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복강경술을 이용한 난소 병변의 치료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복강경술을 이용한 난소 병변의 치료"

Copied!
6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Vol. 45 No. 4 April 2002

산부인과 영역에서의 내시경은 1910년 스웨덴의 Jaco- baeus에 의해 인간의 복강내를 cystoscope으로 처음으로 관찰하였으며 이를 복강경 수술 (Laparoscopy)이라고 칭 하였다.1,2그 후 1973년 Shapiro와 Alder 등이 처음으로 복 강경을 이용한 난관절제술을 시행하여 진단적 목적 뿐 만 아니라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으며,3 1977 년 독일의 Kurt와 Semm에 의해 여러 부인과적 질환의 수 술적 치료가 시작되었다.4그 후 광학기술의 발전과 다양 한 복강경 기기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과거 개복술 에 의존하던 많은 부인과 수술이 복강경 수술로 대치되

고 있으며, 나아가 일부 초기 악성종양까지 그 적용범위 가 넓어지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복강경 수술이 갖는 장 점들, 즉 수술 후 출혈, 감염, 유착 형성 같은 합병증이 적 고 절개 부위가 적어 미용상의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수술 후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빨라 입원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점 등에 기인한다.2,5

최근 들어 난소 병변으로 인한 복강경 수술이 증가되 고 있다. 그러나 난소에 발생하는 여러 질병에 대한 지식 과 복강경 술기의 정확한 습득 없이 복강경이 시행되는 경우 악성종양, 종양의 파열 및 내용물의 복강내 유출,

복강경술을 이용한 난소 병변의 치료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임윤경·김영아·조미영·안상태·김미란·황경주·유희석

=ABSTRACT=

Laparoscopic management of ovarian pathologic lesions

Yun Kyoung Lim, M.D., Young Ah Kim, M.D., Mi Yeong Jo, M.D., Sang-Tae Ahn, M.D., Mi Ran Kim, M.D., Kyung Joo Hwang, M.D.,

Hee-Sug Ryu, M.D.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jou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Ajou University, Suwon, Korea

Objective : To assess the advantages, disadvantages, applicability, and complications of operative laparoscopy in ovarian pathologic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case series which compares 354 patients who had laparoscopic surgery at Ajou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1994 to September, 2001 for ovarian pathology.

Results : The patient's ages ranged from 13 to 77 years, and their mean age was 30.9 years. Most of the lesions were less than 7 cm in size and unilateral. The operations performed were cystectomy in 225 cases (63.6%), salpingooophorectomy, oophorectomy, salpingectomy and fenestration or biopsy in order. Operative times were between 10 and 240 minutes (mean: 74.2 minutes). Pathologic examinations of unilateral ovarian tumors were performed in 305 cases. The most common pathology of unilateral ovarian tumor was teratoma (107/305, 35.1%), endometrioma and cystadenoma in order. Malignancies were found in 4 cases including borderline malignancy (1.3%). Pathologies of bilateral ovarian tumor were endometrioma (31/41, 75.6%), teratoma, and fibroma in order. Postoperative hospital stays were from 0 days to 19 days (mean: 2.5 days).

There were 7 surgical complications including 3 vessel injury related hematomas, 1 abscess formation, and 3 exploratory laparotomy.

Conclusions : We concluded that operative laparoscopy was useful in surgery of ovarian lesions, if there are carefully selected patients, standard procedures, and skilled laparoscopic surgeons.

Key Words : Laparoscopy, Ovarian Pathology

접수일:2002. 2. 6.

주관책임자 : 김영아

(2)

볼완전한 수술 등의 여러 가지 합병증 및 문제점을 야기 할 수 있다.3

이에 저자들은 1994년 6월부터 2001년 9월까지 아주 대학교 병원에서 난소 병변으로 복강경 수술을 시행받 은 354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환자군의 특성, 수 술의 종류 및 합병증, 조직검사소견, 입원 기간 등에 대 해 고찰함으로써 복강경 수술의 장점, 단점, 적용범위 및 문제점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1994년 6월부터 2001년 9월까지 아주대학교 병원에서 난소 병변으로 진단되어 복강경 수술을 시행 받은 354명 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문진, 이학적 검사, 질식초음파 검사, 색도플러초음파 및 종양표지물자 등을 이용하여 악성종양 여부를 감별한 후 복강경 수술 시행 여부를 결정하였다.

