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추상적 개념 형상화를 위한 디자인 발상 단계별 입체조형 교육에 관한 연구-음악과 색상의 심상을 활용한 이미지 표현을 중심으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1

Share "추상적 개념 형상화를 위한 디자인 발상 단계별 입체조형 교육에 관한 연구-음악과 색상의 심상을 활용한 이미지 표현을 중심으로-"

Copied!
14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투고일_2021.04.10 심사기간_2021.05.01-14 게재확정일_2021.06.01 DOI https://doi.org/10.47294/KSBDA.22.3.11

추상적 개념 형상화를 위한 디자인 발상 단계별 입체조형 교육에 관한 연구 -음악과 색상의 심상을 활용한 이미지 표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hree-Dimensional Shaping Education of Design Thinking Stage for Forming Abstract Concepts into the Design

-focused on the image representation using imagery of music and color-

김화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Kim, Hwa Young_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차례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추상적 개념 형상화를 위한 발상 단계별 입체조형 교육 2.1. 발상 단계별 교육 개요

2.2. 발상 단계별 교육 프로세스 2.2.1. 개념화 단계

2.2.2. 범주화 단계 2.2.3. 형식화 단계 2.2.4. 형상화 단계

2.3. 발상 단계별 작품 결과

3. 조형적 표현 특징 분석

3.1. 2차원 이미지 드로잉에 활용된 조형요소 및 조형원리 3.2. 3차원 입체조형에 활용된 조형적 표현

3.3. 작품별 발상 및 표현적 특징

4. 음악과 색상의 이미지에 따른 조형적 관계성 5. 결론

References

(2)

추상적 개념 형상화를 위한 디자인 발상 단계별 입체조형 교육에 관한 연구 -음악과 색상의 심상을 활용한 이미지 표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hree-Dimensional Shaping Education of Design Thinking Stage for Forming Abstract Concepts into the Design

-focused on the image representation using imagery of music and color-

김화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Kim, Hwa Young_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요약

중심어 추상적 개념 디자인 발상 단계 입체조형 교육 음악과 색상의 심상 이미지 표현

융합화 시대에 디자이너는 다양한 분야와 소통하고 무형의 것을 실체화하여 표현하는 능력이 요구된 다. 이를 위하여 디자인 기초전공과목에서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학생들의 사고를 확장하고, 창의적인 발상을 통해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인 조형언어로 표현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음악과 색상의 심상을 활용한 디자인 발상 단계별 교육을 시행하여 학생들이 청각적, 시각적 감각의 연상 작용을 통해 2차원과 3차원적 이미지 표현을 진행한 내용을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발상 단계별 교육은 1) 선정한 ‘음악’을 연상되는 ‘색상’으로 개념화하는 단계, 2) ‘음악’과 ‘색상’에서 연상되는 형 용사 키워드를 범주화하는 단계, 3) ‘음악’의 박자, 크기, 음색, 리듬, 분위기, 형상 및 ‘색상’에 대한 키 워드를 2차원 이미지 드로잉으로 형식화하는 단계, 4) 이미지의 특징을 입체조형으로 제작하는 형상 화 단계의 프로세스로 진행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발상 단계별 교육을 통해 진행된 43개의 학 생 작품 중 색상별로 대표적인 8개의 작품을 선정하여 교육 프로세스와 단계별 작품 진행 과정을 설 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차원과 3차원적 이미지 표현에 활용된 조형요소와 조형원리를 분석하였다.

음악과 색상의 이미지에 따라 상이한 조형적 특징이 나타났고,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로 음악과 색상 의 이미지에 따른 조형적 관계성을 다이어그램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디자 인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이미지와 조형의 관계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고, 조형요소와 조형원리를 활용하여 다채로운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또한 학생들이 다양한 감각 의 연상 작용을 활용하여 입체조형을 제작하는 디자인 발상 단계별 교육을 수행하며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고 더욱 유연한 사고를 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Keywords abstract concept design thinking stage 3D shaping education imagery of music and

color

representation of image

In the era of convergence, designers need an ability to communicate with various fields and express the abstracts into reality. To do this, design foundation courses should cover various topics in class to expand student’s thinking, and also practice expressing abstract concepts into proper formative languages with creative thoughts. In this study, education of design thinking stage using music and color imagery was conducted to let students express images into two dimensions and three dimensions with association effect of auditory and visual senses. Education of design thinking stage were conducted as follows; 1) conceptualizing ‘music’ as an associated

‘color’, 2) categorizing it as adjective keywords for ‘music’ and ‘color’, 3) formalizing the beat, size, tone, rhythm, mood, shape of music, and keyword of color into two-dimensional image drawings, 4) forming the image features into three-dimensional shape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among the forty three works, eight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s by color, explaining the educational process and the progress of works on each stage. Based on this, analyzed the formative elements and the principles of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mage representations on each work. Students' two-dimensional image drawings and three-dimensional forms showed difference on its’ formative features depending on the image of music and color. As a result of this study, organized the formativ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color images into a diagram. Through this study, it hopes that students majoring in design will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form, and will be used as a reference to express diverse images using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In addition, by conducting education of design thinking stage that produce two-dimensional image drawing and three-dimensional form using auditory and visual senses, it is expected to help improving students’ problem-solving skills and flexible thinking ability.

