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추상적 개념 형상화를 위한 디자인 발상 단계별 교육에 관한 연구 -교육사례와 유형분류를 중심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추상적 개념 형상화를 위한 디자인 발상 단계별 교육에 관한 연구 -교육사례와 유형분류를 중심으로-"

Copied!
12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투고일_2020.10.10 심사기간_2020.11.01-14 게재확정일_2020.11.19

추상적 개념 형상화를 위한 디자인 발상 단계별 교육에 관한 연구 -교육사례와 유형분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ducation of Design Thinking Stage for Forming Abstract Concepts into the Design -focused on educational cases and classification of types-

김화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 김흥렬(교신저자),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과 Kim, Hwa Young_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Kim, Heung Ryeol(Corresponding author)_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차례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추상적 개념 형상화를 위한 디자인 발상 단계별 교육 2.1. 발상 단계별 교육 개요

2.2. 발상 단계별 교육 프로세스 2.2.1. 개념화 단계

2.2.2. 범주화 단계 2.2.3. 형식화 단계 2.2.4. 형상화 단계

2.3. 발상 단계별 교육 결과

3. 발상 접근법에 따른 유형 분류 3.1. 발상 접근법에 따른 유형 분류 기준 3.1.1. 상징적 접근

3.1.2. 은유적 접근 3.1.3. 경험적 접근

3.2. 발상 접근법에 따른 유형 분류 결과 4. 결론

References

(2)

추상적 개념 형상화를 위한 디자인 발상 단계별 교육에 관한 연구 -교육사례와 유형분류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ducation of Design Thinking Stage for Forming Abstract Concepts into the Design -focused on educational cases and classification of types-

김화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 김흥렬(교신저자),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과 Kim, Hwa Young_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

Kim, Heung Ryeol(Corresponding author)_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요약

중심어 추상적 개념 형상화

디자인 발상 단계 교육사례 유형분류

본 연구는 추상적인 개념을 디자인으로 실체화시키는 기초 디자인 수업 과정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발상 기법을 통해 사고를 확장시키는 것을 교육 목표로 한다. 실습에 앞서 기초적인 디자인 질서 및 원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1) 창의적 사고 기법 및 디자인 메시지 전달 과정, 2) 조형요소의 이해 및 조형 표현방식에 대한 고찰, 3) 형태, 색채, 재료에 대한 이해 및 이미지 표현에 관한 이론 수업을 진행하였고, 창의적 발상을 이끌어내기 위해 개념화 단계, 범주화 단계, 형식화 단계, 형상화 단계별로 프로젝트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관점을 논리적인 체계로 발전시키고, 추상 적 개념을 적합한 조형언어를 활용하여 실체화시키는 과정을 단계별 실습을 통해 습득하도록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디자인 발상 단계별 교육을 통해 제작된 학생 작품들을 바탕으로 교육사례를 제시하고, 발상 접근법에 따라 작품 유형을 분류하여 각 유형별 발상 방법 및 표현 방식의 특징에 대해 정리하였 다. 교육사례 분석을 위해 학생들이 제출한 37개 작품 중 대표적인 6개의 작품을 선정하여 발상 단계 별 디자인 프로세스를 정리하였다. 단계별 작품 진행 내용을 바탕으로 발상 접근법과 중점 표현 요소 에 따라 분석한 결과 상징적 접근, 은유적 접근, 경험적 접근 등으로 유형을 분류하였고, 각 유형별 발 상 접근법에 따른 디자인 작업 과정 및 결과물의 특징과 관계성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 해 학생들의 디자인 발상 기법과 조형적 표현이 다양화되고, 창의적인 디자인 사고 능력을 체계적인 단계별 학습을 통해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을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Keyword abstract concept forming

design thinking stage educational case type classification

This study is about basic design curriculum actualizing abstract concepts into the design and aims to expand ideas through various design thinking practice. Prior to the practice, the theoretical classes on 1)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and communication system of design, 2) understanding of the formative elements and considering the formative expression methods, 3) understanding of form, color, and material; image expression were conducted to help understand the basic design fundamentals and principles. The project was proceeded by the conceptualization stage, categorization stage, formalization stage, and forming stage to guide creative design thinking. The practice was proceeded by developing one's point of view into a logical structure and using appropriate formative language to express abstract concepts into reality. In this study, educational cases were presented based on student works conducted through the design thinking stage. Then, categorized the works according to the design thinking approach,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thinking and expression methods by each type. To analyze educational cases, among 37 works submitted by students six works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s. These six examples organized the stage of the design thinking process. Based on the analysis of design thinking methodology and emphasizing expression six works were categorized into: symbolic approach, metaphorical approach, and empirical approach. Then 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hips of the design work process and results according to each design thinking approach.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design thinking techniques and formative expressions will be diversified, and also help establish effective education that can improve creative design thinking abilities through the systematic design thinking stage.

(3)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일상에서 매체를 통해 메시지를 생성하고, 전달하고, 수용하고, 활용하며 끊임없는 소통이 이루 어진다. 사회관계적 맥락에서 의미 생성 작용을 살펴보면 발화, 의미, 동기를 바탕으로 외재적, 내재적 메시지가 형성된다. 박길자(2004)에 따르면 이 메시지는 기호로 부호화(encoding)되 어 매체를 통해 전달되고, 매체를 통해 수신된 기호는 해독(decoding)되어 수신자에게 기호로 수용된다. 이렇게 수용된 기호는 다시 외재적, 내재적 메시지로 해석되어 발화, 효과, 행동을 통하여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소통이 이루어지고 새로운 의미들이 생성된다.

