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Chloral hydrate 및 midazolam으로 진정되지 않는환아에서 chlorpheniramine의 진정 효과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Chloral hydrate 및 midazolam으로 진정되지 않는환아에서 chlorpheniramine의 진정 효과"

Copied!
9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Vol. 21, No. 1, March, 2013

□ 원 저 □

Chloral hydrate 및 midazolam으로 진정되지 않는 환아에서 chlorpheniramine의 진정 효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김희나윤병규배시영손영준김영옥우영종

= Abstract =

Sedative Effect of Chlorpheniramine in Children Failed to sedate with Chloral hydrate and Midazolam

Hee Na Kim, M.D., Byung Gyu Yoon, M.D., Si Young Bae, M.D., Young Joon Son, M.D., Young Ok Kim, M.D., Young Jong Woo, M.D.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Purpose : To evaluate the sedative effect of add-on chlorpheniramine in children with neurologic diseases failed to sedate with chloral hydrate and midazolam.

Methods : Thirty three patients who had not been successfully sedated with oral chloral hydrate and intravenous midazolam for diagnostic examinations were attempted for sedation with intravenous chlorpheniramine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September 2007 to September 2012. The sedative effects were compared on the aspects of age, sex, body weight, dosage of drug and underlying neurologic conditions with the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Results : Among 33 patients, 26(78.7%) were successfully sedated and 7(24.2%) failed to sedate. The success rates were different by age and were decreased with age: 100%(0-4y), 84.6%(5-9y), 50%(10-14y). The effectiveness of chlorpheniramin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ages, sex, body weight, dosage of drug and the underlying neurologic conditions-developmental delay, seizures or organic brain lesions. Children with ADHD(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however,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success rate than the non-ADHD patient group (28.5%, P=0.002). No serious side effects were reported except for one case with transient perioral cyanosis.

Conclusion : Chlorpheniramine appeared highly effective in children with neurologic diseases who had not been sedated with chloral hydrate and midazolam. The efficacy seemed to be higher in the younger age groups and lower in children with ADHD.

Key Words : Chlorpheniramine, Children, Sedation, Chloral hydrate, Midazolam

1)

접수 : 2013년 2월 20일, 수정 : 2013년 3월 24일 승인 : 2013년 3월 28일

책임저자 : 우영종,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Tel : 062)220-6646 Fax : 062)222-6103 E-mail : yjwoo@jnu.ac.kr

서 론

소아에서 검사나 시술을 시행해야 하는 대부분의 경우 움직임에 제한을 두기 위해 적절한 진정 요법 이 필요하다1, 2). 이러한 경우 진정을 위해 chloral hydrate가 흔히 사용되는데 이는 경구 또는 비위관

(2)

을 통한 투여가 가능하여 정맥로의 확보가 필요없기 때문이다3). 그러나 Rumm 등의 보고에 의하면 chloral hydrate 사용시 14%에서 진정에 실패하며

4), Cortellazzi 등은 신경계 질환 환아에서 20%의 실패율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5). 또한 Choi 등은 chloral hydrate 사용 시 진정 실패율이 13-33%로 상당히 높으며 특히 신경계 질환이 있는 환아에서는 47%에서 진정에 실패한다고 보고하고 있다3). 이 경 우 midazolam, ketamine, diazepam 등이 흔히 병 용 사용되며 이러한 약제들에도 효과가 없는 경우 전신 마취도 고려할 수 있으나 실제 임상에서 적용 하기에 어려움이 있다6). 그래서 간편하면서도 부작 용이 적은 진정 방법이 요구되어 지며 thioridazine, clonidine, dexmedetomidine 등의 진정 약제에 대 한 사용경험이 보고되고 있다2, 7, 8).