(3)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디자인은 조형적 표현과 더불어 유연한 사고가 중요시되는 분야이다. 특히 융합화 시대에 디자 인은 더욱 다양한 분야와 협력하고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무형의 것을 실체화하는 작업이 증가 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디자인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사고를 확장하기 위하여 디자인 기초과 목에서는 다양한 주제를 다루어 새로운 시각으로 접근하여 발상하고 이를 조형적인 언어로 표현해 나가는 연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과 색상이라는 분야를 접목하여 디자인 발상 단계별 교육을 시행한 내용을 다루었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절차적인 방법으로 음악과 색상의 심상에서 영감을 얻어 연상 작용을 통하여 이미지를 표현하고 입체조형으로 실체화하며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인 조형 언어로 표현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디자인에 있어서 연상 작용은 자신의 경험과 지식을 비롯 한 감정 이미지를 바탕으로 사고를 확장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공소정, 2013).

또한 박지숙, 김태우(2006)의 논문에 따르면 “미술에서의 조형 언어로 ‘붓의 터치’는 음악에서 의 구성요소인 ‘리듬’과 대비되며, ‘붓의 움직임’은 ‘가락’, ‘색채조절을 통한 전반적인 표현’은

‘음색’, ‘색의 대비’는 ‘화성(짜임새, 어울림)’과 상통한다(p.220).” 이처럼 미술과 음악은 표현 방법에 있어 깊은 연관성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교육과정에서 음악이라는 다른 분야를 접목한 연상 작용을 통해 청각적으로 느껴지는 자신만의 감정과 감각을 시각적인 이미지와 입체조형 으로 표현하는 연습을 함으로써 청각적 감각과 시각적 감각을 비롯한 다양한 감각들을 함께 활용하여 학생들의 조형적 표현이 더욱 다채로워지고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1.2. 연구범위 및 방법

서울 소재의 4년제 대학교 1학년 산업디자인과 기초전공과목에서 8주의 기간 동안 진행한 교 육내용을 바탕으로 한다. 강의와 실습이 함께 진행된 수업이고, 디자인의 기본원리를 이해하며 디자인 요소들의 융합과 유연한 사고로 창의적인 디자인 개념을 확립하도록 함을 교육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색의 언어’라는 주제의 프로젝트를 수행하였고, 이에 앞서 조형요소와 조형원 리를 활용한 표현 및 색채의 상호작용과 이미지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였다. 실습은 개념화 단 계, 범주화 단계, 형식화 단계, 형상화 단계별로 시행하였다. ‘음악’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시작하여 1) 연상되는 ‘색상’으로 개념화하는 단계, 2) ‘음악’과 ‘색상’에 대한 형용사 키워드로 범주화하는 단계, 3) ‘음악’의 박자, 크기, 음색, 리듬, 분위기, 형상과 ‘색상’의 키워드를 2차원 이미지 드로잉으로 형식화하는 단계, 4) 이미지의 특징을 입체조형으로 제작하는 형상화 단계 의 프로세스로 진행하였다. 이때, 음악 장르에 대한 선정기준은 학생 개인의 경험과 선호에 따라 선택하도록 하여 1학년 산업디자인과 기초전공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다양한 심상을 연상하여 발상하는 과정에 집중하고 음악을 선정하는데 어려움을 줄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제 2장에서는 발상 단계별 교육 내용을 정리하였고, 43개의 학생 작품 중 색상별로 대표적인 8개의 작품을 선정하여 단계별 작품 진행 과정을 정리하였다. 이는 객관성을 확보하 기에는 자료의 양이 다소 부족할 수 있지만, 연구자의 기준에서 음악의 이미지, 색상의 이미지, 키워드, 이미지 스케치, 입체조형 간의 연결성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작품들로 선별하였 다. 제 3장에서는 학생들의 작업내용을 바탕으로 작품별 이미지 드로잉과 입체조형에 활용된 조형요소 및 조형원리와 조형 표현적 특징들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제 4장에서는 완성된 작품들을 토대로 도출된 음악과 색상의 이미지에 따른 조형적 관계성에 대하여 다이어그램으 로 정리하였다.

2. 추상적 개념 형상화를 위한 입체조형 교육 2.1. 발상 단계별 교육 개요

디자인 발상 단계별 교육은 개념화 단계, 범주화 단계, 형식화 단계, 형상화 단계에 따라 진행하

(4)

였다. 개념화 단계는 아이디어를 전개하는 과정이고, 범주화 단계는 이미지를 구체화하는 과정 이다. 형식화 단계는 표현방식을 탐구하는 과정이고, 형상화 단계는 조형을 실체화하는 과정이 다(Kim, H. Y. & Kim, H. R., 2020). 이러한 교육 과정을 적용한 ‘색의 언어’ 프로젝트의 단계 별 학습 목표는 <Table 1>과 같다.