디자인은 하나의 매체로써 메시지를 전달하고 전달받는 수단이다. 디자이너는 메시지 수신자 의 입장을 고려하여 감각적 필터, 경험적 필터, 문화적 필터(Munari, 1968, p.105) 등 다양한 필터를 통해 세상을 바라보며 시기와 상황에 따라 올바른 메시지를 생성하고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기초 교육 과정으로 추상적인 관념을 개념화하며 자신의 철학과 메시지 를 전달하는 연습을 위한 디자인 발상 단계별 교육사례를 소개한다. 추상적 관념이란 특정 대상 에 대한 개념이 구체적으로 정의되기 이전의 단계를 의미한다. 따라서 디자인 발상 단계별 교육 을 통해 학생들이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인 실체로 시각화, 형상화 시키는 과정을 학습한다.

이러한 단계별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다양한 발상 기법으로 사고를 확장시킬 수 있으며, 적합한 조형언어를 활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는 의사소통 능력과 단계별 과정을 수행하며 문제해결 능력을 기를 수 있길 기대한다.

또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교육사례를 토대로 발상 접근법에 따라 작품들을 유형화시켜 분류하고 디자인 발상 기법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발상 및 표현 프로세스를 비교하여 제시 함으로써 각 유형별 발상 접근법에 따른 디자인 작업 과정 및 결과물의 특징과 관계성을 파악하 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1.2. 연구범위 및 방법

이 연구는 산업디자인과 기초전공과목 수강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교과 과정을 바탕으로 한다. 해당 교과 과정은 기초 수업 중에서도 디자인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방법론과 프로그램을 다루기 전에 창의력의 기반이 되는 디자인적 발상과 사고 기법을 확장시키고, 개인의 추상적인 생각들을 조형언어로 표현하는 연습을 하도록 한다.

학생들은 자신의 철학과 개념들을 바탕으로 조형언어를 통해 외재적, 내재적 메시지를 전달하 는 연습을 하였다. 총 37개의 학생 작품 중 대표적인 6개 작품을 선별하여 이에 대한 발상 단계별 진행 프로세스를 정리하였다. 각각의 작품들은 개념화 단계, 범주화 단계, 형식화 단계, 형상화 단계를 거쳐 진행되었으며, 각 단계는 아이디어 전개, 이미지 구체화, 표현방식 탐구, 조형 실체화 과정이라고 정의한다.

제 2장에서는 발상 단계별 교육 과정에 대한 고찰과 발상 단계별 작품 진행 과정을 정리하였다.

제 3장에서는 발상 단계별 작품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가장 핵심이 되는 발상 접근법과 중점 표현 요소에 따라 김흥렬(2012, 2017)이 제시한 1) 상징적 접근, 2) 은유적 접근, 3) 경험적 접근 등 세 가지 유형으로 작품 사례들을 분류하였고, 각 유형별로 발상 및 표현 프로세 스의 특징과 작품 특징 그리고 유형별 중점차원을 비교하였다.

2. 추상적 개념 형상화를 위한 디자인 발상 단계별 교육 2.1. 발상 단계별 교육 개요

서울 소재의 4년제 대학교 1학년 산업디자인과 기초전공과목에서 8주의 기간 동안 진행한 프 로젝트이다. 이 교과목은 디자인 질서 및 원리를 파악하고 공간의 관계, 빛과 색, 소재, 재질 등 기초적 디자인 요소를 융합하여 다양한 매체를 통해 형상화 할 수 있는 표현 능력을 기르는 것을 학습 목표로 한다. 따라서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이 주체적인 생각들을 발전시킬 수 있는

(4)

‘나’라는 주제로 시작해 산업디자인 전공 수업 특성상 공통된 목적이 있는 대상을 디자인하기 위해 ‘앉다’라는 행위를 접목시켜 ‘나에게 앉다’라는 제목의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나’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앉다’라는 대상으로 형상화하는 과정을 개념화 단계, 범주화 단계, 형식화 단계, 형상화 단계별로 진행하였다. 교육 단계별 정의와 학습목표는 아래 <Table 1>

Educational Goal on Each Stage(단계별 학습목표)에 정리한 내용과 같다. 프로젝트를 진행하 는 과정에서 콜라주 방법과 최종 모델의 규격은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공통된 형식으로 진행하 였으나 자유로운 발상과 표현을 위해 형태, 색채, 재료, 구조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았다.

교육 단계 단계별 정의 단계별 학습목표

개념화 단계 아이디어 전개 ‘나’에 대한 개념을 도출하는 과정이다.

범주화 단계 이미지 구체화 ‘나’라는 개념을 이미지와 키워드로 구조화하는 과정이다.

형식화 단계 표현방식 탐구 ‘나’라는 개념을 표현하는 표현방식을 탐구하는 과정이다.

형상화 단계 조형 실체화 ‘나’라는 개념을 형식적, 의미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이다.

<Table 1> Educational Goal on Each Stage

2.2. 발상 단계별 교육 프로세스 2.2.1. 개념화 단계

신현정(Shin, H., 2000, pp.14-21)은 “개념은 우리 지식표상의 기본단위이다.”라고 정의 내리 고 “개념은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사물과 사건들을 지각하고 기억하며 이야기하고 사고하는 데 있어서 결정적 요소다. 즉 우리의 경험을 개념으로 부호화하는 것은 모든 인지과정의 기초가 된다.”라고 하였으며, 새로운 개념을 얻게 되는 것은 모든 학습의 기초가 되고, 추리, 판단, 문제 해결, 의사결정, 창의성 등 창의적 사고 과정과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하였다.