항히스타민제인 chlorpheniramine은 알레르기 증상 치료제이며 부작용으로 진정 효과가 알려져 있 어 이를 줄이기 위한 새로운 항히스타민제가 개발되 어 왔다9). 그러나 부작용인 진정 작용을 고려하여 cocktail 진정 요법(pethidine, chlorpheniramine, chlorpromazine)에 사용되기도 하나 진정을 위한 약제로는 실제 임상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지는 않다

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chloral hydrate와 midazo- lam의 병용 요법으로 진정되지 않는 신경계 질환 환 아들에게 chlorpheniramine을 투여하고 그 진정 효 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 대상

2007년 9월부터 2012년 9월까지 5년간 전남대 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외래에 방문하였던 신경계 질환을 가진 환아 중 뇌파 및 뇌 영상 검사를 시행하 기 위해 chloral hydrate 및 midazolam으로 진정을 시도하였으나(3-17회) 진정이 매우 어려웠거나 진 정 실패하여 chlorpheniramine을 병용 투여하였던 총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전남대학교 생명의학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 하에 각 환자의

의무기록을 조사하여 후향적 연구를 통해 그 효과를 평가하였다.

2. 방법

본 연구에서 진정 유도 약물 및 투여 경로로는 chloral hydrate(Pocral, 50-100 mg/kg/dose) 경구 투여, midazolam (Dormicum 또는 Midazo- lam, 0.1 mg/kg/dose) 정맥 내 투여, chlorpheni- ramine (Chlorpheniramine maleate, 0.12 mg/

kg/dose) 정맥 내 투여 방법이 사용되었다.

진정의 평가는 의무기록 상 진정이 성공하였다고 기입된 경우 및 진정 여부에 대한 언급이 없을 경우 에는 효율적인 검사가 시행되었을 때 진정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진정 실패의 경우는 chloral hydrate를 kg 당 100 mg까지 경구 투여하되 최대 20 cc까지, midazolam은 0.1 mg/kg/dose로 2회까 지 정맥 내 투여하여 진정되지 않는 경우로 정의하 였다. 약물 반복 사용 횟수는 기록 부재인 경우가 많 아 사용된 약물의 총용량을 조사하였다. 각 환아의 성별, 나이, 체중, 진정 약물 용량, 시행 검사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기저 신경계 질환의 종류, 특히 경련, 발달 지연,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 유무 및 뇌 영상 검사 상 뇌 병변 유무, 항경련제에 의한 경련 조절 정도에 따라 chlorpheniramine의 진정 효과를 비교하였다.

3. 통계 분석

모든 자료의 통계학적 분석은 SPSS(SPSS ver.

12.0)를 이용하였다. 진정 성공한 경우와 실패한 경 우의 평균치 비교는 Mann-Whitney U test를 사용 하였고 기저 신경계 질환의 유무에 따른 진정 효과 의 비교를 위해 Chi-square 및 2-tailed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다.

P

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판정하였다.

(3)

Table 1. Age and Sex Distribution in the Patients with Add-on Chlorpheniramine for Sedation

Age Sex Number of

children Male Female

0-4 yr 5-9 yr 10-14 yr 15 yr- Total

5 7 7 3 22

0 6 3 2 11

5 13 10 5 33

Table 3. Age Distribution and Failure Rate of Add-on Chlorpheniramine for Sedation

Age Number of

children

Success Failure

Number % Number % P value*

0-4 yr 5-9 yr 10-14 yr 15 yr- Total

5 13 10 5 33

5 11 5 5 26

100 84.6

50 100 78.7

0 2 5 0 7

0 15.4

50 0

21.3 0.048

*Data analysed using Chi-square test

Table 2. Diagnostic Examination with Add-on Chlorpheniramine for Sedation

Examinations Success Failure Number EEG

Brain MRI Brain CT

21 6 1

6 1 0

27 7 1 Abbreviations: EEG, electroencephalogram: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CT, computed tomography

결 과

1. Chlorpheniramine의 진정 효과

전체 연구 대상은 신경계 질환 환아 33(남 22, 여 11)명으로 평균 연령은 9세 5개월(연령 분포: 15개 월-20세)이었고 5-9세 13명, 10-14세 10명으로 각각 39.4%, 30.3%이었다(Table 1). 사용한 약물 총용량은 chloral hydrate는 평균 76±35 mg/kg, midazolam은 0.14±0.07 mg/kg, chlorphenira- mine은 0.1±0.04 mg/kg이었다. 시행한 검사는 뇌 파 27례, 뇌 자기 공명 영상 7례, 뇌 전산화 단층 촬 영 1례가 있었고 2명의 환아에서는 뇌파와 뇌 영상 검사가 함께 시행되었다(Table 2).