교육 단계 단계별 정의 단계별 학습 목표

개념화 단계 아이디어 전개 ‘음악’의 개념을 ‘색상’의 이미지를 통해 도출하는 과정이다.

범주화 단계 이미지 구체화 ‘음악’과 ‘색상’의 이미지를 키워드로 구조화하는 과정이다.

형식화 단계 표현방식 탐구 ‘음악’과 ‘색상’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표현방식을 탐구하는 과정이다.

형상화 단계 조형 실체화 ‘음악’과 ‘색상’의 이미지를 입체조형으로 실체화하는 과정이다.

<Table 1> Educational Goal on Each Stage

2.2. 발상 단계별 교육 프로세스 2.2.1. 개념화 단계

학생들은 입체조형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음원의 일부분을 선정하였다. 음악의 장르는 학생 개 인의 경험과 선호에 따라 선정하도록 하였으며, 가사가 없고 기계음이 없는 음악에서 20초 내의 구간을 발췌하도록 하였다. 개념화 단계에서는 선정한 음원을 색상과 빗대어 상상하며 음원과 가장 어울리는 분위기를 갖는 색상을 연상하여 아이디어를 전개하였다.

작품 1 작품 2 작품 3 작품 4 작품 5 작품 6 작품 7 작품 8

캐리비안의 해적 코리아 w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2:15 – 2:35

토토의 즐거운 하루

Shizuko Mori 0:00 – 0:20

Flower dance Piano ver.

DJ Okawari 0:30 – 0:50

Waterdrop Tido Kang 0:00 – 0:20

Reverie Debussy 0:26 – 0:46

사계 중 가을 비발디 0:00 – 0:20

죄와 벌 친절한 금자씨 OST 1:05 – 1:25

어느 여름날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OST 0:34 – 0:54

빨강 주황 다홍 노랑 초록 파랑 보라 베이지

<Table 2> Conceptualization Stage of the Language of Color Project

2.2.2. 범주화 단계

범주화 단계에서는 음악과 색상의 이미지를 통해 연상되는 세 가지의 형용사 키워드를 정리하 여 표현하고자 하는 추상적인 대상의 이미지를 구체화하였다.

작품 1 작품 2 작품 3 작품 4 작품 5 작품 6 작품 7 작품 8

긴급한, 웅장한, 강렬한

역동적인, 탄탄한, 신나는

황홀한, 어스레한,

몽환적인

활동적인, 신나는,

밝은

신비로운, 선선한, 서정적인

생기있는, 아우르는, 선선한

변덕스러운, 비밀스러운,

교활한

포근한, 안정적인,

여유로운

<Table 3> Categorization Stage of the Language of Color Project

2.2.3. 형식화 단계

형식화 단계에서는 음악에서 표현된 소리의 박자, 소리의 크기 혹은 음량, 소리의 음색, 소리의 리듬 혹은 멜로디, 소리의 분위기 혹은 상황, 음악의 전체적인 형상 및 색상의 키워드를 2D 이미지로 스케치하여 이미지 표현방식을 탐구하였다. 학생들이 2D 이미지 드로잉을 진행하기 에 앞서 Richard Wilde & Judith Wilde 저자의 저서 Visual Literacy의 ‘검정사각형에 관한 문제’(pp.20-26) 부분을 예시로 참고하도록 하였다. 이 책의 저자는 표현형식을 제한하여 네 개의 검정사각형 만을 활용해 증가, 질서, 대담, 명랑, 긴장 등의 단어에 대한 이미지를 <Figure 1>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였다. 이러한 예제를 토대로 ‘색의 언어’ 프로젝트에서는 표현형식을 확장하여 점, 선, 면, 형, 명암, 질감, 공간 등의 평면적 조형요소들을 활용하여 음악

(5)

과 색상에 관한 내용을 상징적인 이미지 로 표현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형식화 단계를 통하여 추상적인 이미지를 디자 인적 언어로 표현하기 위한 조형 간의 상호관련성을 발견하며 다양한 표현형 식을 탐구한다.

표현형식 탐구를 위하여 왼쪽 아래의

<Figure 2>와 같은 이미지 드로잉 형 식을 제공하였다. 수업 중 30분의 시간 동안 자신이 선정한 음원 부분을 반복해

서 들으며 스케치를 진행한 후 이미지 드로잉 내용을 다른 학생들과 공유하며 토의하였고, 연구 자와의 피드백을 통해 주제별 이미지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발전시키는 시간을 가졌다.

작품 1 작품 2 작품 3 작품 4 작품 5 작품 6 작품 7 작품 8

<Table 4> Formalization Stage of the Language of Color Project

2.2.4. 형상화 단계

형상화 단계에서는 청각적 감각과 시각적 감각을 통해 도출된 이미지를 토대로 종이를 사용하 여 연습 모델을 제작한 후 피드백을 통해 브리스톨(Bristol) 종이를 이용하여 최종 입체조형으 로 실체화하였다.