나아가 황화상(Hwang, H., 2001, p.211)은 개념화의 일반원리로 “새로운 개념은 개념화 대상 이 갖는 다양한 속성 가운데에서 개념화 주체가 어떤 하나의 속성을 두드러진 속성으로 인식함 으로써 형성된다.”고 하였다. 개념화 과정은 화자의 경험과 판단에 따라 개념의 의미가 구성된 다. 또한 정한데로(Jung, H., 2015)는 ‘대상→개념→언어’와 같은 단계로 대상의 개념화와 개념 의 언어화에 의해 단어가 형성되고 구체적인 개념이 구성된다고 설명한다.

<Figure 1> Conceptualization Process of the Sit at Me Project _ Idea Development

이처럼 추상적인 대상에 대해 개념화를 시키는 과정은 주체적인 사고와 창의적인 사고를 하는 데 기초적인 발판이 되며, 새로운 아이디어와 다양한 발상의 원동력이 된다.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나에게 앉다’ 프로젝트에서 개념화 단계는 자신의 경험과 판단을 바탕으로 ‘나’라는 대상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통해 ‘나’를 언어적으로 표현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사고 의 확장을 위해 서술적 표현, 은유적 표현, 비유적 표현 등 다양한 언어로 표현하도록 한다.

다음 페이지 <Table 2>는 ‘나에게 앉다’ 프로젝트의 개념화 단계를 표로 정리한 내용이다.

(5)

작품 1 작품 2 작품 3 작품 4 작품 5 작품 6

· 독창적이고 튀 는 것을 좋아하며 열정이 넘친다.

· 시간이 지나면 익숙해지고 편안 해진다.

· 단단한 고집덩 어리 같지만 주 변의 자극을 받으 면 부드럽게 풀어 진다.

· 의욕에 차 있 고, 목적지를 찾 으며 끊임없이 무 한한 의문을 갖는 다.

· 촉각적인 감각 에 관심 갖는다.

· 단정, 차분한 것을 좋아한다.

· 느긋하다.

· 여유롭다.

· 표정에서 감정 이 드러난다. 

· 변화에 유동적 이다.

· 잘 웃는 밝은 성격이다.

· 남들과 비교하 고 시선을 의식한 다.

· 감성보다 이성 이 앞선다.

· 무뚝뚝하고 절 제된 사람이다.

· 현재에 안주하 기 보다는 변화와 발전을 추구한다.

· 혼자 생각하는 시간을 즐기면서 도 사람들과 함께 하는 것을 즐긴 다.

· 주변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다.

· 감수성이 풍부 하여 상대방의 감 정을 잘 이해한 다.

<Table 2> Conceptualization Stage of the Sit at Me Project

개념화 단계를 통해 대상에 대한 개념이 형성되는 과정 중에 학생들은 ‘나’를 구성하는 수많은 요소들 중 각자의 판단 속에서 특정적 요소들에 우위를 선정하여 ‘나’라는 대상의 의미를 구성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속성들과 집합체를 분류하는 범주의 개념이 작용 되어 개념화 단계에서 다음 단계인 범주화 단계로 발전하게 된다.

2.2.2. 범주화 단계

“범주화는 개념적 경계를 짓는 것이며, 우리 주변의 구조화되지 않은 세계에 구조를 정해주는 것이라 하였다(Radden & Dirven, 2007; 이현근, 2016, p.60 재인용).” 또한 “범주화과정은 대상물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하는 과정이 아니라, 여러 선택할 수 있는 것 중에서 하나를 적극적으로 선택하는 과정이다(Grondelaers et al., 2007; 이현근, 2016, p.60 재인용).”라고 하였다. 신현정(2000)은 개념이 대상에 대한 규칙, 정의, 속성 또는 속성들 간의 관계 등 대상 에 대한 모든 정보를 포함하는 심적 표상 mental representation 이라고 한다면, 범주는 함께 속한다고 생각하는 집합체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또한 범주화 과정은 ‘지각처리→기억접근→

범주결정’의 순서로 일어나며, 배경지식이나 경험에 따라 대상의 특징들에 대한 판단을 내리고, 기억에 저장된 정보를 지각표상과 비교하여 특정 기억정보를 활성화시키고, 이를 바탕으로 대 상과의 유사성 정도에 따라 범주구성원을 결정하는 과정이 일어난다고 설명한다.

<Figure 2> Categorization Process of the Sit at Me Project _ Image Materialization

이처럼 범주화 단계에서는 앞서 진행되었던 개념화 단계를 통해 도출된 ‘나’에 대한 언어적 표현들 중 공통성을 갖는 집합들로 분류하고, 우위를 선정하여 대표성을 갖는 image와 keyword의 집합체로 ‘나’에 대한 개념을 구조화 시키도록 한다. 3개의 image와 keyword로 함축하여 구조화시킴으로써 ‘나’를 구성하는 형태, 색채, 재료, 구조와 같은 추상적 표현을 도출 하도록 하고 감성적, 감정적 영감을 제공하여 추상적 관념을 내제하도록 한다. 이처럼 범주화 과정을 통해 ‘나’에 대한 개념을 image와 keyword로 구조화시키는 과정에서 기호화 과정이 발생한다. 이동성(2009)은 기호화란 특정 대상을 대신하여 도상(icon), 지표(index), 상징 (symbol)으로 표현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렇듯 범주화 단계를 통해 기호화된 image와 keyword는 ‘나’에 대한 이미지를 내포하는 도상, 지표, 상징으로써 다음 단계인 형식화 단계, 형상화 단계를 거쳐 ‘나’를 외재적, 내재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며 참조자료로 활용된다. 다음 페이지 <Table 3>는 ‘나에게 앉다’ 프로젝트의 범주화 단계를 표로 정리한 내용이다.

