, B. L., & Peery, J. C. (2000). An organizational framework for conceptualizing resilience in children.

Journal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Nursing, 13, 99-111.

Masten, A. S. (2001). Ordinary magic : Resilience processes in development. The American Psychologist, 56(3), 227-238.

McCubbin, H. I., & McCubbin, M. A. (1988). Typologies of resilient families emerging roles of social class and ethnicity. Family Relations, 37, 247-254.

Olsson, C. A., Bond, L., Burns, J. M., Vella-Brodrick, D. A., & Saeyer, S. M. (2003). Adolescent resilience:

a conceptual analysis. Journal of Adolescence. 26, 1-11.

Mike. M (2009). Oxford advanced learner’s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U. K

Park, H. S. (1998). The developmental mechanism of school resilience of Korean aldolescents in poverty.

Journal of Korean youth studies. 5(3), 147-165.

Polk, L. V. (1997). Toward a middle-range theory of resilience. Adv Nurs Sci, 19(3), 1-13.

Rew, L., & Horner, S. D. (2003). Youth resilience framework for reducing health-risk behaviors in adolescent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18, 379-388.

Song, H. Y., Lim J. Y., Nam, K. A(2006). Validation of resilience scale in kore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15(1), 31-39.

Walker, L. O., & Avant, K. C. (2005). Strategies for

(8)

theory construction in nursing. 4th. ed. Norwalk:

Appleton & Lange.

Wagnild, G. M., & Young, H. M. (1993).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resilienc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 165-178.

Walsh, H., & Routh, D. K. (1998). The Effect of the first child on the marital relationship.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3(4), 785-788.

Noah. W. (2004). Webster’s new world college dictionary.

New York : Macmillan.

Yang, K. H. (1995). An analysis of the concept Fatigu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dult Nursing, 7, 270-278.

Yim, S. H. (2009). An analysis of determinant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adaptation to their communities.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12(4), 364-387.

수치

Table 1. Properties of Resilience

참조

관련 문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concept of affordance in multi-media environment and to seek development plan of more efficient interface

In this study, using concept mapping of a variety of learning techniques in the area of science, especially biology,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on professional self-concept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A A A Study Study Study Study Analysis Analysis Analysis Analysis of of of of the the the the J. Bach, a representative composer in Baroque period. Composed

In this study, a family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health, self-resilience, recreation and leisure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were

Second, a frequency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centrality of the words in the main texts of the units dealing with “sustainable” core concept wa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ss and the features of corporate e-Learning as a form of informal learning. For this purpose, the concept of

The aim of this study was not only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ego-resilience between students with high experience and students with low experience 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