수술방법은 전신마취 후 환자를 쇄석위 (Lithotomy position)와 Trendelenburg 자세를 취하게 한 후 자궁 거 상기를 삽입하며 도뇨관을 설치하였다. 배꼽아래 경계부 위를 절개한 뒤 Veress 침을 삽입하고 CO2gas를 이용하 여 기복 (pneumoperitoneum) 상태를 형성한 후 일차 10 mm 투관침 (10 mm trocar, WOLF, Germany)을 같은 곳에 삽입하였다. 기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분당 6 L의 속 도로 유입되는 자동 insufflator를 이용하였다. 골반경을 삽입한 후 제2, 제3, 제4의 천자를 시행하였다. 복부의 혈 관이나 복강내 장기의 손상을 피하기 위하여 투관침의 복강내 진입시에는 복강경으로 직접 천자부위의 혈관 분 포 상태를 살피면서 진입하였고, 복강내 출혈이나 장기 의 손상이 있는지 관찰한 후에 수술을 진행하였다. 지혈 방법 및 기저 병변의 제거방법으로는 endoloop, endo- suture, 저온응고기 (endocoagulator), CO2 레이저, Argon 레이저, 양극성 응고기 (bipolar coagulator) 등의 기구들을 사용하였고, 종괴 제거시에는 낭종제거술 (cystectomy), 부속기적출술 (adnexectomy), 흡입천자술 (puncture and aspiration), 창문개구술 (fenestration), 조직검사 (biopsy), 설상절제술 (wedge resection) 등을 시행하였다. 필요에 따 라 endobag, endopouch를 사용하여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 하였고 내용물의 유출이 있을 경우는 충분한 복강내 세 척을 시행하였다.

복강경 수술이 끝난 후에는 수술 부위의 이상 출혈 유 무를 관찰하고, 투관침을 제거할 때에는 내시경으로 복 벽의 삽입부위의 상태를 관찰하였으며 마지막 투관침을 제거할 때에 복강내의 CO2gas를 제거하였다. 10 mm 크 기의 투관침 부위는 근막 봉합을 하였고 5 mm 크기의 투관침 부위는 피부 봉합을 시행하였다.

결 과

환자군의 나이 분포는 13세부터 77세까지 이였으며 평 균나이는 30.9세였다. 20-30대가 160예 (45.2%)로 가장 많 았으며 30-40대가 151예 (42.7%)였으며, 폐경 전 여성이 347예 (97.7%), 폐경 후 여성이 8예 (2.3%) 있었다. 산과 력은 출산력이 없는 경우가 171예 (48.3%), 있는 경우가 183예 (52.7%)였다. 수술 과거력은 72예 (20.3%)에서 있 었으며 제왕절개술 26예 (7.3%), 복강경술 14예 (3.9%), 개복술 13예 (3.7%), 기타 충수돌기 절개술 및 불임수술 의 경우가 19예 (5.4%)였다 (Table 1).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Characteristics No. (%)

Age distribution

<20 8 (2.2)

20-29 160 (45.2)

30-39 151 (42.7)

40-49 27 (7.6)

>=50 8 (2.3)

Parity

Nullipara 171 (48.3)

Multipara 183 (51.7)

Menstrual status

Premenopause 347 (97.7)

Postmenopause 8 (2.3)

History of previous surgery 72 (20.3)

난소종양의 크기는 5 cm 미만이 119예 (33.6%), 5-5.9 cm이 146예 (41.3%), 7-8.9 cm이 63예 (17.8%), 9-10.9 cm 이 21예 (5.9%), 11 cm 이상이 5예 (1.4%)였다. 난소종양 중 편측성은 313예 (88.4%), 양측성은 41예 (11.6%)였다 (Table 2).