작품 1 작품 2 작품 3 작품 4 작품 5 작품 6 작품 7 작품 8

<Table 5> Forming Stage of the Language of Color Project

2.3. 발상 단계별 작품 결과

<Table 6>는 앞서 진행된 8개의 작품들에 대한 단계별 결과물들을 하나의 표로 정리한 내용 이다.

작품사례 개념화 단계 범주화 단계 형식화 단계 형상화 단계

작품 1

캐리비안의 해적 코리아 w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2:15 – 2:35

빨강

긴급한, 웅장한, 강렬한

<Table 6> Work Results on Each Stage

<Figure 2> Image Drawing Format

<Figure 1> Example of 2D Image Drawing_ Visual Literacy by Wilde, R., & Wilde, J.

(6)

작품 2

토토의 즐거운 하루 Shizuko Mori

0:00 – 0:20

주황

역동적인, 탄탄한, 신나는

작품 3

Flower dance Piano ver 0:30 – 0:50.

다홍

황홀한, 어스레한, 몽환적인

작품 4

Waterdrop Tido Kang 0:00 – 0:20

노랑

활동적인, 신나는, 밝은

작품 5

Reverie Debussy 0:26 – 0:46

초록

신비로운, 선선한, 서정적인

작품 6

사계 중 가을 비발디 0:00 – 0:20

파랑

생기있는, 아우르는, 선선한

(7)

3. 조형적 표현 특징 분석

추상적 개념을 입체조형으로 형상화하는 교육을 토대로 학생들이 진행한 작업 과정에서 음악 과 색상의 이미지를 표현하기 위해 활용된 조형요소와 조형원리 및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여 이미지와 조형적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형적 표현 특징을 분석하기에 앞서 조형요 소 및 조형원리에 대한 정의를 정리하면, 조형요소는 이미지를 구성하는 시지각 요소들로 점, 선, 면, 형, 색, 명암, 질감, 공간 등이 포함되며, 이미지를 표현하는 도구적 성질을 갖는다. 조형 원리는 이와 같은 조형요소들의 관계성을 의미한다. 통일, 균형, 율동, 비례, 조화, 구성, 변화, 강조, 대조, 동세, 점이, 반복, 리듬 등이 포함되며, 조형요소들에 질서를 부여하여 이미지의 표현적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방법적 성질을 갖는다(Kim, C. I., & Park, N. H., 1991; Lee, S. H., 2014, P. 10; Wallschlaeger, C., & Busic-Snyder, C., 1998). <Table 7>에서는 학생 들이 음악과 색상의 연상 작용을 통해 도출한 2차원 이미지 드로잉을 바탕으로 조형요소와 조형원리를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Table 8>에서는 2차원 이미지 드로잉을 통해 도출된 조형 요소와 조형원리를 3차원 입체조형으로 적용한 조형적 표현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3.1. 2차원 이미지 드로잉에 활용된 조형요소 및 조형원리

작품 7

죄와 벌 친절한 금자씨 OST

1:05 – 1:25

보라

변덕스러운, 비밀스러운, 교활한

작품 8

어느 여름날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OST

0:34 – 0:54

베이지

포근한, 안정적인, 여유로운

작품사례 이미지 드로잉 조형요소 조형원리

작품 1

a. 좌우로 긴 사각형 b. 이등변 삼각형과 직선적 공간

c. 마름모형 d. 정사각형 e. 상하로 긴 삼각형 f. 육면체

a. 반복⦁교대⦁변화적 배열 b. 강조⦁확장적 동세 c. 점증적 구성 d. 긴장⦁대칭적 리듬 e. 반복⦁긴급⦁긴장⦁지배⦁

변화적 흐름

f. 지그재그⦁수직적 율동

<Table 7> Formative Elements and Principles of Two-Dimensional Image Drawing

(8)