전체 33명 중 진정 성공한 환아는 26명(78.7%) 이었으며 8명(24.2%)에서 실패하였다. 이를 연령별 로 살펴보면 0-4세까지는 5명 모두 진정에 성공하 였으며 5-9세에서 13명 중 11명이(84.6%), 10- 14세에서 10명 중 5명이(50%) 성공하는 결과를

보이다가 15세 이상에서는 5명 모두 진정에 성공하 는 결과를 보여 14세까지는 나이가 많을수록 chlor- pheniramine의 진정 성공률이 감소하였다(Table 3). 진정이 실패한 경우 더 추가적인 진정 약제를 사 용하여 진정을 유도한 경우는 없었다.

진정에 성공한 26명의 평균 연령은 104개월(연 령 분포: 15-247개월), 평균 체중은 31.1±16.6 kg였다. 약제 용량은 chloral hydrate가 평균 74±

31 mg/kg, midazolam은 0.13±0.06 mg/kg, chlorpheniramine는 0.1±0.4 mg/kg이었다.

진정에 실패한 8명의 평균 연령은 145개월(연령 분포: 85-215개월), 평균 체중은 39.8±12 kg 이 었고, 약제 용량은 chloral hydrate가 평균 66±38 mg/kg, midazolam은 0.19±0.08 mg/kg, chlor- pheniramine maleate는 0.09±0.01 mg/kg으로 성 공한 경우보다 실패한 경우에 평균 연령이 높았으며 평균 체중이 크고 chloral hydrate의 평균 용량이 적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Table 4).

(4)

Table 4.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Success and Failure Group in Add-on Chlorpheniramine for Sedation

Success Failure P value

Mean age (month) Body weight (kg) Sex

Male Female Dose (mg/kg) Chloral hydrate Chlorpheniramine Midazolam Total

104±58.4* 31.1±16.6*

18 8

74.9±31.7* 0.1±0.04* 0.13±0.06*

26

145.5±41.6* 39.8±12.0*

4 3

65.8±38.4* 0.09±0.017*

0.19±0.08* 7

0.151 0.159 0.661

0.333 0.403 0.134

*Data expressed as mean±standard deviation

Data analysed using Mann-Whitney U test

Table 5. Response to Add-on Chlorpheniramine for Sedation in Underlying Neurologic Abnormalities

Disease Success(%) Failure(%) Total P value*

Developmental delay Delay

No delay Seizure Seizure

Response to treatment Tractable

Intractable Number of AEDs 0-1

2 or more No seizure ADHD With ADHD Without ADHD

21(77.7) 5(83.3)

24(77.4)

17(73.9) 7(87.5)

17(85) 7(63.6) 2(100)

2(28.5) 24(92.3)

6(22.3) 1(16.7)

7(22.6)

6(26.1) 1(12.5)

3(15) 4(36.4)

0(0)

5(71.5) 2(7.7)

27 6

31

23 8

20 11 2

7 26

1.0

1.0 0.541

0.186

0.002

Abbreviations: AED, anti-epileptic drug: ADH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ata analysed using Fisher's exact test

2. 기저 신경계 질환과 chlorpheniramine의 진정 효과

진정 병합 요법을 사용한 33명의 신경계 질환 환 아들 중 경련성 질환이 있는 경우 31명, 발달 지연 을 보인 경우가 27명이었으며, 발달 지연 군 27명 중 경련성 질환을 동반한 환아가 26명이었다.

Chlorpheniramine을 병용 투여하여 발달 지연이 있 는 27명 중 21명에서(77.7%), 발달 지연이 없는 6

명 중 5명에서(83.3%) 진정에 성공하였으며, 경련 성 질환이 있는 31명 중 24명에서(77.4%), 경련성 질환이 없는 2명은 2명 모두(100%) 진정에 성공하 였으나 발달 지연, 경련성 질환 유무에 따른 통계적 으로 유의한 효과의 차이는 없었다(Table 5).