Table 2. Characteristics of ovary tumors

No. (%) Size of ovarian tumors

<5 cm 119 (33.6)

5-6.9 cm 146 (41.3)

7-8.9 cm 63 (17.8)

9-10.9 cm 21 (5.9)

>=11 cm 5 (1.4)

Unilateral 313 (88.4)

Bilateral 41 (11.6)

수술 소요시간은 수술의 종류와 난이도에 따라 최저 10분에서 최고 240분으로 다양하였고 평균 소요시간은 74.2분이었으며, 60-90분이 120예 (33.9%), 30-60분이 112 예 (31.6%)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시행된 수술은 낭종제거술 (cystectomy)이 225예

(3)

(63.6%), 난소난관절제술 64예 (18.0%), 난소절제술 (oop- horectomy) 27예 (7.6%), 자궁부속기절제술 (salpin- gectomy) 7예 (2.0%)였으며 그 외 창문개구술 (fenes- tration)이나 조직검사 (biopsy)가 시행되었다. 두 가지 이 상의 복합수술이 18예 (5.1%)에서 있었다 (Table 3).

Table 3. Types of surgery performed

Type No. (%)

Adnexectomy 7 (2.0)

Cystectomy 225 (63.6)

Oophorectomy 27 (7.6)

Salpingoophorectomy 64 (18.0)

Fenestration or aspiration 6 (1.7)

LAVH 1 (0.3)

Biopsy 4 (1.0)

Detorsion 2 (0.7)

Combined operation 18 (5.1)

Total 354 (100)

LAVH: laparoscopic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수술 후 병리조직검사 결과는 편측성 난소종양 313예 중 조직검사를 시행한 305예에서 양성기형종 (teratoma) 이 107예 (35.1%)로 가장 많았으며 자궁내막종 (endome- trioma) 88예 (28.9%), 낭선종 (cystadenoma) 48예 (15.7%) 순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냈으며, 악성종양은 4예 (1.3%) 가 있었다. 그 외 브렌너종양 (Brenner tumor), 기생충 감 염, 혈관종이 각각 1예씩 있었다. 양측성 난소종양 41예 에서는 자궁내막종이 31예 (75.6%), 기형종 3예 (7.3%), 낭선종 2예 (4.9%), 섬유종 1예 (2.4%)이었으며 두 가지 이상의 복합형태가 4예가 있었다 (Table 4). 수술 후의 입원기간은 0일에서 19일까지로 평균 2.5일이었으며 2일 간의 입원기간이 188예 (53.1%)로 가장 많았고 3일이 70 예 (19.8%)였다.

Table 4. Pathology of ovarian tumor

Pathology No. (%)

Unilateral ovarian tumor 305

Endometrioma 88 (28.9)

Teratoma 107 (35.1)

Cystadenoma 48 (15.7)

Corpus luteal cyst 16 (5.2)

Paraovarian cyst 15 (4.9)

Simple cyst 16 (5.2)

Malignant carcinoma 4 (1.3)

Fibroma 6 (2.0)

Struma ovari 2 (0.7)

기타 3 (1.0)

Bilateral ovarian tumor 41

Endometrioma 31 (75.6)

Teratoma 3 (7.3)

Cystadenoma 2 (4.9)

Fibroma 1 (2.4)

Mixed 4 (9.8)

수술 중 혹은 수술 후 대부분의 환자에서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으나 (347예, 98.0%), 혈관손상으로 인한 혈관종 3예, 감염과 농양 형성 1예, 개복술로 전환된 경우 3예가 있었다 (Table 5).

Table 5. Complications

Type No. (%)

Vascular injuries 3 (0.85)

Infection 1 (0.3)

Exploratory laparotomy 3 (0.85)

Total 7

고 찰

과거 진단적인 목적과 불임 수술의 목적으로 사용되 어지던 복강경 수술은 1970년대 들어 치료적인 목적으 로 전환되었으며,3,4 최근에는 자궁외 임신, 근종절제술 (myomectomy), 난소 병변절제술 (cystectomy), 유착박리 술 (adhesiolysis) 뿐만 아니라 자궁적출술 및 악성종양 수술까지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6,7 최근 내시경 수술 기구들의 발달과 수술 술기의 발전으로 많은 부인과 질 환들이 복강경 수술의 적응증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 이다. 특히 난소 병변의 경우 복강경 수술의 증가 경향 이 가장 뚜렷하며 그 유용성이 인정되고 있다.8,9