작품 2

a. 크고 작은 정사각형 b. 크고 작은 원 c. 원과 직선적 공간 d. 원과 좌우로 긴 타원 e. 정사각형과 상하로 긴 사각형

f. 크고 작은 원

a. 반복⦁변화적 배열 b. 반복⦁변화적 동세 c. 반복⦁확장⦁진취적 구성 d. 반복⦁점증적 리듬 e. 반복⦁변화적 흐름 f. 반복⦁변화적 율동

작품 3

a. 상하로 긴 비등척 사각형 b. 오목한 형

c. 원과 완만한 곡선 d. 크고 작은 원과 변화하는 곡선

e. 직사각형 f. 정삼각형과 대각선

a. 반복⦁점감적 배열 b. 반복⦁점증적 동세 c. 대칭적 구성 d. 곡률 변화적 리듬 e. 규칙⦁지배적 흐름 f. 반복⦁점증⦁연속적 율동

작품 4

a. 원과 곡선 b. 크고 작은 원 c. 크고 작원 원과 파장형 d. 좌우로 긴 타원 e. 점과 크고 작은 원 f. 크고 작은 원

a. 반복⦁상하변화적 배열 b. 반복⦁변화적 동세 c. 반복⦁확장적 구성 d. 반복⦁규칙적 리듬 e. 지배종속⦁점증⦁변화적 흐름

f. 반복⦁변화⦁회전적 율동

작품 5

a. 직선과 곡선 b. 높고 낮은 직사각형 c. 원과 완만한 곡선 d. 크고 작은 원 e. 직선적 공간 f. 직선과 정사각형

a. 팽창과 수축⦁확장적 배열 b. 반복⦁변화적 동세 c. 지배⦁강조⦁변화적 구성 d. 반복⦁변화적 리듬 e. 깊이감⦁점감적 흐름 f. 반복⦁회전적 율동

작품 6

a. 상하로 긴 사각형과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b. 상승과 하강하는 계단형 c. 크고 작은 직사각형을 가로 짖는 굵은 대각선

d. 마름모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e. 원·좌우로 긴 사각형·삼각형 f. 크고 작은 정육면체와 공간

a. 반복⦁변화⦁연속적 배열 b. 지배⦁변화적 동세 c. 변화⦁폐쇄성⦁교차적 구성 d. 교차⦁점증적 리듬 e. 균형과 비균형적 흐름 f. 지배종속⦁확장적 율동

(9)

3.2. 3차원 입체조형에 활용된 조형적 표현

작품사례 입체조형 조형적 표현

작품 1

a. 좌우로 긴 사각형의 반복⦁교대⦁변화적 배열

▶ 상하에 활용된 큰 사각꼴 면과 좌우 옆면에 활용된 작은 사각꼴 면들이 교대로 배열된 이미지

b. 이등변 삼각형과 직선적 공간의 강조⦁확장적 동세 ▶ 안쪽 공간의 열린 이등변 삼각형의 구조와 앞쪽으로 확장되는 직선적 공간

c. 마름모형의 점증적 구성

▶ 앞쪽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점증적 공간 d. 병렬식 정사각형의 반복⦁긴장⦁대칭적 리듬

▶ 좌우 옆면이 대칭적이면서도 서로 다른 각도의 사각꼴을 활용하여 안쪽 공간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긴장적 이미지 e. 상하로 긴 삼각형의 반복⦁긴급⦁긴장⦁지배⦁변화적 흐름 ▶ 주공간과 주공간을 받쳐주는 사면체 조형물이 이루는 긴급⦁긴장적 이미지

f. 육면체의 지그재그⦁수직적 율동

▶ 옆면에 활용된 사각꼴의 수직적 구조와 다양한 각도가 만드는 교차적 이미지

작품 2

a. 크고 작은 정사각형의 반복⦁변화적 배열 ▶ 규칙성 있는 반복적 이미지

b. 크고 작은 원의 반복⦁변화적 동세 ▶ 크고 작은 크기의 변화

c. 원과 직선적 공간의 반복⦁확장⦁진취적 구성 ▶ 진취적인 이미지

d. 원과 좌우로 긴 타원의 반복⦁연속⦁점증적 리듬 ▶ 연속적, 점층적으로 확장되는 이미지

e. 정사각형과 상하로 긴 사각형의 반복⦁변화적 흐름 ▶ 앞쪽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구조

f. 크고 작은 원의 반복⦁변화적 율동 ▶ 생동적인 이미지

<Table 8> Formative Expressions of Three-Dimensional Form 작품 7

a. 상하로 긴 사각형과 직선 b. 원과 마름모

c. 직선·각진타원·삼각형 d. 아치형과 곡선 e. 원·정사각형·대각선·빗금 f. 타원·마름모·짧은선

a. 반복⦁변화⦁연속적 배열 b. 반복⦁확장⦁대비적 동세 c. 점증적분할⦁비대칭적 구성 d. 반복⦁교차⦁분할적 리듬 e. 반복⦁변화⦁교차적 흐름 f. 지배종속⦁확장적 율동

작품 8

a. 정사각형

b. 크고 작은 정사각형 c. 광활한 원

d. 크고 작은 선과 면의 원 e. 크고 작은 선과 면의 원 f. 크고 작은 원과 곡선적 나열의 사각형

a. 반복⦁변화⦁연속적 배열 b. 확장축소⦁연속적 동세 c. 지배⦁대비적 구성 d. 반복⦁변화적 리듬 e. 반복⦁지배⦁확장적 흐름 f. 대비⦁비대칭적 율동

(10)

작품 3

a. 상하로 긴 비등척 사각형의 반복⦁점감적 배열 ▶ 조형을 보는 각도에 따라 변화하는 면과 선의 이미지 b. 오목한 형의 반복⦁점증적 동세

▶ 오목한 형의 받침 부분을 기준으로 곡선의 움직임이 확장되는 이미지

c. 원과 완만한 곡선의 대칭적 구성

▶ 완만한 곡선이 만드는 여백과 곡선적 구조의 공간 비율 d. 크고 작은 원과 변화하는 곡선의 곡률 변화적 리듬 ▶ 면과 선의 움직임이 만드는 곡률 변화적 이미지 e. 직사각형의 규칙⦁지배적 흐름