전체 33명 중 뇌 자기 공명 영상 및 뇌 전산화 단 층 촬영에서 뇌병변을 보인 경우는 12명으로 뇌병변 이 있는 12명 중 11명에서(91.6%), 뇌병변이 없는

(5)

Table 6. Response to Add-on Chlorpheniramine for Sedation in Organic Brain Lesions

Disease Success(%) Failure(%) Total P value*

Brain lesion on MRI or CT Abnormal

Cortical dysplasia PVL

Hydrocephalus Cerebral infarction Normal

11 (91.6) 8 (88.9)

1 1 1 15 (78.9)

1 (8.4) 1 (11.1)

0 0 0 4 (21.1)

12 9 1 1 1 19

1.0

0.642

Abbreviations: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CT, computed tomography: PVL, periventricular leu- komalacia

*Data analysed using Fisher's exact test 19명 중 15명(78.9%)에서 진정에 성공하여 뇌병변 유무에 따른 성공률의 차이는 없었다. 뇌병변의 종 류로는 피질 이형성증이 9명으로 이 중 8명(88.9

%)에서 진정에 성공하였으며, 이형성증이 없었던 3 명(뇌실주위 백질 연화증, 수두증, 뇌경색)은 모두 진정에 성공하였다(Table 6).

경련성 질환 군 31명 중 항경련제를 복용 중인 환 아는 23명이었다. 진정 유도를 시행할 당시 경련이 잘 조절되고 있었던 군은 23명으로 진정 성공률은 73.9%(17/23)였고 2가지 항경련제에도 경련이 잘 조절되지 않았던 군은 8명으로 역시 높은 87.5%(7/

8)의 성공률을 보였다. 복용 중이던 항경련제 개수 에 의한 성공률 차이는 0-1개일 때 85%(17/20), 2개 이상일 때 63.6%(7/11)로 항경련제 종류가 적 을수록 성공률이 높았으나 통계학적인 의미는 없었 다(Table 5).

대상 환아 중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를 동반 한 경우는 7명이었다. 이 중 2명에서 진정에 성공하 여 28.5%의 성공률을 보였고 행동 장애가 없는 26 명에서는 92.3%(24/26)의 높은 성공률을 보여 주 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를 동반한 경우는 chlor- pheniramine의 진정 효과가 높지 않았다(

P

= 0.002). 이들을 연령별로 나누어 보면 5-9세 3명 중 1명(33.3%)에서, 10-14세에서는 4명(100%) 모두 진정에 실패하였다. 7명의 환아 중 뇌 영상 검 사를 받았던 6명에서 뇌병변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7 명의 환아 모두 발달 지연 및 경련성 질환을 동반하

고 있었다.

3. Chlorpheniramine 진정의 부작용

Chloral hydrate, midazolam 및 chlorphenira- mine 병합 요법으로 인한 부작용은 거의 없었으나, 20세 남자 환자에서 뇌파를 위하여 진정을 유도한 뒤 수면에 접어들면서 구강 주위의 청색증을 일시적 으로 보인 1례가 있었다.

고 찰

소아기에 뇌파 또는 뇌 영상 검사 등의 시술 및 검사가 필요한 경우 환아의 불안과 통증을 줄이고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하여 진정 요법은 반드시 필요 하다1). 이 중 임상적으로 신경계 질환을 가진 환아, 특히 발달 지연, 정신 지체가 심한 환아들은 10세 이상에서도 협조가 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청소년기 환아에게도 진정이 필요할 수 있으며 진정 유도가 매우 어려워 검사를 시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현실이다. 이처럼 환아의 기저 질환 및 특성에 따라 진정 약제의 효과가 각각 다르고 의료진의 경험 및 각 의료 기관이 사용하는 진정 약제들의 종류가 다 양하여 소아 진정 요법에 대한 명확한 표준 지침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므로 효과적인 진정 유도 를 위해 체계적인 진정 요법 지침이 필요하다11). 이 상적인 진정을 위해서는 적절한 진정 효과 및 투여 경로의 용이성, 최소한의 부작용, 빠르고 완전한 회 복, 합리적인 비용 등의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3, 11),

(6)

진정의 평가 척도로는 Skeie scale3), Ramsey sedation score 등이 사용된다8).