그러나 난소 병변의 경우, 병변절제술을 실시해서 흡 인한 뒤 추출해 내기 때문에 병변안의 내용물에 대한 관 찰이 부족하고 악성종양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 이 단점이며, 그 외 수술 중 종양의 파열 및 내용물의 유 출, 불완전한 수술 등으로 인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특히 수술 중 혹은 수술 후 악성종양으로 판명될 경우 수술 도중 종양의 파열로 인한 암세포의 파종 가능성 및 불완전한 병기설정, 부적절한 수술, 늦은 개복수술 등으 로 인한 종양의 재발 (recurrence) 가능성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7,10,11

따라서 난소 병변에서 복강경 수술로 인한 문제점들 을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지침이 필요할 것으로 생 각된다. 첫째는 수술 전 악성의 가능성을 최대한 배제하 는 것이다. 둘째는 수술 중에 악성 종양의 진단을 높이 는 것이며, 셋째는 수술 중 악성으로 진단된 병변으로 인한 암세포의 파종을 최소하기 위한 수술적인 수기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현재까지 보고에 의하면 수술 전 검 사로 악성의 가능성을 최대한 배제하였던 경우, 난소 병변의 복강경 수술시 악성이 나타나는 빈도는 대략 0.4%-2.9%로 알려져 있으며 본원의 경우에도 354예 중 4 예 (1.3%)에서 악성종양으로 판명되었다.10,12,13

수술 전 악성의 가능성을 최대한 배제하기 위해 수술

(4)

전 자세한 병력 청취, 문진, 이학적 검사, 종양표지물질 (CA-125) 및 질식초음파 등이 시행되고 있다. 이 중 질 식 초음파의 역할은 매우 크며 이를 통해 종양의 크기 뿐 만 아니라 최근 크기 변화, 양측성 여부, 모양, 격막 의 존재 및 두께, 유두상의 여부, 고형성분의 존재 등을 종합적으로 보면서 악성여부를 판정하게 된다. 자기공명 영상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과 색도플러 검

사,14,15종양표지물질인 CA-125의 측정도,16난소 병변의

악성 진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A-125는 다른 많은 질환에서도 증가소견을 보이는 종양표지물질로 난소암 의 진단에 특이성이 없으므로,17,18질식초음파나 색도플 러 소견을 종합하여 난소 병변의 악성 판단에 이용되어 져야 한다.19,20

수술 중의 시진 (inspection)은 수술 중 악성의 진단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정확도가 떨어진다. 그러나 복강 경 수술시 복강내부와 골반강을 자세히 관찰하여 악성종 양의 형태학적인 특징인 난소 표면의 혈관신생 (vascul- arization), 유두상 (papillary) 혹은 소포성 (vesicular) 소견 및 주변 장기와의 유착 등이 보이면 복강 세척액 검사 (peritoneal cytology)나 동결절편 검사 (frozen biopsy)를 시 행하여 즉각적인 개복수술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본 원에서는 총 354예의 난소종양 중 16예에서 수술 중 동 결절편 검사가 시행되었으며 이중 2예에서 악성종양으 로 판명되었다. 복강 세척액 검사는 6예에서 시행하였으 며 결과는 모두 음성이었다. 수술 중 혹은 수술 후 악성 으로 확인된 4예에서 수술 중 동결절편 검사는 2예에서 시행되었으며 나머지 2예에서는 수술 후 조직검사에서 악성여부가 판명되었다. 동결절편 검사에서 악성으로 판 명된 2예 중 1예에서는 조직검사 확인 후 바로 개복술로 전환하여 자궁적출술 및 난소난관절제술을 시행하였으 며 나머지 1예에서는 복강경으로 병변제거술만 시행하 고 일주일 뒤 시험적 개복술을 시행하여, 병기상 Ⅲb로 최종 진단되어 6차례 추가항암요법을 시행 받았다. 동결 절편 검사를 시행하지 않았던 2예 중 1예에서는 조직 검 사상 점액성 병변암 (mucinous cystadenocarcinoma)으로 확인되었고, 이후 시험적 개복술 상 병기 Ia로 추가 항암 요법 권유하였으나 본인이 거부하여 경과관찰 중이다.