(6)

작품 1 작품 2 작품 3 작품 4 작품 5 작품 6

1) Orange 유쾌한, 튀는, 황홀한 2) Smoke 집중과 확산, 자유로운, 가벼운 3) Metallic 차가운, 단단한, 가변 가능한

1) Foot print 앞으로 향하는, 의욕에 찬 2) Infinite stairs 끝없이 반복되는, 목적지를 찾는 3) Touchable 촉각적인, 정렬된

1) Wave 투명한, 일렁이는 2) Ridge 단순한, 느긋한, 느린

3) Natural 여유로운, 따뜻한

1) Variety repeated pattern 활기찬, 율동적인 2) Light 밝은, 따뜻한, 온화한 3) Reflection 빛나는, 몽환적인

1) Solid 단단한, 각이 진 2) Understated 절제된, 차분한 3) Dynamic 역동적인, 변화하는

1) Part &

gathering 부분과 집합 2) Assimilation 동화되는, 미세하게 변화하는 3) Reflection 통찰하는, 소통하는

<Table 3> Categorization Stage of the Sit at Me Project

범주화 단계에서 이미지 구체화 과정을 돕기 위해 학생들이 찾거나 제작한 3개의 image와 keyword를 도출하여 정리하도록 아래 <Figure 3> Collage Format for Sit at Me Project(‘나 에게 앉다’ 프로젝트 콜라주 형식)와 같은 공통된 콜라주 형식을 제공하였다.

<Figure 3> Collage Format for Sit at Me Project

2.2.3. 형식화 단계

형식화 단계에서는 범주화 단계를 통해 기호화된 ‘나’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입체조형으로 형상 화시키기에 앞서 형태, 색채, 재료, 구조적 표현방법을 탐구한다. 이때, 은유와 환유의 사고로

‘나’라는 대상을 가장 적합한 표현요소들로 나타내는 방법을 스케치와 목업(mock-up) 및 색채 와 재료 실험을 통해 탐구하도록 했다. “은유는 두 개념 사이의 내적인 유사성에 기초하고 있다 면, 환유는 두 개념 사이의 외적인 인접성에 기초를 두고 있다(Lee, D., 2009, p.104).”라고 설명한다.

<Figure 4> Formalization Process of the Sit at Me Project _ Expression Method Exploration

이처럼 형식화 단계에서는 ‘나’의 외적인 측면과 유사한 특징을 지닌 대상의 외형을 관찰하며

‘나’를 표현하는 외재적 표현방법과 ‘나’의 내적인 측면과 인접한 특성을 지닌 대상의 성질을 탐구하며 내재적인 의미를 지닌 표현방법에 대한 탐구를 동시에 진행하도록 한다. 다음 페이지

<Table 4>는 ‘나에게 앉다’ 프로젝트의 형식화 단계를 표로 정리한 내용이다.

(7)

작품 1 작품 2 작품 3 작품 4 작품 5 작품 6 (형태) 오렌지

단면과 껍질의 형상을 상징적 이미지로 활용 (색채) 가시성 있는 오렌지색과 무채색

(재료) EVA, 철 (구조) 집중과 확산. 열린 방사형 구조

(형태) 앞으로 나아가는 발자국의 형상을 상징적 이미지로 활용

(색채) 자연적 색채

(재료) 코르크, 점토, 자연재료 (구조) 반복과 확장. 점층적 계단형 구조

(형태) 등고선과 능선의 자유곡선적 이미지 활용 (색채) 무채색과 자연색 (재료) 빛이 투과되는 투명, 반투명 아크릴, 자연재료 (구조) 양각과 음각의 반전.

적층식 광장형 구조

(형태) 빛의 반사가 만드는 추상적 형태 (색채) 원색적 색채와 자연빛 (재료) 셀로판지, PVC 미러지 (구조) 반사체를 통해 투과된 빛이 반사와 굴절되는 다차원 집중형 구조

(형태) 각이 잡힌 기하학적 형태 (색채) 무채색 (재료) 로얄지, 자석

(구조) 사용성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모듈형 구조

(형태) 부분과 집합의 대칭적 형태

(색채) 무채색과 자연색 (재료) 포맥스, 나무합판 (구조) 행위와 움직임에 따라 반응하는 반사식 상호작용형 구조

<Table 4> Formalization Stage of the Sit at Me Project

형태 표현에서는 ① 상징적 형태, ② 은유적 형태를 이용한 표현방법이 주로 활용되었고, 색채 표현에서는 ① 상징적 색채, ② 은유적 색채를 이용한 표현방법이 주로 활용되었다. 또한 재료 표현에서는 ① 상징적 재료, ② 은유적 재료, ③ 다변적 재료1), ④ 기능적 재료2)를 이용한 표현방법이 활용되었으며, 구조 표현에서는 ① 상징적 구조, ② 은유적 구조, ③ 기능적 구조,

④ 가변적 구조3)를 이용한 표현방법이 주로 활용되었다.

2.2.4. 형상화 단계

산업디자인과 기초전공수업의 교육내용으로써 ‘나에게 앉다’ 프로젝트는 자유로운 표현과 형 식은 활용하되, 최종 목적인 인간이 ‘앉기’ 위한 조형 또는 공간의 기능적인 측면과 의미적인 측면까지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추상적 대상을 어떤 목적을 갖은 대상으로 실체화시키는 형상화 단계에서 형식차원과 의미차원에 대한 발상이 동시에 작용한다. 하은아는 논문에서 작 가주의 디자인 유형을 분석하는데 있어 형식과 의미 차원으로 분류하고, “창작 표현의 분석은 형식 자체가 제공하는 미적표현에 해당하는 형식요소와 인간의 정서, 감성 등의 심리적 만족감 을 제공하고자 하는 의미요소부분으로 구분하였다(2019, p.578).”