가장 많이 사용되는 진정 약물인 chloral hydrate 는 경구로 투여하므로 1차 약제로 주로 사용되며 용 량은 50-100 mg/kg/dose로 최대 2 g까지 사용가 능하다1, 12). Alcohol dehydrogenase에 의해 간과 적혈구에서 trichlorethanol로 대사되어 glucuronic acid와 결합해 신장을 통해 배설된다13). 영, 유아에 서 나이가 어릴수록 진정 효과가 좋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부작용으로는 오심, 구토, 운동 불균형, 불안 정, 피부 병변, 경미한 호흡 억제, 독성 반응 등이 있 6, 12, 14, 15). Greenberg 및 Hubbard 등의 보고에 의하면 chloral hydrate 단독 투여로 각각 3%, 2%

의 실패율을 보였으며14, 16), Rumm 등의 보고에 의 하면 14%의 실패율을 보였다4).

Cortellazzi 등은 신경계 질환 환아에서 chloral hydrate 단독 투여 시 20%의 실패율을 보고하였고

5), Choi 등은 chloral hydrate 단독 투여 시 33%, 이 중 신경계 질환이 있는 경우 47.8%의 높은 진정 실패율을 보고하였다. 신경계 질환 중에서도 발달 지연이 있는 경우에는 56.8%, 경련성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50%의 실패율을 보였다3). 이처럼 chloral hydrate를 경구 투여 하였음에도 진정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midazolam을 추가로 투여하는 것이 일반 적으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진정 방법이다3).

Midazolam은 강력한 진정 효과를 가지며 기억 상 실, 불안 해소의 효과가 있다11). 정맥 주사(0.1 mg/

kg/dose) 및 근육 주사, 비강 내 투여, 경구투여, 직 장 내 투여 등 다양한 투여 방법이 있으며2), 부작용 으로는 과잉 수면, 과잉 행동, 산소 포화도 감소, 불 쾌감 등이 보고된다11). Aksu 등은 열성 경련 환아 의 진정을 위해 midazolam 정맥 주사를 사용하여 90%의 진정 성공률을 보고하였고8), Caksen 등은 midazolam 근육 주사로 69.5%의 진정 효과를 보고 하였다10). Choi 등은 chloral hydrate로 진정되지 않는 환아에게 일차 추가 약제로 midazolam을 정맥 주사하였는데 13.7%(11/80)에서는 진정에 효과를 얻지 못하였다3).

이처럼 진정이 어려운 환아, 특히 신경계 질환을

가진 환아에서 여러 진정 약제의 효과에 대한 보고 가 있다. Choi 등은 chloral hydrate 및 midazolam 으로 진정되지 않은 경우 diazepam, ketamine, phenobarbital 등을 추가로 사용하여 86.1%에서 진 정에 성공하였고 Greenberg 등은 정신 지체가 있는 환아에서 chloral hydrate와 thioridazine를 병용하 여 92%의 높은 진정 성공률을 보고하였다2, 3). Cortellazzi 등은 신경계 질환 환아에서 chloral hydrate 및 midazolam으로 진정에 실패한 경우 sevoflurane 또는 pentobarbital을 추가 사용하여 97.7%의 높은 진정 성공률을 보였으며5), Mehta 등 은 27명의 자폐증 환아들에게 뇌파 검사를 위한 진 정 목적으로 clonidine을 사용하여 85%의 성공률을 보고하였다7). Aksu 등은 열성 경련 환아들에게서 뇌파 검사를 위한 진정 약제로 dexmedetomidine을 사용하였고 100%의 성공률을 보였다8).

이 외에도 1세대 항히스타민제를 이용하여 소아 의 술기 및 검사를 위한 진정 약제로서의 효과를 조 사한 경우가 보고되어 있다. Chlorpheniramine을 포함한 promethazine, hydroxyzine 등은 1세대 항 히스타민제로 알레르기 비염이나 두드러기 같은 알 레르기 질환의 증상치료제로 사용되며 chlorphen- iramine의 경우 0.12 mg/kg/dose까지 정맥 내 투 여가 가능하다9). 이들은 뇌혈관장벽을 통과해 중추 신경계에서 히스타민의 작용을 방해하여 진정 작용 등의 중추신경계 부작용을 나타내며, 여러 수용체에 비선택적으로 작용하여 항콜린 작용을 나타낸다17). 그리하여 피로, 기면, 인지장애, 학습장애, 호흡 저 하, 수면 무호흡증, 보챔, 과잉행동, 경련, 시야 흐림, 구강 건조 등이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진정 부작용 을 개선하여 2세대 항히스타민제인 cetirizine, lo- ratadine 등이 개발되었다9). Vade 등은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의 병합 요법의 효과를 연 구하였는데 1세 이하 환아에서는 97%, 1-4세의 환 아에서는 100%의 성공률을 보였으며 hydroxyzine 의 항구토 효과로 인해 구토의 부작용이 보이지 않 았다고 보고하였다18). 또한 Shapira 등은 midazo- lam 단독 경구 투여에 비해 midazolam과 hydro- xyzine을 병합 경구 투여 시 더 안전하고 효율적인