다른 1예에서는 조직검사 상 경계성 종양 (borderline malignancy)으로 복강경적 처치로 수술을 마감하였다. 악 성종양으로 판명된 4예의 환자에서 향후 추가관찰이 이 루어졌으며 3-5년간의 관찰기간동안 모두 무병상태로 재 발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악성으로 진단된 환자의 나이 분포는 모두 20대였으며 수술 전 초음파소견상 3예에서 는 낭선종 (cystadenoma), 나머지 1예에서는 양측성 자궁 내막종으로 모두 양성소견이었으며, 병변의 크기는 1예 에서는 20 cm, 나머지에서는 7 cm, 6 cm 이었다. 초음 파와 함께 악성도의 판단에 사용되는 종양표지물질인

CA-125는 3예에서 시행되었으며 이중 2예에서는 정상치 를, 나머지 1예에서는 47 mLU/L로 약간 높은 수치를 나 타냈다. 암세포 파종의 최소화와 투관침 삽입부위의 암 세포 전이를 예방하기 위해 복막 (peritoneum)과 직근초 (rectus muscle sheath)의 봉합이 시도되었고,21,22 endobag extractor도 유용하게 사용되었다.

악성종양의 복강경적 접근이나 개복술에 의한 수술 중 종양의 파열이 환자의 궁극적인 생존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해서는 아직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1기 난소암에 서 파열되지 않은 종양의 생존율은 78%, 파열된 종양은 56%로 파열된 종양이 예후가 나쁜 것으로 알려졌으나,23 최근에는 수술 중 인위적으로 종양이 파열된 경우라도 파열되지 않은 난소종양에 비해 생존율의 차이가 없다 는 보고도 있어,24종양 파열 후 적절하고 즉각적인 처치 만 시행된다면 예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25,26Lehner 등은 복강경 수술 후의 개복수 술이 17일 이상 늦어진다면 위험도는 크게 증가한다고 보고하여,27종양의 파열을 동반한 부적절한 수술과 개복 수술까지의 시간적 차이가 재발의 위험성을 높임을 시 사하였다.28

복강경 수술 중 유출된 암세포는 오염된 기구나 기복 (pneumoperitoneum)에 의해 투관침 삽입 부위로 이동하 며, 특히 암세포가 투관침 삽입 부위와 직접 닿거나 복수 가 있다면 암세포의 파종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수술로 인한 조직의 손상이나 삽입부위의 허혈상태가 암 세포의 착상을 증가시킨다. 이산화탄소와 전기 소작으로 인한 연기에 포함된 암세포는 좁은 투관침통을 통해 압 력으로 밀려나와 삽입 부위에 착상하는 과정을 겪게 되 는데 이러한 현상을 ‘chemney effect'라 한다.29종양의 복 강내 빠른 파종은 이산화탄소 기복으로 설명되는데, 이 는 압력과 산증 (acidosis)이 복막의 중피 (mesothelium)에 손상을 입혀 기저막이 암세포의 공격에 약해지기 때문이 다.30이에 Wang 등은 악성 난소 종양의 복강경 수술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31첫째, 수술 중에 복강내를 충분히 세척한다. 둘째, 악성 종양이 의심 이 되면 임시적인 (palliative) 치료는 피한다. 셋째, 종양 의 제거는 plastic 주머니 (pouch)안에서 실시한다. 넷째, 종양을 제거하는 투관침은 가능한 큰 것을 사용한다. 다 섯째, 악성 종양이 의심이 되면 동결절편 검사를 시행하 며, 결과가 악성으로 나오면 즉시 개복수술을 시행하고 아니면 2주내에 실시한다. 여섯째, 악성으로 판명되면 가 능한 빨리 추가적인 항암치료를 실시한다.