<Figure 5> Forming Process of the Sit at Me Project _ Formative Actualization

이처럼 형상화 단계에서는 앞서 진행된 개념화 단계, 범주화 단계, 형식화 단계를 토대로 실제 규격에 맞춰 ‘나에게 앉다’ 모델을 제작한다. 작업 규격은 A3(297×420mm) 사이즈로 제한하 였다. 개념화 단계, 범주화 단계, 형식화 단계를 거쳐 실제 모델을 제작하는 이 과정에서 범주화 단계를 통해 기호화된 image와 keyword들과 형식화 단계를 통해 도출된 형태, 색채, 재료, 구조에 대한 표현방식이 ‘나’라는 추상적 개념을 형상화시키는 직간접적인 표현요소로 활용되 었다. 이를 토대로 ‘나’를 ‘앉다’라는 대상으로 표현함에 있어 작품마다 형식차원과 의미차원이 동시에 고려되었다. 형식차원은 외재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작품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항목들 로 형태, 색채, 재료, 구조적 요인들이 작용한다. 의미차원은 내재적인 인간의 감성, 감정, 경험 을 통해 인지할 수 있는 항목들로 공간 구성, 기능 구조적 요인들이 작용한다. 형식적 차원과 의미적 차원은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을 하며 외재적, 내재적인 메시지를 동시에

1) 빛의 움직임 또는 시간과 주변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가능한 재료 2) 특정 기능 구현을 위한 재료

3) 인력이나 인간의 행위에 따라 변화 가능한 구조

(8)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아래 <Table 5>는 ‘나에게 앉다’ 프로젝트의 형상화 단계를 표로 정리 한 내용이다.

작품 1 작품 2 작품 3 작품 4 작품 5 작품 6

(형식) 밝고 가시 성 있는 형태와 색채를 활용. 내 부는 철골구조 외 부는 EVA 소재로 감싸 단단하며 부 드러움을 표현.

중앙 반구를 중심 으로 사방으로 집 중과 확산이 되는 열린 방사형 구 조.

(의미) 중심 구조 를 둘러싼 자유 곡선의 형상에 따 라 앉아서 쉬는 공간, 어린이들이 노는 공간, 자전 거를 세우고 쉬다 가는 공간으로 사 용됨. 공공적 의 미를 갖는 ‘앉다’

의 공간.

(형식) 앞으로 나 아가는 발걸음의 상징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코르크, 점토 등 자연재료 를 활용. 반복과 확장되는 점층적 계단형 구조.

(의미) 구조의 높 낮이에 따라 좌식 공간, 식도락 공 간, 반려동물과 함께 산책하는 공 간으로 사용됨.

공공적 의미를 갖 는 ‘앉다’의 공간.

(형식) 투명과 반 투명 소재를 이용 하여 물결이 반사 되며 일렁이는 이 미지를 표현. 능 선의 양각과 음각 반전을 통해 상층 과 하층간의 빛과 그림자가 상호작 용하는 적층식 광 장형 구조.

(의미) 능선의 넓이와 폭에 따라 자유롭게 앉아 쉬 며, 하층은 그늘 에서 조경을 즐기 는 공간이고 상층 은 경관을 즐기는 공간으로 사용됨.

공공적 의미를 갖 는 ‘앉다’의 공간.

(형식) 다양한 원 의 형태와 원색적 색채를 띄는 반사 체를 통해 투과된 빛이 공간과 사물 에 반사와 굴절하 여 활기차고 몽환 적인 이미지를 표 현. 추상적 형상 을 만드는 다차원 집중형 구조.

(의미) 반사체를 통해 공간으로 투 과되는 빛과 공간 내에서 굴절되는 빛들을 경험하는 공간으로 사용됨.

체험적 의미를 갖 는 ‘앉다’의 공간.

(형식) 기하학적 형태와 무채색의 색채, 견고한 재 료를 활용하여 단 단하며 절제된 이 미지를 표현.

(의미) 개인 또는 그룹을 위한 휴식 공간으로 사용됨.

사용 환경 및 사 용성에 따라 변형 가능한 가변모듈 형 구조. 체험적 의미를 갖는 ‘앉 다’의 공간.

(형식) 한 공간이 대칭적으로 반사 되어 집합을 구성 하는 형태와 자연 스럽고 편안한 분 위기의 색채와 재 료를 활용하여 부 분과 집합의 소통 적인 이미지를 표 현.

(의미) 개인만의 공간을 갖으며 상 대방과 소통도 가 능한 공간으로 사 용됨. 상대방의 움직임에 따라 공 간 자체에서 미세 한 움직임을 느낄 수 있는 반사식 상호작용형 구조.

체험적 의미를 갖 는 ‘앉다’의 공간.

<Table 5> Forming Stage of the Sit at Me Project

2.3. 발상 단계별 교육 결과

‘나에게 앉다’ 프로젝트는 개념화 단계, 범주화 단계, 형식화 단계, 형상화 단계로 진행되었다.