(7)

진정이 가능하다고 보고하였다19). Chlorphenira- mine을 이용한 Caksen 등은 lytic cocktail (pethi- dine, chlorpheniramine, chlorpromazine) 요법으 로 74%에서 진정에 성공하였다10).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약제(chloral hydrate, midazolam, chlorpheniramine)를 함께 사용하여 78.7%의 높은 진정 성공률을 보였으며 연령별로는 0-4세에서 100%, 5-9세에서 84.6%, 10-14세에 서는 50%의 성공률을 보여 나이가 많을수록 성공률 이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P

=0.048). 나이가 어 릴수록 chloral hydrate의 성공률이 높아진다고 보 고된 것처럼 chlorpheniramine 또한 영, 유아에서 진정 효과가 더 좋은 것으로 보인다3). 발달 지연이 나 경련성 질환 및 기질적 뇌병변의 유무에 관계없 이 75% 이상의 진정 성공률을 보였으며, 경련성 질 환이 있는 경우에도 경련 조절 여부나 항경련제 복 용 개수에 따른 진정 효과의 차이는 없었다. 뇌 영상 검사 상 뇌병변을 보인 12명 중 피질 이형성증을 보 였던 9명의 경우 88.9%의 성공률을 보였으나 이형 성증이 없었던 3명은 모두 진정에 성공하여 피질 이 형성증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성공률이 높았으나 통 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대상 환아 중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가 동반된 경우 28.5%, 행동 장애가 없는 경우 92.3%의 성공률을 보여 주의력 결핍 과 잉 행동 장애가 동반되었을 때 높은 진정 실패율을 보였으나(

P

=0.002) 진정에 실패한 5명 중 4명이 가장 진정 성공률이 낮았던 10-14세 연령에 해당 하였다.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신경생화학적 원인으로 주로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의 감소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치료 약제로 me- thylphenidate등의 신경자극제가 사용된다20). Te- soro 등은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환아에서 trazodone과 midazolam 각각의 진정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는데 trazodone을 사용한 경우 100%, mi- dazolam을 사용한 경우 71%의 진정 성공률을 보였 다고 하였다. Midazolam의 실패율이 높은 원인은 불안, 동요, 공격성 등의 midazolam 자체에 의한 과

잉 반응이 발생하였기 때문으로서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등의 신경행동장애가 있는 경우 gamma- aminobutyric acid의 활성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콜린성 활성화가 불규칙하여 이러한 비정상적인 반 응이 더 잘 발생한다고 하였다. 또한 주의력 결핍 과 잉 행동 장애 환아에서 trazodone이 midazolam에 비해 진정 시간이 길며 100%의 높은 성공률을 보여 효과적인 진정 약제라고 하였다21). 이 외에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환아에서 효과적인 진정 방법 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많지 않은 실정이다.

Chloral hydrate, midazolam 및 chlorphenira- mine의 부작용으로는 앞에서 언급했던 증상들이 발 생 가능하나 이번 연구에서는 심각한 부작용은 보이 지 않았고 3%(1명)에서 진정 초기에 구강 주위의 청색증만 일시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산소포화도 측정 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었다. Choi 등은 chloral hydrate 연구에서 흥분 반응, 구토, 두통, 수 면장애, 식욕 저하 등 7.4%의 부작용 발생율을 보고 하였으며3), Kim 등이 chloral hydrate, midazolam, ketamine을 사용한 연구에서 3.1%의 부작용을 보 고한 것과 비교해 볼 때 본 연구의 chloral hydrate, midazolam, chlorpheniramine 병합 요법은 비교적 낮은 부작용 발생을 보였다고 할 수 있다11). Vade 등은 chloral hydrate와 hydroxyzine을 함께 사용 하였을 때 구토의 부작용이 없었다고 보고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구토 발생에 대한 기록은 없었으나 추후 더 많은 대상군에서 이에 대한 조사를 하는 것 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18).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chlorpheniramine을 투여 하였던 대상을 선별하는데 어려운 점이 많아 대조군 을 따로 설정하지 못하였고 chlorpheniramine의 단 독 투여 효과 및 재사용에 대한 효과 판정 등은 조사 하지 못하여 향후 이에 대한 보완적인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같은 연령 조건에서 진정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 다.

