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심첨부만을 침범한 비후성 심근증의 임상적 특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2

Share "심첨부만을 침범한 비후성 심근증의 임상적 특성"

Copied!
1
0
0

로드 중.... (전체 텍스트 보기)

전체 글

(1)

- S 454 -

― S-207 ―

심첨부만을 침범한 비후성 심근증의 임상적 특성

건국대학교 병원 심장혈관내과

*윤현성, 이응준, 조한수, 이정현, 한성우, 김성해, 김현중, 정상만, 유규형, 이 영

배경: 심첨부만을 침범한 비후성 심근증은 동양인에게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비교적 양호한 예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통상 적인 형태인 미만성 비후성 심근증과의 차이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다. 연구방법: 2005년 8월 1일부터 2008년 6월 30일까지 심초음파를 통해 비후성 심근증으로 진단받은 3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심첨부만을 침범한 비후성 심근증은 m-mode 심초음파상 좌심실 중격 또는 후벽의 두께가 13mm미만이고 심첨부의 비정상적인 비후와 심전도상 좌심실 비후 소견을 보이는 경우를 진단기준으로 하였다. 전체 37명의 환자 가운데 20명(54.5%)이 심첨부만을 침범한 비후성 심근증(apical-HCMP)으로 진단되었고 이들의 임상양상과 심전도 소견, 심초 음파 소견을 심첨부 이외의 부위를 포함한 비후성 심근증(non-apical HCMP)환자와 비교하였다. 결과 결론: 심첨부를 침범한 비후성 심근증 은 여성에서 흔하며 양호한 임상양상을 보인다. 입원하는 경우 심근교락에 의한 급성관동맥 증후군의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증상이 있는 환자에서 베타차단제 또는 칼슘길항제는 입원의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pical_HCMP (n=20) Non-apical HCMP (n=17) p value

Age 51.7±11.9 54.0±15.4 NS

Sex (male/female) 12/8 12/5 0.05

Admission 5(25%) 15(70%) <0.05

Asymptomatic 12(80%) 5(29.4%) NS

Cause of admission

Angina 4(80%) 4(80%)

(myocardial bridging) 7(46.7%) 5(33.3%)

heart failure 1(20%) 5(33.3%)

palpitation 1(6.6%)

syncope 1(6.6%)

Death 0 2 NS

― S-208 ―

대동맥판막 진단에서의 64 channel MDCT의 유용성

건국대학교병원 심장혈관내과

*윤현성, 조한수, 이응준, 이정현, 김성해, 한성우, 유규형, 정상만, 이 영

배경: 최근 비약적인 기술 발달로 인해 MDCT가 저 위험군에서 관상동맥협착을 진단하는데 유용 하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MDCT를 이용하여 판막질환을 평가 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대동맥 판막환자들을 대상으로 MDCT의 유용성을 알아보고 자 한다. 방법 및 대상: 대동맥 판막 질환을 가진 56명의 환자에서 MDCT와 심초음파를 시행하여 독립적으로 판막질환의 정도를 평가 한 후 양 값을 비교하였다. 총 56명중 42명이 대동맥 판막폐쇄부전을, 27명이 대동맥 협착증을 가지고 있었으며, 13명은 대동맥 폐쇄부전과 협착증을 함께 가지고 있었다. MDCT 상 대동맥 협착의 정도는 수축기 시 대동맥 판막의 면적(Aortic valve Area; AVA)을, 대동맥 폐쇄부전 의 정도는 이완기 시 폐쇄부전에 의해 발생 되는 대동맥판막 면적을 측정하여 정하였다. 결과: 대동맥 판막 폐쇄부전 환자 중 11명이 심초음 파 상 중등도 폐쇄부전을, 8명이 중증의 폐쇄부전을 보였다. 심초음파와 비교시 MDCT가 대동맥 폐쇄부전을 같은 정도로 평가하거나 grade 1미만의 차이로 평가한 경우는 67%(23명) 였으며, grade 1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는 33%(14명) 였다. 그 중 과소 평가한 경우는 5명(12%) 과대평가한 경우는 9명(21%) 이었다. 또한 MDCT 에서 측정된 이완기시 AVA가 작을수록 심초음파 상 측정된 PHT(pressre half time)은 증가함을 보였다(Speraman 상수; -0.444, p=0.03) 대동맥 판막 협착 환자 중 10명이 심초음파 상 중등도를, 7명이 중증의 협착을 보였다. 심 초음파와 비교시 MDCT가 대동맥 협착을 같은 정도로 평가하거나 grade 1미만의 차이로 평가한 경우는 43%(12명) 였으며, grade 1 이상의 차이가 나는 경우는 57%(15명)였다. 그 중 과소 평가한 경우는 13명(45%), 과대평가한 경우는5명(12%)이었다. 결론: 대동맥 판막 질환 평가 에 있어 MDCT는 대동맥 협착보다는 대동맥 폐쇄 부전의 진단과 평가에 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조

관련 문서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받아 서 발생하는 호르몬 유발성 암인 제1형 (type I)과 다른 암들에서 볼 수 있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전자의 돌연 변이나 결손 등이 초래되어 암이 발생하는

따라서 본 신경통증클리닉에서는 초진 시 삼차신경통 환자로 진단된 환자에 대한 인구학적 자료와 통증 양상, 이전의 치료에 대한 효과 등을 조사하여 이 질환의 공통 적인

또한 세포유전학적으로 염색체 이상으로 진단되나 실제 표현형에서는 정상 소견을 보이며 정상변이 염 , , 색체와 마찬가지로 자손의 표현형에서 정상 소견을 보이고 임신시에도

Serum total and specific IgE to house dust mites (HDM) and Staphylococcal superantigens were measured by immunoCAP Ⓡ system. We measured antinuclear antibody

With respect to the risk factors of BK virus, tacrolimus and mycophenolate mofetil when combined with tacrolimu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K viruria

Effect of specific immunotherapy added to pharmacologic treatment and allergen avoidance in asthmatic patients allergic to house dust mite. Allergen

조직 도플러 에서 승모판 초기 유입혈류의 최고속도 와 초기 확장기 승모판륜 속도의 비율(E/E’)은 좌심실 충만압의 증가와 좌심실 이완 기능에 가장 정확하고 비침습적인 지표로

이면성 심초음파 소견을 자세히 보면 승모판 비후, 부동 성, 승모판 연결부 유착 등의 특징적인 소견 외에 승모판 전 엽이 확장기에 반구형(hockey stick 모양)으로