왼쪽의 <Figure 6>는 각 단계별 진행과정을 도식화하여 정리한 내용이다. 개념화 과정에 서는 ‘나’에 대한 주관적 이해와 해석을 바탕 으로 언어적 표현을 도출하여 아이디어를 전 개하였고, 범주화 과정에서는 ‘나’를 표현하는 상징적인 image와 keyword로 ‘나’의 외재적, 내재적 이미지를 구체화하였고, 형식화 과정 에서는 ‘나’의 외재적, 내재적 이미지를 은유 적, 환유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형태, 색채, 재 료, 구조에 대한 표현방식을 탐구하였고, 형 상화 과정에서는 앞서 진행한 내용들을 바탕 으로 ‘나’를 형식과 의미를 지닌 구체적인 ‘앉 다’의 대상으로 실체화하는 과정으로 진행되 었다. 각 단계별로 진행된 여섯 작품의 발상 단계별 디자인 진행 과정을 다음 페이지 <Table

<Figure 6> Process of Each Stage

(9)

작품사례 개념화 단계 범주화 단계 형식화 단계 형상화 단계

작품 1

· 독창적이고 튀는 것을 좋아 하며 열정이 넘친다.

· 시간이 지나면 익숙해지고 편안해진다.

· 단단한 고집덩어리 같지만 주변의 자극을 받으면 부드럽 게 풀어진다.

1) Orange

유쾌한, 튀는, 황홀한 2) Smoke

집중과 확산, 자유로운, 가벼운 3) Metallic

차가운, 단단한, 가변 가능한

(형태) 오렌지 단면과 껍질의 형상 을 상징적 이미지로 활용 (색채) 가시성 있는 오렌지색과 무 채색

(재료) EVA, 철

(구조) 집중과 확산. 열린 방사형 구조

작품 2

· 의욕에 차 있고, 목적지를 찾 으며 끊임없이 무한한 의문을 갖는다.

· 촉각적인 감각에 관심 갖는 다.

· 단정, 차분한 것을 좋아한다.

1) Foot print

앞으로 향하는, 의욕에 찬 2) Infinite stairs

끝없이 반복되는, 목적지를 찾는 3) Touchable

촉각적인, 정렬된

(형태) 앞으로 나아가는 발자국의 형상을 상징적 이미지로 활용 (색채) 자연적 색채

(재료) 코르크, 점토, 자연재료 (구조) 반복과 확장. 점층적 계단형 구조

작품 3

· 느긋하다.

· 여유롭다.

· 표정에서 감정이 드러난다. 

1) Wave 투명한, 일렁이는 2) Ridge

단순한, 느긋한, 느린 3) Natural

여유로운, 따뜻한

(형태) 등고선과 능선의 자유곡선 적 이미지 활용

(색채) 무채색과 자연색

(재료) 빛이 투과되는 투명, 반투명 아크릴, 자연재료

(구조) 양각과 음각의 반전. 적층식 광장형 구조

작품 4

· 변화에 유동적이다.

· 잘 웃는 밝은 성격이다.

· 남들과 비교하고 시선을 의 식한다.

1) Variety repeated pattern 활기찬, 율동적인

2) Light

밝은, 따뜻한, 온화한 3) Reflection 빛나는, 몽환적인

(형태) 빛의 반사가 만드는 추상적 형태

(색채) 원색적 색채와 자연빛 (재료) 셀로판지, PVC 미러지 (구조) 반사체를 통해 투과된 빛이 반사와 굴절되는 다차원 집중형 구

작품 5

· 감성보다 이성이 앞선다.

· 무뚝뚝하고 절제된 사람이 다.

· 현재에 안주하기 보다는 변 화와 발전을 추구한다.

1) Solid 단단한, 각이 진 2) Understated 절제된, 차분한 3) Dynamic 역동적인, 변화하는

(형태) 각이 잡힌 기하학적 형태 (색채) 무채색

(재료) 로얄지, 자석

(구조) 사용성에 따라 변화하는 가 변모듈형 구조

작품 6

· 혼자 생각하는 시간을 즐기 면서도 사람들과 함께 하는 것 을 즐긴다.

· 주변의 영향을 받아 변화한 다.

· 감수성이 풍부하여 상대방의 감정을 잘 이해한다.

1) Part and gathering 부분과 집합

2) Assimilation

동화되는, 미세하게 변화하는 3) Reflection

통찰하는, 소통하는

(형태) 부분과 집합의 대칭적 형태 (색채) 무채색과 자연색

(재료) 포맥스, 나무합판

(구조) 행위와 움직임에 따라 반응 하는 반사식 상호작용형 구조

<Table 6> Design Thinking Process on Each Stage

(10)

3. 발상 접근법에 따른 유형 분류 3.1. 발상 접근법에 따른 유형 분류 기준

학생들은 개념화 단계, 범주화 단계, 형식화 단계, 형상화 단계를 거쳐 작업을 진행하였고, 학생 들이 ‘나’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앉다’라는 대상으로 표현하는 작업 과정 중 발상 유형 및 중점 표현에 따라 작품들의 특징이 분류되었다. 발상 접근법에 따라 1) 상징적 접근, 2) 은유적 접근, 3) 경험적 접근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여기서 발상 접근법 분류 기준은 김흥렬 (2012, 2017)에 따른 것이다. 각 유형별로 ‘나’에 대한 추상적 개념을 형상화하기 위한 발상 및 표현 진행 과정에서 상이한 특징이 나타났고, 모든 작품에서 형식차원과 의미차원에 대한 발상이 모두 고려되었지만 작품 유형별로 중점차원의 중요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3.1.1. 상징적 접근

<작품 1>에서는 오렌지의 상징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개성 있고 유쾌하며 자유로운 이미지를 표현하였고, 철골을 이용한 자유곡선 및 집중과 확산적인 구조를 활용하여 공공적 의미를 갖는