결론적으로 신경계 질환 환아에서 chloral hyd- rate 및 midazolam으로 진정 효과가 없을 시

(8)

chlorpheniramine을 추가하여 그 진정 효과를 조사 하여 본 결과 78.7%의 높은 진정 효과를 보여 유용 성이 있다고 판단되며 특히 연령이 낮을수록 그 효 과가 높았다. 3가지 약물을 사용하였음에도 진정이 되지 않은 환아들 중에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 애를 동반한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대한 추후 연구 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요 약

목 적 : Chloral hydrate 및 midazolam으로 진정 되지 않는 신경계 질환 환아에서 chlorpheniramine 의 진정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7년 9월부터 2012년 9월까지 전남대 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외래에 방문하였던 신경계 질환을 가진 환아 중 뇌파 및 뇌 영상 검사를 위해 chloral hydrate 및 midazolam으로 진정을 시도하 였으나 실패한 환아에서 chlorpheniramine를 병용 투여하였던 총 33명을 대상으로 나이, 성별, 체중, 약물 용량 및 기저 신경계 질환에 따른 진정 효과를 조사하였다.

결 과 : 총 33명의 신경계 질환 환아들 중 26명 (78.7%)에서 진정에 성공하였으며 7명(24.2%)에 서 진정에 실패하였다. 연령에 따르면, 0-4세에서는 100%, 5-9세에서는 84.6%에서 진정에 성공하였 으나, 10-14세에서는 50%의 가장 낮은 진정 성공 률을 보여 나이가 어릴수록 진정 효과가 높았다. 체 중, 성별, 약물 용량에 따른 chlorpheniramine 진정 효과의 차이는 없었으며, 발달 지연 및 경련성 질환, 기질적 뇌병변의 유무에 따른 진정 효과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를 동 반한 환아에서 28.5%로 진정 성공률이 매우 낮았다 (P=0.002). 약제 투여에 의한 심각한 부작용은 보 이지 않았으며 1명에서 일시적인 청색증이 발생하였 다.

결 론 : 신경계 질환 환아에서 chloral hydrate 및 midazolam으로 진정 효과가 없는 경우 chlorphe- niramine을 추가했을 때 78.7%의 높은 진정 효과를 보였다. 특히 진정 효과는 연령이 낮을수록 높았으 며 심각한 부작용은 관찰되지 않았다. 3가지 약물을

사용하였음에도 진정이 되지 않은 환아들 중에는 주 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를 동반한 경우가 많았으 며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Sury MR, Hatch DJ, Deeley T, Dicks-Mireaux C, Chong WK. Development of a nurse-led se- dation service for paediatric magnetic resonance imaging. Lancet 1999;353:1667-71.

2) Greenburg SB, Faerber EN, Radke JL, Aspinall CL, Adams RC, Mercer-Wilson DD. Sedation of difficult-to-sedate children undergoing MR ima- ging: value of thioridazine as an adjunct to chloral hydrate. Am J Roentgenol 1994;163:

165-8.

3) Choi YS, Son YJ, Song ES, Cho YK, Kim YO, Kim CJ, et al. Effect of chloral hydrate used for pediatric sedation. J Korean Child Neurol Soc 2008;16:78-85.

4) Rumm PD, Takao RT, Fox DJ, Atkinson SW.

Efficacy of sedation of children with chloral hydrate. South Med J 1990;83:1040-3.

5) Cortellazzi P, Lamperti M, Ludovico M, Falcone C, Pantaleoni C, Caldiroli D. Sedation of neurolo- gically impaired children undergoing MRI: a se- quential approach. Pediatr Anaesth 2007;17:

630-6.

6) Malviya S, Voepel-Lewis T, Eldevik OP, Rockwell DT, Wong JH, Tait AR. Sedation and general anaesthesia in children undergoing MRI and CT: adverse events and outcomes. Br J Anaesth 2000;84:743-8.