▶ 곡선과 곡률의 구조로 이루어진 조형 f. 정삼각형과 대각선의 반복⦁점증⦁연속적 율동

▶ 곡률의 변화와 곡선의 연속적 움직임으로 이루어진 조형

작품 4

a. 원과 곡선의 반복⦁상하 변화적 배열 ▶ 점차적으로 변화하는 이미지 b. 크고 작은 원의 반복⦁변화적 동세 ▶ 크고 작게 변화하는 원의 이미지 c. 크고 작은 원과 파장형의 반복⦁확장적 구성 ▶ 앞쪽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구조 d. 좌우로 긴 타원의 반복⦁규칙적 리듬 ▶ 점차 확장되는 반복적 구조

e. 점과 크고 작은 원의 지배종속⦁점증⦁변화적 흐름 ▶ 면과 선의 활용

f. 크고 작은 원의 반복⦁변화⦁회전적 율동 ▶ 회전적 이미지

작품 5

a. 직선과 곡선의 팽창과 수축⦁확장적 배열

▶ 사각 구조가 축소되었다가 물결 형태로 다시 퍼지는 구조 b. 높고 낮은 직사각형의 반복⦁변화적 동세

▶ 크기의 변화

c. 원과 완만한 곡선의 지배⦁강조⦁변화적 구성 ▶ 서정적인 이미지

d. 크고 작은 원의 반복⦁변화적 리듬 ▶ 사각 구조의 확장과 축소 e. 직선적 공간의 깊이감⦁점감적 흐름 ▶ 깊이감이 느껴지는 공간 f. 직선과 정사각형의 반복⦁회전적 율동

▶ 사각 구조의 반복과 각도 변화가 만드는 회전적 구조

작품 6

a. 상하로 긴 사각형과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반복⦁변화⦁연속적 배열

▶ 반복적 규칙적 움직임 속에서 끊김과 변화가 있는 구조 b. 상승과 하강하는 계단형의 지배⦁변화적 동세

▶ 상하 높낮이의 변화가 있는 구조

c. 크고 작은 직사각형을 가로 짓는 굵은 대각선의 변화⦁폐쇄성⦁교차적 구성

▶ 내부 구조와 외부 구조의 교차적 이미지 d. 마름모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확산적 리듬 ▶ 같은 구조의 반복과 확장

e. 원과 좌우로 긴 사각형과 삼각형의 긴장⦁균형적 흐름 ▶ 반복적 구조에서 높이의 변화가 주는 긴장적 이미지 f. 크고 작은 정육면체와 공간의 지배종속⦁확장적 율동 ▶ 무게감이 느껴지는 구조의 반복

(11)

3.3. 작품별 발상 및 표현적 특징

<작품 1>에서는 코리아 W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캐리비안의 해적 곡을 선정하였고, 웅장한 오케스트라 연주와 음에 극적인 변화가 있는 이 곡에서 채도가 높은 원색에 가까운 빨간색을 연상하여 긴급한, 웅장한, 강렬한 이미지를 추출하였다. 조형에서는 각진 사각꼴의 형상을 변화 시키고 반복적으로 배열하여 점증적인 공간을 만들고, 주체적 조형을 받치는 종속적 (subordinate)1) 조형을 긴장감이 느껴지는 형상으로 구성하고, 안쪽의 열린 공간을 기준으로 거대한 사각꼴이 확장하는 직선적 공간으로 구성하여 빨강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작품 2>에서는 Shizuko Mori의 토토의 즐거운 하루 곡을 선정하였고, 스타카토의 또렷하고 빠른 템포와 연속적인 음색이 반복되는 이 곡에서 원색에 가까운 주황색을 연상하여 역동적인, 탄탄한, 신나는 이미지를 추출하였다. 조형에서는 각진 타원의 반복적인 배열과 곡률적 형상의 확장적인 구조로 주황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작품 3>에서는 DJ Okawari의 Flower dance 곡을 선정하였고, 길고 짧은 템포가 교차되며 음의 변화가 다양한 이 곡에서 채도가 높은 빨강, 주황, 노랑이 섞인 다홍색을 연상하여 황홀한, 어스레한, 몽환적인 이미지를 추출하였다. 조형에서는 완만한 곡선을 기준으로 연속적으로 변 화하는 곡률의 구조를 활용하여 다홍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작품 4>에서는 Tido Kang의 Waterdrop 곡을 선정하였고, 빠르고 짧은 템포로 위아래로 연 속적으로 흐르는 이 곡에서 채도가 높은 원색에 가까운 노란색을 연상하여 활동적인, 신나는, 밝은 이미지를 추출하였다. 조형에서는 원을 형상하는 경쾌한 곡선이 연속적으로 회전하며 확 장하는 점증적인 구조로 노랑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작품 5>에서는 Debussy의 Revere 곡을 선정하였고, 서정적인 선율과 리듬의 강약이 주는 깊이감이 느껴지는 이 곡에서 파랑이 섞인 에메랄드에 가까운 초록색을 연상하여 신비로운, 선선한, 서정적인 이미지를 추출하였다. 조형에서는 직선적 성격을 가진 정사각형 구조를 회전 시켜 연속적으로 배열하고, 전체적인 형태는 곡선적 흐름을 이용한 깊이감이 있는 구조로 초록 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1) 디자인의 요소들(Elements of design). (2005). 게일 그리트 하나(GAIL GREET HANNAH). 안그라픽스. P.64 작품 7