‘앉다’의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작품 2>에서는 발자국의 상징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의욕에 차며 목적지를 찾아가는 이미지를 표현하였고, 촉각적인 자연재료 및 점층적인 구조를 활용하 여 공공적 의미를 갖는 ‘앉다’의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작품 1>과 <작품 2>의 경우 학생은 자신을 표현하는 image와 keyword를 형상화하기 위해 대표적인 대상을 정하고, 대상에 대한 상징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형태, 구조, 색채, 재질을 가시 화하여 표현하였다(Kim, H., 2017, p.106). 이 작품들은 대상의 상징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조형의 형상과 구조를 먼저 설정하고, 이에 따라 사용성 및 기능성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 었다. 상징적 접근 유형에서는 형식차원이 의미차원 보다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3.1.2. 은유적 접근

<작품 3>에서는 빛과 그림자를 활용하여 투명하고 일렁이며 여유 있는 이미지를 표현하였고, 빛과 그림자의 효과를 위해 양각과 음각을 이용한 능선 및 적층식 구조를 활용하여 공공적 의미를 갖는 ‘앉다’의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작품 4>에서는 원색적 색채와 빛의 투과와 굴절 을 활용하여 밝고 율동적이며 몽환적인 이미지를 표현하였고, 빛의 반사와 굴절을 위해 다차원 집중형 구조를 활용하여 체험적 의미를 갖는 ‘앉다’의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작품 3>과 <작품 4>의 경우 학생은 자신을 표현하는 image와 keyword를 형상화하기 위해 은유적인 이미지를 활용하여 집약, 유추, 추상적으로 구조화하여 표현하였다(Kim, H., 2017, p.107). 이 작품들은 조형의 형상과 구조를 중심으로 주변 환경과 외부요인에 따라 상호작용하 는 은유적이고 감성적인 표현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은유적 접근 유형에서는 형식차원 과 의미차원이 동등하게 고려되었다.

3.1.3. 경험적 접근

<작품 5>에서는 단색의 단단하고 기하학적인 형태를 활용하여 이성이 앞서고 절제된 이미지 를 표현하였고, 변화와 발전을 추구하는 역동적인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가변모듈형 구조를 활용하여 체험적 의미를 갖는 ‘앉다’의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작품 6>에서는 부분과 집합을 이루는 대칭적 형태를 활용하여 소통적 이미지를 표현하였고, 관계에 따라 변화하는 반사식 상호작용형 구조를 활용하여 체험적 의미를 갖는 ‘앉다’의 이미지로 표현하였다.

<작품 5>와 <작품 6>의 경우 학생은 자신을 표현하는 image와 keyword를 형상화하기 위해 경험적인 이미지를 활용하여 인간의 감각, 감정, 인지, 행동을 구조화하여 표현하였다(Kim, H., 2017, p.108). 이 작품들은 조형의 구조와 기능을 중심으로 인간의 관계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적인 움직임을 통해 인간의 행동과 감성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경험적 접근 유형에서는 의미차원이 형식차원 보다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11)

3.2. 발상 접근법에 따른 유형 분류 결과

디자인 발상 방법은 다양하다. 같은 조건에서 같은 주제로 단계별 교육을 시행하여도 각 학생마 다 ‘나’에 대한 추상적 개념을 개념화하는 단계에서부터 주관적인 관점이 개입된다. 이를 범주 화, 형식화, 형상화하여 디자인을 이끌어 가는 과정에서 중점적으로 활용된 발상 접근법이 분류 되고, 발상 및 표현 프로세스와 작품 특징 그리고 중점차원에서도 유형별로 서로 다른 특징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내용을 아래 <Table 7>에 정리하였다.

발상 접근별

유형 유형별 발상 및 표현 프로세스 특징 유형별

작품 특징

유형별 중점차원 비교

상징적 접근

 개념화 단계에서 개성적 / 특징적인 요인들을 도출함.

 범주화 단계와 형식화 단계에서 형태, 색채, 재료적으로 시각화 가능한 물리적 상징성이 강한 요소들을 image와 keyword로 선정함.

 형상화 단계에서 메인조형을 중심으로 표현이 이루어짐.

개성적이고 특징적인 성향이 강하고,

시각적 측면이 강조됨.

형식 ≥ 의미

은유적 접근

 개념화 단계에서 추상적인 요인들을 도출함.

 범주화 단계와 형식화 단계에서 형태, 색채, 재료적으로 무형의 성질을 갖는 감성적 요소들을 image와 keyword로 선정함.

 형상화 단계에서 다중적 이미지를 은유적 이미지로 표현하며, 조형과 공간 자체가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변화 가능한 표현이 이루어짐.

주변 환경에 따라 정지되지 않은 유동적인 성향이

강하고, 미적인 측면과 공간에 대한

기능적인 측면이 함께 강조됨.

형식 = 의미

경험적 접근

 개념화 단계에서 상호관계적인 요인들을 도출함.

 범주화 단계와 형식화 단계에서 형태, 색채, 재료적 특징과 동시에 구조적 특징이 강한 요소들을 image와 keyword로 선정함.

 형상화 단계에서 조형과 공간이 인간의 사용성과 행위에 따라 반응하는 구조로 이루어짐.

인간 행위에 따라 변형하고 반응하는 상호관계적 성향이 강하고, 사용성과

기능적인 측면이 강조됨.