복강경 수술의 합병증은 개복수술에 비해 적은편이나 종양 내용물의 누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 특히 자궁내막종이나 기형종에 있어 자궁내막증의 전이나 복 막염 등이 있다.8,32 기형종의 내용물은 동물실험에서도 화학적 복막염 (chemical peritonitis)의 원인으로 알려져

(5)

있으며 이는 생리 식염수로 충분히 세척함으로써 유착 및 염증이 감소됨이 보고 되었다.33또한 내용물 누출로 인한 합병증은 병변을 제거할 때 골반내에서 endobag이 나 endopouch를 사용하고, 충분한 복강내 세척 등으로 어느 정도 예방이 가능하다고 하였다.34,35본원에서도 위 와 같은 방법으로 수술을 진행하였고 병변의 파열 및 내 용물의 누출이 많은 경우라도 이로 인한 합병증으로는 감염 (농양 형성) 1예만이 관찰되었다. 그 외에도 투관침 삽입으로 인한 혈관 손상 및 장천공이 있을 수 있다.2,6,8 이는 원칙을 준수할 경우 예방이 가능하며 비교적 낮은 빈도로 보고되고 있어 복강경 수술의 심각한 문제가 되 고 있지는 않다. 본원에서는 3예 (0.85%)에서 투관침 삽 입부위의 혈종으로 인한 혈관손상이 있었고, 모두 봉합 사의 이용이나 압박 (compression)에 의하여 흡수되어 특 별한 문제없이 퇴원하였다. 감염의 경우, 앞에서 기술하 였듯이 양성기형종의 병변제거술을 시행한 경우에서 수 술 후 농양 형성으로 인하여 19일간 입원하여 보존적 치료를 시행 받은 1예 (0.3%)가 있었으며 장천공의 예 는 없었다. 그 외 과거 개복술의 병력으로 인한 유착으 로 개복술을 시행한 경우가 2예, 악성종양으로 판명되어 개복술을 시행한 경우가 1예 있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복강경 수술의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악성 종양의 가능성과 여러 가지 합병증은 적절한 환자군의 선택과 원칙에 따른 수술 및 숙련된 복강경 수 술의에 의해서 해결되어질 수 있는 문제들로 여겨진다.

따라서 입원기간과 회복기간이 단축되고 작은 상처부위 로 인하여 미용상 유리하며 이로 인한 통증과 합병증의 감소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복강경 수술이 난소 병변 의 치료에 유용하리라 사료된다.

- 참고문헌 -

1. 임문환. 복강경 수술을 이용한 자궁부속기 종양치료의 임상적 고찰.

대한산부회지 1996; 39: 75-85.

2. 김준영, 강승철, 윤병목, 이형근, 박원곤, 장미경 등. 복강경수술 583 예에 대한 고찰. 대한산부회지 1998; 41: 2576-81.

3. Shapiro HI, Alder DH. Exision of an ectopic pregnancy through lapa- roscopy. Am J Obstet Gynecol 1973; 117: 290-1.

4. Semm K, Mettler L. Technical progress in pelvic surgery via operative laparoscopy. Am J Obstet Gynecol 1980; 138: 121-7.

5. Hasson HM. Laparoscopic management of ovarian cyst. J Repro Med 1990; 35: 863-7.

6. 이두룡, 최종무. 부인과 질환에 있어 진단적 복강경술 1200예의 분석.

계명의대 논문집. 1995; 14: 62-7.

7. 나준희, 김종혁, 이성한, 오혜은, 김용만, 김영탁 등. 복강경수술 후 악 성으로 확인된 난소 종양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회지 1998; 41: 777- 87.

8. 박노현, 김재원, 전혜원, 송용상, 김석현, 최영민 등. 복강경술을 이용 한 난소병변의 처치. 대한산부회지 1996; 39: 320-7.

9. Hulka JF, Parker WH, Surrey MW, Surrey MW, Philips JM. Management of ovarian masses. AAGL 1990 Survey. J Reprod Med 1992; 37: 599- 602.

10. Nezhat F, Nezhat C, Welander CE, Benigno B. Four ovarian cancers

diagnosed during laparoscopic management of 1011 women with adnexal masses. Am J Obstet Gynecol 1992; 167: 790-6.

11. Childers JM, Nasser A, Surwit EA. Laparoscopic management of suspicious adnexal masses. Am J Obstet Gynocol 1996; 175: 1451-7.