a. 상하로 긴 크고 작은 사각형의 반복⦁변화⦁연속적 배열 ▶ 조형의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비율

b. 원과 마름모의 반복⦁확장⦁대비적 동세 ▶ 확장적 구조

c. 직선·각진 타원·삼각형의 점증적 분할⦁비대칭적 구성 ▶ 비정형적 구조

d. 아치형과 곡선의 반복⦁교차⦁분할적 리듬 ▶ 곡선적 실루엣과 직선적 분할

e. 원·정사각형·대각선·빗금의 반복⦁변화⦁교차적 흐름 ▶ 선과 면의 교차적 이미지

f. 타원·마름모·짧은선의 지배종속⦁확장적 율동 ▶ 타원형의 열린 구조와 직선형 빗금 구조의 이미지

작품 8

a. 정사각형의 반복⦁변화⦁연속적 배열 ▶ 안정적 여유로운 이미지

b. 크고 작은 정사각형의 확장축소⦁연속적 동세 ▶ 크기의 변화가 대비되는 연속적인 조형 c. 광활한 원의 지배⦁대비적 구성

▶ 광활한 중심 구조

d. 크고 작은 선과 면의 원의 반복⦁변화적 리듬 ▶ 변화가 있는 곡선적 흐름

e. 크고 작은 선과 면의 원의 반복⦁지배⦁확장적 흐름 ▶ 확장과 순환하는 구조

f. 크고 작은 원과 곡선적 나열의 사각형의 대비⦁비대칭적 율동 ▶ 주체적 조형과 부수적 조형의 대비적인 형상과 비대칭적인 구조

(12)

<작품 6>에서는 비발디의 사계 중 가을 곡을 선정하였고, 연속된 음정이 높고 낮은 음으로 교차하는 이 곡에서 명도가 높은 남색에 가까운 파란색을 연상하여 생기있는, 아우르는, 선선한 이미지를 추출하였다. 조형에서는 직선적 형태의 구조를 규칙적으로 배열하고 미세한 높낮이 의 변화를 주었고, 정십각기둥을 내부와 외부로 반복 배열한 교차적 구조로 파랑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작품 7>에서는 친절한 금자씨 OST의 죄와 벌 곡을 선정하였고, 빠른 템포와 긴 템포의 리듬 이 서로 어우러지며 날카로운 선율이 느껴지는 이 곡에서 채도가 높은 남색에 가까운 보라색을 연상하여 변덕스러운, 비밀스러운, 교활한 이미지를 추출하였다. 조형에서는 비정형적 곡선을 갖은 단일 구조에서 선과 면이 교차하는 빗금 구조로 보라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작품 8>에서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OST 어느 여름날 곡을 선정하였고, 여유롭고 안정감 있는 템포의 맑고 총명한 음색이 느껴지는 이 곡에서 명도가 밝은 갈색 톤의 베이지색을 연상하 여 포근한, 안정적인, 여유로운 이미지를 추출하였다. 조형에서는 비스듬하게 자리 잡은 부피감 이 있는 광활한 곡선적 구조를 주체적(dominant)2) 조형으로 배치하여 정적이면서도, 부수적 (subdominant)3) 조형으로 변화가 있는 얇은 곡선적 흐름을 조화시켜 순환하는 구조로 베이지 의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4. 음악과 색상의 이미지에 따른 조형 분석 결과

학생들의 작업을 토대로 음악과 색상의 이미지와 조형의 관계성을 분석해 보았을 때 아래

<Figure 3>와 같은 특징이 나타났다.

<Figure 3> Formativ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Color

음의 템포가 빠르고 밝은 음악에서는 빨강에서 노랑 범위에 속하는 색상을 연상하였다. 음의 템포가 부드럽고 신비로운 음악에서는 노랑에서 파랑 범위에 속하는 색상을 연상하였다. 음의 템포가 극명하게 변화하는 잔잔한 음악에서는 파랑에서 빨강 범위에 속하는 색상을 연상하였 다. 음의 템포가 안정적이고 맑은 음악에서는 무채색 범위에 속하는 색상을 연상하였다. 또한 색의 삼원색 빨강, 노랑, 파랑 기준에서 빨강을 연상한 작품은 각지고 단단한 입체조형적 특징 이 나타났다. 노랑을 연상한 작품은 둥글고 부드러운 입체조형적 특징이 나타났다. 파랑을 연상 한 작품은 견고하고 단일적인 입체조형적 특징이 나타났다. 이 외에 베이지를 연상한 작품은 정적이고 순환하는 입체조형적 특징이 나타났다.