형식 ≤ 의미

<Table 7> Type Classification by Design Thinking Approach and Features of Each Type

상징적 접근은 ‘나’와 비슷한 성격을 지닌 특정 대상에 빗대어 표현한다. 상징적 접근을 했을 때에 작품은 개성적이고 특징적인 성향이 강하고, 시각적 측면이 강조되며 형식차원이 더욱 강조된다. 은유적 접근은 ‘나’의 분위기와 감성적인 느낌을 빛과 그림자와 같은 추상적인 요소 를 활용하여 표현한다. 은유적 접근을 했을 때에 작품은 주변 환경에 따라 상호작용을 하여 정지되지 않은 유동적인 성향이 강하고, 미적인 측면과 공간에 대한 기능적인 측면이 함께 강조 되며 형식차원과 의미차원이 동시에 작용한다. 경험적 접근에서는 ‘나’의 경험과 체험을 바탕으 로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형성된 개념을 구조적인 요소를 활용하여 표현한다. 경험적 접근을 했을 때에 작품은 인간 행위에 따라 변형하고 반응하는 상호관계적 성향이 강하고, 사용성과 기능적인 측면이 강조되며 의미차원이 더욱 강조된다.

4. 결론

추상적 개념은 정의되지 않은 대상 또는 현상에 대해 관찰하고, 자신만의 관점으로 해석하여 새로운 것들을 창조하는 창의력의 원천이다. 본 연구에서는 추상적 개념 형상화를 위한 단계별 교육을 통해 디자인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주체적으로 생각하여 새로운 개념들을 정의하고, 이 를 조형언어로 표현하는 과정들을 정리하였다. 발상 단계별 교육은 개념화 단계, 범주화 단계, 형식화 단계, 형상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은 대상에 대한 기억과 관찰을 바탕으로 한 확장적 사고에서 시작하여 핵심요소들을 추려내어 대상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이미지와 키워드 콜라주 작업을 통해 집약된 형태로 기호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형

(12)

태, 색채, 재료, 구조 등 디자인 언어로 표현하는 방법을 탐구하고, 외관적인 이미지를 구성하는 형식요소와 더불어 인간의 행위와 감정에 작용하는 의미요소를 고려하여 구체적인 디자인으로 실체화시키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이 진행한 교육사례를 토대로, 추상적 개념을 조형언어로 표현하고 구체적인 대상으로 실체화시키는 과정에서 핵심이 된 발상 접근법에 따라 1) 상징적 접근, 2) 은유적 접근, 3) 경험적 접근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상징적 접근 유형에서는 형태, 구조, 색채, 재질 을 통한 표현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졌고, 결과물에서 형식차원이 강조되었다. 은유적 접근 유형 에서는 집약, 유추, 추상적 표현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졌고, 결과물에서 형식차원과 의미차원이 동등하게 강조되었다. 경험적 접근 유형에서는 감각, 감정, 행동, 인지를 고려한 표현이 중점적 으로 이루어졌고, 결과물에서 의미차원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자아에 대한 개념을 바탕으로 이를 디자인 언어로 표현하는 프로젝트 를 수행하는 내용을 다루었다. 추후에는 음악이라는 다른 매체를 접목시켜 조형언어로 표현하 는 발상 단계별 교육을 시행하여 추상적 개념을 형상화시키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모색해 보고 자 한다.

디자인은 메시지를 발신하는 하나의 중요한 매체로써 인간에게 감각적 자극과 경험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과정을 통해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인 조형언어로 형상화시키는 과정에서 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자신이 의도하는 메시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연습을 해보았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Ha, Euna. (2019). Development of thinking and ideas model of educational utilization according to auteurism Design.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20(6), 575-588.

Hwang, Hwa sang. (2001).

Meaning and word formation of the Korean language unit

(국어 형태 단위의 의미와 단어 형성). Worin

Jung, Han De Ro. (2015). Conceptualization and verbalization for word formation: a meaning of late 19th & early 20th century literature.

Language & Information Society

, 24(0), 125-158.

Kim, Heung Ryeol. (2012). A study of approach method to emotional structure in design -focused on the conception to structured-.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 15(1), 43-52.

Kim, Heung Ryeol. (2017). A study on expressed of design structure to metaphorical concept ele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 36(0), 97-114.

Lee, Dong sung. (2009). Sign, object and being.

Journal of East-West Communication Council 12

, 2009.2, 91-118.

Lee, Hyun Geun. (2016). Conceptualization, concept, meaning of vocabulary(어휘의 개념화, 개념, 의미).

Journal of the Modern Linguistic Society of Korea

, 2016(0), 59-61.

Munari B. (1968).

Design e comunicazione visiva

(디자인과 시각 커뮤니케이션). Doosungbooks Park, Gil ja. (2004). Communication model and its practice as construction of meaning in

teaching-learning process of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Education

, 43(3), 35-61 Shin, Hyun Jung. (2000).

Concept and categorization

(개념과 범주화). Acanet

참조

관련 문서

(2) 사고의 발생 방지: 방사성 물질을 내장하는 기기 등은 상정되는 운전 조건을 적절하게 고려하여 그 구조 건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내장하는 방사성 물질이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뮤지컬 퍼포먼스 연계전공을 개설함으로써 영상과 함께하는 뮤지컬 연기의 실습과정을 경험하고 뮤지컬 공연 예 술에 진입하기

- 대구경 보수 port가 필요하고, PF coil 설치 위치에 대한 제약, TF coil의 비틀림 힘에 대한 지지 제약(코일 간 지지 구조물의 설치 영역 제약)의

21세기 미래형 선도 산업으로써 주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국내외 호텔 및 전문외식산업 분야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할 진취적이고 도전적인 최고의 글로벌

- Divertor: 중성자와 각종의 하전입자 충돌로 방사화됨. Divertor plate도 교환할 필요가 있음. 예) ITER: cassette 모양의 설계.. 중성자 조사량이 매우 높고,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nd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summer resorts according to the design manual, develop cultural products using

Therefore, it is hoped that appropriate education will be provided to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esign through the opening of the universal design

Design consulting service focusing on design development is dominant in Korean design industry. There has been design consulting service supported b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