7) Mehta UC, Patel I, Castello FV. EEG seda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J Dev Behav Pediatr 2004;25:102-4.

8) Aksu R, Kumandas S, Akin A, Bicer C, Gumus H, Gȕler G, et al. The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dexmedetomidine and midazolam sedation on electroencephalography in pediatric patients with febrile convulsion. Pediatr Anaesth 2011;21:

373-8.

9) Chae KM, Tharp MD. Use and safety of antihis- tamines in children. Dermatol Ther 2000;13:

374-83.

10) Caksen H, Uner A, Cesur Y, Abuhandan M, Celebi V, Sar S. Comparison of lytic cocktail, chloral hydrate and midazolam for pediatric se-

(9)

dation. J Trop Pediatr 2001;47:316.

11) Kim JH, Kim MS, Lee DY, Kim SJ. Study of sedation according to neurologic and non-neu- rologic pediatric patients. Korean J Pediatr 2008;51:1047-51.

12) Voepel-Lewis T, Malviya S, Prochaska G, Tait AR. Sedation failures in children undergoing MRI and CT: is temperament a factor? Pediatr Anae- sth 2000;10:319-23.

13) Reimche LD, Sankaran K, Hindmarsh KW, Kasian GF, Gorecki DK, Tan L. Chloral hydrate sedation in neonates and infants: clinical and pharmacologic considerations. Dev Pharmacol Ther 1989;12:57-64.

14) Greenberg SB, Faerber EN, Aspinall CL, Adams RC. High-dose chloral hydrate sedation for children undergoing MR imaging: safety and efficacy in relation to age. Am J Roentgenol 1993;161:639-41.

15) Gilman AG, Rall TW, Nies AS. The Pharmaco- 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8th ed. New York.

Maxwell Macmillan International Editions, 1991:

364-5.

16) Hubbard AM, Markowitz RI, Kimmel B, Kroger M, Bartko MB. Sedation for pediatric patients undergoing CT and MRI. J Comput Assist To- mogr 1992;16:3–6.

17) Church DS, Church MK. Pharmacology of antihi- stamines. World Allergy Organ J 2011;4:22-7.

18) Vade A, Sukhani R, Dolenga M, Habisohn- Schuck C. Chloral hydrate sedation of children undergoing CT and MR imaging: safety as judged by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guidelines. Am J Roentgenol 1995;165:905-9.

19) Shapira J, Kupietzky A, Kadari A, Fuks AB, Holan G. Comparison of oral midazolam with and without hydroxyzine in the sedation of pediatric dental patients. Pediatr Dent 2004;26:492-6.

20) Kim YK, Song DH. Treat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J Korean Med Assoc 2009;52:489-99.

21) Tesoro S, Vicchio N, Marchesini L, Peduto VA.

Sedation of children with ADHD: trazodone or midazolam? Pediatr Anaesth 2007;17:1008-9.

수치

Table  2.  Diagnostic  Examination  with  Add-on  Chlorpheniramine  for  Sedation
Table 5. Response to Add-on Chlorpheniramine for Sedation in Underlying Neurologic Abnormalities
Table  6.  Response  to  Add-on  Chlorpheniramine  for  Sedation  in  Organic  Brain  Lesions

참조

관련 문서

Methods: I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clinical records of children aged between 4 and 19 years who were treated with flunarizine for headache at

The students of Gwangju Secondary School had to compete with the students of Gwangju Intermediate School, who were Japanese nationals for access to a

According to above, liquid based cytology is considered to be adequate for routine oral examination or diagnostic tool for oral dysplasia and carcinoma

Result: During the study period, 482 patients had elevated cardiac troponin-T levels.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for the.. The diagnostic importance of

With some 300 thousand youths preparing for civil service examination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system with consideration

Next,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for guidance teachers and parents of students who received music education using empirical analysis methods to look

Phase Equilibria and Cage Occupancy of Binary Hydrates : Its Application to Gas Hydrate Refrigeration

 Effects of salt on hydrate-containing phase equilibria were experimentally determined for H-Lw equilibria and predicted for three-phase ( H-I-V C2H6 , H-L W -V C2H6 , H-L 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