2) 디자인의 요소들(Elements of design). (2005). 게일 그리트 하나(GAIL GREET HANNAH). 안그라픽스. P.64 3) 디자인의 요소들(Elements of design). (2005). 게일 그리트 하나(GAIL GREET HANNAH). 안그라픽스. P.64

(13)

5.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음악과 색상의 이미지 연상 작용을 통하여 추상적 개념을 형상화 시키는 입체조 형 교육을 진행한 내용을 서술하였다. 교육은 개념화 단계, 범주화 단계, 형식화 단계, 형상화 단계별로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경험과 선호에 따라 선택한 음악에서 색상을 연상하며 아이디 어를 전개하고, 키워드를 도출하여 이미지를 구체화하며, 이를 조형언어로 해석하여 표현방식 을 탐구하고, 입체조형으로 실체화 시키는 작업으로 이어졌다. 이렇게 진행된 학생들의 작품 진행 과정을 바탕으로 음악과 색상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 활용된 조형요소와 조형원리 및 조형적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고, 작업 결과물을 토대로 음악과 색상의 이미지와 조형의 관계성 을 다이어그램으로 정리하였다. 그 결과 음의 템포가 빠르고 밝은 음악은 난색 계열을 연상시키 고, 음의 템포가 부드럽고 신비로운 음악은 난색과 한색의 중간 계열을 연상시키고, 음의 템포 가 극명하게 변화하는 잔잔한 음악은 한색 계열을 연상시킨다. 음의 템포가 안정적이고 맑은 음악은 무채색 계열을 연상시킨다. 또한 색의 삼원색을 기준으로 빨간색에서 노란색으로 갈수 록 둥글고 부드러운 조형적 특성을 갖으며, 노란색에서 파란색으로 갈수록 견고하고 단일적인 조형적 특성을 갖으며, 파란색에서 빨간색으로 갈수록 각지고 단단한 조형적 특성을 갖으며, 무채색 계열에서는 정적이고 순환하는 조형적 특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선택한 음악과 색상의 심상에서 나온 결과물들을 토대로 정리한 내용이기 때문에 같은 음악을 듣고도 다른 색상을 연상 할 수 있는 가능성과, 색상의 명도나 채도에 따라 서도 상이한 조형적 특징이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존재한다. 객관적인 지표를 제시하기 보다는 추상적 심상과 이미지에 따라 다양한 입체조형으로 형상화 시키는 교육사례와 방법론 에 집중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모든 조형은 이미지를 내포한다. 디자이너는 조형을 제작할 때 주체적으로 형식적, 의미적 내용 을 담은 이미지를 부여한다. 조형적으로 이미지를 표현하고 메시지를 전달함은 디자이너에게 중요한 소통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감각과 매체를 통해 떠오르는 이미지를 입체조형으로 제작하는 교육내용을 통하여 디자인을 전공하는 학생들이 이미지와 조형의 관계 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고, 조형요소와 조형원리를 활용하여 다채로운 이미지를 표현하는 데 참고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또한 발상 단계별 프로젝트를 통해 특정 주제로 시작하여 청각 적 감각과 시각적 감각을 활용하여 2차원 이미지 드로잉과 3차원 입체조형을 제작하며 학생들 이 문제해결 능력을 기르고 더욱 유연한 사고를 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References

Hannah, G.(2005).

Elements of design

(Kim, S. H. Trans.). Ahn Graphics. (Original work published 2002). ISBN 8970592466

Kim, C. I., & Park, N. H. (1991).

Fundamentals and Analysis of Formations

(조형의 기초와 분석).

Mijinsa. ISBN 89-408-0082-6

Kim, H. Y., & Kim, H. R. (2020). A Study on the Education of Design Thinking Stage for Forming Abstract Concepts into the Design -focused on educational cases and classification of types-.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21

(6), 149-160.

Kong, S. J. (2013).

A Study on Abstractive Expression for Improvements of Creative Articulation -focused on visual expression of musical elements

[Master’s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KERIS Theses & Dissertations.

Lee, S. H. (2014).

Teaching Method of Abstract Painting for Self-Expression which apply music -focused on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KERIS Theses & Dissertations.

Park, J. S., & Kim, T. W. (2006). A Study on the Intergrated Education of Musical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Art Education -focused on Vassily Kandinsky abstract paintings-.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7

(2), 215-227.

(14)

Wallschlaeger, C., & Busic-Snyder, C. (1998).

Basic Visual Concepts and Principles

(Won, Y. H.

Trans.). Ahn Graphics. ISBN 8970590706

Wilde, R., & Wilde, J. (2000).

Visual Literacy: A Conceptual Approach to Graphic Problem Solving.

Watson-Guptill. ISBN 0823056201

참조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