12. Mecke H, Lehmann-Willenbrock E, Ibrahim M, Semm K. Pelviscopic treatment of ovarian cysts in premenopausal women. Gynecol Obstet Invest 1992; 34: 36-42.

13. Canis M, Mage G, Pouly JL, Wattiez A, Manhes H, Bruhat MA.

Laparoscopic diagnosis of adnexal cystic masses: a 12-year experience with long-term follow up. Obstet Gynecol 1994; 83(5 pt 1): 707-12.

14. Grab D, Flock F, Stohr I, Nussle K, Rieber A, Fenchel S, et al.

Classification of asymptomatic adnexal masses by ultrasou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Gynecol Oncol 2000; 77: 454-9.

15. Timor-Tritsch LE, Lerner JP, Monteagudo A, Santos R. Transvaginal ultrasonographic characterization of ovarian masses by means of color flow-directed doppler measurements and a morphologic scoring system.

Am J Obstet Gynecol 1993; 168(3 pt 1): 909-13.

16. Hata K, Hata T, Manabe A, Sugimura K, Kitao M. A critical evaluation of transvaginal color doppler studies, transvaginal son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e, and CA-125 in detecting ovarian cancer. Am J Obstet Gynocol. 1992; 80: 922-6.

17. Vasilev SA, Schlaerth JB, Campeau J, Morrow CP. Serum CA-125 levels in preoperative evaluation of pelvic masses. Obstet Gynecol 1988; 71:

751-6.

18. Jacobs I, Bast RL. The CA-125 tumour associated antigen: a review of the literature. Hum Reprod 1989; 4: 1-12.

19. Fleischer AC, Rodgers WH, Rao BK, Kepple DM, Worrell JA, Williams L et al. Assessment of ovarian tumor vascularity with transvaginal color Doppler sonography. J Ultrasound Med 1991; 10: 563-8.

20. Weiner Z, Thaler I, Beck D, Rottem S, Deutsh M, Brandes JMl.

Differentiating malignant from benign ovarian tumors with transvaginal color flow imaging. Obstet Gynecol 1992; 79: 159-62.

21. Van Dam PA, DeCloedt J, Tjalma WA, Buytaert P, Becquart D, Vergote ID. Trocar implantation metastasis after laparoscopy in patients with advanced ovarian cancer: Can the risk be reduced? Am J Obstet Gynecol 1999; 18: 536-41.

22. Aoki Y, Shimura H, Li H, Mizumoto K, Date K, Tanaka M. A model of port-site metastases of gallbladder cancer: the influence of peritoneal injury and its repair on abdominal wall metastases. Surgery 1999; 125:

553-9.

23. Webb MJ, Decker DG, Mussey E, Williams TJ. Factors influencing survival in stage I ovarian cancer. Am J Obstet Gynecol 1973; 116:

222-8.

24. Dembo AJ, Davy M, Stenwig AE, Berle EJ, Bush RS, Kjorstad K.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stage I epithelial ovarian cancer. Obstet Gynecol 1990; 75: 263-73.

25. Sainz de la Cuesta R, Goff BA, Fuller AF Jr, Nikrui N, Eichhorn JH, Rice LW. Prognostic importance of intraoperative rupture of malignant ovarian epithelial neoplasms. Obstet Gynecol 1994; 84: 1-7.

26. Sjovall K, Nilson B, Einhorn N. Different types of rupture of the tumor capsule and the impact on survival in early ovarian carcinoma. Int J Gynecol Cancer 1994; 4: 333-6.

27. Lehner R, Wenzl R, Heinzl H, Husslein P, Sevelda P. Influence of delayed staging laparotomy after laparoscopic removal of ovarian masses later found malignant. Obstet Gynecol 1998; 92: 967-71.

28. Childers JM, Lang J, Surwit EA, Hatch KD. Laparoscopic surgical staging of ovarian cancer. Gynecol Oncol 1995; 59: 25-33.

29. Taffinder NJ, Champault G. Port site metastases after laparoscopic colorectal surgery for cure of malignancy. Br J Surg 1996; 83: 133.

30. Volz J, Koster S, Schaeff B, Paolucci V. Laparoscopic surgery: the effects of insufflation gas on tumor-induced lethality in nude mice. Am J Obstet Gynecol 1998; 178: 793-5.

31. Wang PH, Yuan CC, Lin G, Ng HT, Chao HT. Risk factors contributing to early occurrence of port site metastases of laparoscopic surgery for malignancy. Gynecol Oncol 1999; 72: 38-44.

32. Bollen N, Camus M, Tournaye H, De Munck L, Devroey P. Laparoscopic removal of benign mature teratoma. Human Reprod. 1992; 7: 1429-32.

33. Fiedler EP, Guzick DS, Guido R, Kanbour-Shakir A, Krasnow JS.

Adhesion formation from release of dermoid contents in the peritoneal

(6)

cavity and effect of copious lavage: a prospective, randomized, blinded, controlled study in a rabbit model. Fertil Steril 1996; 65: 852-9.

34. 김은미, 이지영, 오성택. 6 cm 이상의 난소 유피병변절제술에 있어서

=국문초록=

목적 : 난소 병변으로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복강경 수술의 장점, 단점, 적용범위 및 합병 증 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4년 6월부터 2001년 9월까지 아주대학교 병원에서 난소 병변으로 진단되어 복강경 수술 을 시행 받은 35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결과 : 환자군의 나이 분포는 13세부터 77세였으며 평균나이는 30.9세였다. 병변의 크기는 7 cm 미만 (265예, 74.9%), 위치는 편측성 (313예, 88.4%)이 대부분이었다. 시행된 수술은 낭종제거술이 가장 많았고 (225 예, 63.6%), 난소난관절제술, 난소절제술, 나팔관절제술, 창문개구술, 조직검사의 순이었다. 수술시간은 최저 10 분에서 최고 240분으로 평균 74.2분이었다. 수술 후 병리조직검사 결과에서, 편측성 난소 병변 중 조직검사를 시행한 군에서는 양성기형종이 가장 많았으며 (107/305, 35.1%), 자궁내막종, 낭선종 등의 순이었다. 경계성 종 양을 포함한 악성종양은 4예에서 발견되었다 (4/305, 1.3%). 양측성 난소병변 중에는 자궁내막종이 대부분이었 으며 (31/41예, 75.6%), 기형종, 낭선종, 섬유종 등의 순이었다. 수술 후 입원기간은 0일에서 19일까지로 평균 2.5일이었다. 대부분이 수술 후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으며 (347예, 98.0%), 혈관손상으로 인한 혈관종 3예, 농양 형성 1예, 개복술로의 전환 3예가 있었다.

결론 : 복강경 수술은 난소 병변의 치료에 유용하며, 여러 가지 합병증은 적절한 환자군의 선택과 원칙에 따른 수술 및 숙련된 복강경 수술의사에 의해서 해결되어질 수 있는 문제들로 여겨진다.

중심단어 : 복강경 수술, 난소 병변

복강경수술법과 개복 수술의 비교고찰. 대한산부회지 1998; 41: 105-10.

35. Reich H. Laparoscopic oophorectomy and salphigoophorectomy in the treatment of benign tubo-ovarian disease. Int J Fertil 1987; 32: 233-6.

참조

관련 문서

We present an appropriate surgical op- tion that is suitable for patients with concomitant coracoid process fracture with bony Bankart lesions in acute traumatic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compared with nonlinear analysis procedures, the linear static method is conservative in the prediction of

In the present study, we showed that oxidative stress parameters were found similar in dogs underwent laparoscopic or open cholecystectomy.. Key words :

Conclusions: Non-neoplastic thyroid lesions were more common than neoplastic ones. Colloid goiter was the most common lesion. Follicular adenoma was the commonest benign

[r]

10 해설 앞 문장 전체를 받는 계속적 용법의 관계대명사 which 를 사용하여 문장을 연결한다.. 해석 우리 선생님은 우리에게

The blue whale opens its mouth, drinks seawater, and closes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of the abdomen demonstrated multiple round nodular lesions in small bowels seems to be drug.. There are large amou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